[Light + Building 2016] “OLED is Organic Food of Lighting”… LGD Presents Diverse Lighting

Hyunjoo-Kang, Reporter, OLEDNET

 

<LGD’s Flexible OLED Lighting>

 

OLEDNET visited Light + Building 2016 (March 13-18) held in Frankfurt where LG Display unveiled product line up that can be used to diverse applications such as flexible solution, luminaires, mirror solution, module solution, OLED panel products, and transparent connection solution.

During this exhibition, LGD demonstrated their well-deserved reputation as the world leading OLED lighting panel producer.

LGD presented diverse applications for OLED lighting that many people wanted to know. Although they were not directly displayed in the exhibition, the company showed photographs of OLED applied Korean traditional house hanok, as well as more commonly imagined uses such as cosmetic shop, office, show room, café, and restaurant.

<LGD’s Flexible OLED Lighting>

Speaking to the foreign press who attended the exhibition, Joon Park, LGD’s Head of OLED Lighting Sales & Marketing Division, explained that if world’s first Gen5 OLED lighting (1,000 mm x 1,200 mm) investment is carried out and mass production is carried out in H1 2017, additional cost reduction is possible in comparison to before the investment. Park added that the current OLED lighting places more importance to the user experience rather than profit. As organic food is receiving positive response within the market as premium products, OLED lighting will play the role of organic food within the lighting market.

[Light and Building 2016] “OLED는 조명계 유기농 식품”…LGD, 다양한 OLED 조명 선봬

강현주 기자/OLEDNET

LGD에서 전시된 flexible OLED 조명

OLEDNET이 다녀온 ‘Light and Building 2016’ 독일 전시회에서 LGD는 Flexible solution, Luminaires, Mirror solution, Module solution, OLED panel products, Transparent connection solution 등을 선보이며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제품 line up을 보여주었다.

3월 13일부터 18일까지 6일간 프랑크푸르트에서 개최된 이번 전시회에서 LGD는 세계 최고의 조명용 OLED panel 제조사다운 면모를 과시하였다.

LGD는 그 동안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OLED 조명의 다양한 응용분야를 선보였다. 전시장에 직접 전시하진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Cosmetic Shop, 사무실 조명, Show Room, 카페나 레스토랑 등의 조명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통 한옥에도 OLED 조명을 적용한 예를 사진 자료로 보여주었다.

우리나라 전통 한옥에 적용된 OLED 조명 컨셉(출처=LGD)

우리나라 전통 한옥에 적용된 OLED 조명 컨셉(출처=LGD)

LGD의 박준혁 상무(OLED 조명영업/마케팅 담당)는 이번 전시회에 참석한 외신기자들과의 자리에서 “세계 최초로 조명용 OLED 5세대 (1,000 mm x 1,200 mm) 투자가 진행되어 내년 상반기 양산이 이루어지면 투자 이전에 비해 추가적인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며 “현재 OLED 조명은 수익보다는 사용자의 경험을 중요시하고 있으며 유기농 식품이 프리미엄 제품으로서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는 것과 같이 OLED 조명이 바로 조명 시장에서 유기농 식품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Light+building 2016 LGD OLED Lighting

LG Display is showcasing its latest advanced OLED light products and solutions at Light+Building 2016

[Light building 2016] Osram OLED Rear Lamp

오스람이  독일에서 열린 Light+Building 2016에서 OLED rear lamp를 전시하고 있다.

[Light building 2016] Osram OLED Rear Lamp

Osram is showcasing its OLED rear lamp for cars at Light+Building 2016.

[Light building 2016] Osram OLED Rear Lamp

Osram is showcasing its OLED rear lamp for cars at Light+Building 2016

[Light+building 2016] LGD OLED Lighting

LG Display is showcasing its latest advanced OLED light products and solutions at Light+Building 2016

2016, Korea Seizes AMOLED Market…95% of Global Market

2016-2020 Global AMOLED Panel Market Shipment [1 Million] (source : UBI Research)

This year, Korea is expected to secure overwhelming leadership position within the global AMOLED panel market with 95% market share.

According to 2016 OLED Display Annual Report, recently published by UBI Research, approximately 270 million units of AMOLED panel are to be produced from Korea in 2016, approximately 95% of the global shipment.

For AMOLED panel market revenue, Korea is estimated to occupy 96% of the total market in 2016 with US$ 14,218 million. Korea is expected to maintain approximately over 70% of the market share until 2020, and lead the global market for several more years.

This is analyzed to be due to active response by Korean display companies against AMOLED application expansion by influential global smartphone companies.

Samsung Electronics is forecast to sell over 47 million units of AMOLED panel equipped Galaxy series in 2016. The projection that Apple will also apply AMOLED panel to future iPhone series for product differentiation is gaining traction.

Several companies, including LG Display and Samsung Display, are carrying out active investment for AMOLED panel mass production line from H1 2016.

Other than Korea, China is showing rapid movement within the global AMOLED market. China is estimated to produce approximately 11 million units of AMOLED panel in 2016, and occupy approximately 4% of the global shipment, marking the second place after Korea’s 95%. China is estimated to increase the market share each year and reduce the gap with Korea; in 2020, China is expected to hold 24% of global AMOLED panel shipment in 2020.

China’s AMOLED panel market revenue is also forecast to show significant growth with approximately US$ 500 million in 2016 to US$ 13,700 million in 2020, a 20% of the total market.

2016 OLED Display Annual Report forecasts that the global AMOLED market is to record approximately US$ 15,000 million in 2016, and grow to approximately US$ 70,000 million in 2020.

 

2016년 AMOLED 시장 한국이 ‘점령’…글로벌 점유율 95% 차지

2016년~2020년 AMOLED 시장 출하량(출처:유비산업리서치 2016 OLED Display Annual Report)

올해 전세계 AMOLED 패널 시장은 한국이 95%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압도적인 주도권을 확보할 전망이다.

유비산업리서치에서 최근 발간한 ‘2016 OLED Display Annual Report’에 따르면 2016년 한국에서 생산될 AMOLED 패널의 양은 약 2억7천만개로 전세계 출하량의 약 95%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AMOLED 패널 시장 매출액 역시 한국이 2016년 미화 142억1800만달러로 전체시장의 96%를 차지할 전망이며 오는 2020년까지 약 70%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유지, 향후 수년 이상 세계 시장 주도권을 쥘 것으로 보인다.

이는 글로벌 유력 스마트폰 업체들의 AMOLED 적용 확대에 대해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가 적극 대응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는 2016년 AMOLED 패널이 적용된 갤럭시 시리즈를 4,700만대 이상 판매할 것으로 전망된다. 애플 역시 제품 차별화를 위해 향후 아이폰 시리즈에 AMOLED 패널을 적용할 것이라는 예상이 우세한 상황이다.

LG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 등은 이 같은 수요에 대비하기 위해 2016년 1분기부터 AMOLED 패널 양산 라인 투자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한국을 제외하고 전세계 AMOLED 시장에서 가장 빠른 행보를 보이는 국가는 중국이다. 중국은 2016년 AMOLED 패널을 약 1,100만개 생산, 전세계 출하량의 약 4%를 차지할 전망이며 95%인 한국에 이어 2위에 오를 전망이다. 중국은 매해 점유율을 늘려가며 오는 2020년에는 전세계 AMOLED 패널 출하량의 24%를 차지, 한국과의 격차를 줄여나갈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AMOLED 패널 시장 매출액도 2016년 미화 약 5억달러에서 2020년 137억달러로 20%의 글로벌 점유율을 차지하며 큰 폭의 성장세를 그릴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유비산업리서치의 본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글로벌 AMOLED 시장은 미화 약 150억달러 규모를 형성하고 오는 2020년에는 약 700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2nd OLED KOREA Conference] Visionox Reveals Core Keyword for Flexible OLED Surge

On February 24, Dr. Xiuqi Huang, Visionox’s general manager, gave a keynote speech at the 2nd OLED KOREA Conference (Feb 24-25). With the presentation title of Development of AMOLED Display: From Rigid to Flexible, Dr. Huang discussed how the flexible display was introduced and its future.

 

Flexible display is expected to solve CRT’s heavy weight, and FPD’s design limitation. Key issues include thin film formation process, structure that can withstand bending, and materials with high tensile strength. Dr. Huang emphasized that OLED is a display that can solve all 3 issues.

 

In order for flexible OLED to make the leap, Dr. Huang announced that 7 technological developments need to be carried out: encapsulation, TFT backplane, array design, flexible technology, flexible substrate, stress management, and module integration.

 

Visionox first developed flexible OLED in 2001, and revealed 5.2 inch flexible AMOLED of rollable type with 3 mm curvature radius and 20 um thickness in July 2015. They are aiming for mass production within 2 years.

 

Regarding OLED mass production, Dr. Huang revealed that the Gen 5.5 AMOLED mass production line phase1 4K will be increased to 15K until 2016, and Gen 6 AMOLED mass production line is expected to be in operation in 30K volume in 2017.

 

[2nd OLED KOREA Conference] LG Display, OLED is the Next Generation Display that Satisfies Both Performance and Design

In the 2nd OLED KOREA Conference (Feb 24-25), Won-Gyun Youn, LG Display’s head of OLED TV Product Planning Team, gave a keynote speech. Through the presentation,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isplay’s design and performance and discussed why OLED will become important in next generation display.

 

Youn told the attendees that in the last few years, display performance issues, such as 3D, UHD, and HDR, and design issues, such as curved and super slim, arose together. Emphasizing these issues, Youn revealed that OLED is the display that can solve both. He added that in terms of performance, OLED can actualize perfect black and colors, cleanly express movement, and has wide viewing angle. In terms of design, OLED is thin and flexible, and can produce diverse shapes and be transparent.

 

LG Electronics and LG Display recently installed ultra large OLED signage OLED Moment in 2 places insid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hey also presented OLED sculptures in various shapes such as tunnel, waves, cylinder, and others using 250 units of 55 inch OLED panels at N Seoul Tower. The 2 companies are carrying out aggressive marketing promoting OLED. Regarding OLED’s future, in short term, form factor changes are expected to occur following design change, and in mid-to-long term, the paradigm will shift with the introduction of rollable and transparent display.

 

Youn revealed that at present OLED has to resolve the expansion of the market and infrastructure, and improvement of productivity and technology. In order to solve this, research in improving the TFT mobility by more than 50%, and increasing the efficiency and lifetime is being carried out. He also added that they are researching ink-jet process,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aterials to develop soluble process.

 

[2nd OLED Korea Conference]Visionox, 플렉시블 OLED 도약의 핵심 키워드를 밝히다.

24일 서울 양재 The K 호텔에서 열린 제2회 OLED Korea Conference의 키노트에서 Visionox의 Xiuqi Huang 박사는 “Development of AMOLED Display: From Rigid to Flexible”라는 제목의 발표를 통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등장한 요인과 앞으로의 전망을 밝혔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CRT의 무거움과 FPD의 디자인의 경직성을 모두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디스플레이로, 핵심적인 이슈로는 박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구부릴 때 변형을 견디는 구조, 높은 인장강도를 가진 물질을 사용하는 것들이 있다. Huang 박사는 “OLED는 이러한 3가지 이슈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이다.”라고 강조했다.

Huang 박사는 플렉시블 OLED가 더 높은 수준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encapsulation와 TFT backplane, array design, 유연성 기술, 유연기판, stress management, module integration 등 7가지 기술적인 개발이 필요하다고 발표했다.

Visionox는 2001년 첫 플렉시블 OLED를 개발한 이후 작년 7월에는 3mm의 곡률반경과 20um의 두께를 가진 rollable type의 5.2인치 flexible AMOLED을 공개하며 2년내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OLED 양산과 관련해 Huang 박사는 구체적으로 2016년까지 Gen.5.5 AMOLED 양산라인을 phase1 4K를 총 15K 규모로 증설할 계획이며, 2017년에는 Gen.6 AMOLED 양산라인을 30K 규모로 가동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2nd OLED Korea Conference]LG디스플레이, “OLED, 성능과 디자인, 모두를 만족시키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2월 24일 개최한 제 2회 OLED Korea Conference에서 LG디스플레이의 윤원균 팀장은 “‘OLED’ The Next Display”라는 제목의 키노트 발표를 통해 디스플레이의 디자인과 성능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왜 차기 디스플레이에 OLED가 중요하게 될 것인지에 대해 발표했다.

윤 팀장은 최근 몇 년간 3D와 UHD, HDR과 같은 디스플레이의 성능에 대한 이슈와 curved, super slim과 같은 디자인에 대한 이슈가 함께 떠올랐다고 강조하며 OLED는 두 가지 이슈를 모두 만족하는 디스플레이라고 밝혔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성능 측면에서 OLED는 완벽한 black과 완벽한 색감을 표현할 수 있으며 대상의 움직임을 깨끗하게 표현할 수 있고 넓은 시야각을 가지고 있다.”고 밝히며 “디자인 측면에서 OLED는 얇고 유연하며 다양한 모양을 내고 투명하게 만들 수 있다.”고 발표했다.

최근 LG 전자와 LG 디스플레이는 인천공항 두 곳에 각각 초대형 OLED 사이니지인 ‘OLED Moment’를 설치하고 남산 N서울타워에 55인치 OLED 패널 250장을 사용한 터널형, 물결형, 원통형 등의 조형물을 공개하는 등 OLED 알리기를 전면에 내세우는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윤 팀장은 OLED의 미래에 대해 “단기적으로는 디자인과 그에 따른 form factor의 변화가 있을 예정이며 중장기적으로는 rollable과 투명 디스플레이 등이 등장하며 패러다임이 바뀔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윤 팀장은 “현재 OLED는 시장과 인프라 확대와 생산성 향상, 기술 향상이라는 숙제들이 있다.”고 밝히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TFT의 mobility를 50이상으로 향상시키고 효율과 수명 또한 증가시키려는 연구를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Soluble 공정을 개발하기 위해 ink-jet 공정과 장비, 재료들을 연구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MWC 2016] Surge of AMOLED in China

A surge of AMOLED panels by Chinese set companies is starting. Chinese set companies exhibited many AMOLED panel applied products in MWC 2016 (Feb 22 – 25), forecasting that the demand for AMOLED panel could greatly increase.

 

6 companies, including Huawei, ZTE, LENOVO, and Gionee, exhibited AMOLED panel applied smartphones. Particularly, Hisense and KONKA, well known as TV set companies, presented AMOLED panel smartphones and the Chinese set companies’ increased interest in AMOLED panel could be confirmed.

 

The majority of the AMOLED panel smartphones exhibited by Chinese set companies had 5 inch level panel with HD and FHD level resolution, and analyzed to have been supplied by Samsung Display.

 

Samsung Display is known to have significant amount of mainstream AMOLED panels to Chinese set companies in 2015. Following this trend, over 100 million units of AMOLED panels are expected to head toward China in 2016.

 

The key points are Samsung Display’s rigid AMOLED panel production capa. and whether the Chinese AMOLED panel companies can carry out mass production. The current Samsung Display’s rigid AMOLED panel mass production capa. is estimated to be insufficient to meet the demands for Samsung Electronics’ mainstream Galaxy model and Chinese set companies. Chinese panel companies have also announced active mass production from the first half of this year.

 

From the significant occupation of Chinese set companies that applied AMOLED panel within the Chinese smartphone market, panel companies’ supply ability of AMOLED panel for Chinese set companies is expected to be one of the issues in 2016.

Huawei’s Nexus 6P

LENOVO’s Moto X Force

 

[MWC 2016] 중국은 지금 AMOLED 돌풍

중국 set 업체의 AMOLED 돌풍이 시작되고 있다. 현지시각 22일부터 열리고 있는 MWC 2016에서 중국 set업체들이 AMOLED panel을 적용한 제품을 대거 출품해 앞으로 AMOLED panel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수 있음을 예고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AMOLED panel을 적용한 smartphone을 전시한 업체는 화웨이와 ZTE, LENOVO, Gionee등 총 6개 업체이다. 특히 기존 TV set업체로 잘 알려진 Hisense와 KONKA에서도 AMOLED panel이 적용된 smartphone을 전시하며 중국 set업체들의 AMOLED panel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국 set업체에서 전시한 대부분의 AMOLED panel이 적용된 smartphone은 HD와 FHD급 해상도와 5inch 급의 panel로 삼성디스플레이에서 공급했을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삼성디스플레이는 2015년에 중국 set업체에 상당수의 보급형 AMOLED panel을 공급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추세대로라면 2016년에는 중국향 AMOLED panel 수요는 1억대 이상 될 것으로 전망된다.

관건은 삼성디스플레이의 rigid AMOLED panel 생산 capa와 중국 AMOLED panel 업체들의 양산 여부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삼성전자의 보급형 갤럭시 모델과 중국set업체를 모두 대응하기에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rigid AMOLED panel 양산라인 capa로는 부족해질 것으로 예상되며, 중국의 panel 업체들도 올 상반기부터 본격적인 양산을 공식화한 상태이다.

AMOLED panel을 적용한 중국 set업체들이 중국 내 smartphone 시장의 상당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미루어보아 panel 업체들의 중국 set업체로의 AMOLED panel 공급능력이 2016년 하나의 이슈가 될 전망이다.

화웨이의 nexus 6P

LENOVO의 Moto X Force

2016 AMOLED Market, Estimated to Record US$ 15,000 Million, an Increase of Approx. 40% from 2015

According to 2016 OLED Display Annual Report, published by UBI Research, 2016 AMOLED panel market is estimated to show US$ 15,000 million, which is a growth of approximately 40% from 2015. The report also expects the shipment to record 16% increase compared to 2015 with 270 million units, and 2016 to be the year for the AMOLED industry could take off again.

 

UBI Research revealed that “Samsung Electronics is actively selecting AMOLED panel for mainstream models of Galaxy and the demand for AMOLED panel by Chinse set companies is also increasing. Additionally, Apple’s application of flexible AMOLED panel for iPhone is becoming more concrete, and OLED TV sales is gradually increasing. As such LCD will be slowly replaced”. Particularly, regarding AMOLED for mobile device market, UBI Research explained that “the flexible AMOLED panel equipped set market analysis shows approximately 500K (Gen 6) per month will be required until 2020, and it is anticipated that active flexible AMOLED investment will be continually carried out”.

 

The AMOLED market growth staggered momentarily in 2015, but due to the increase of demand for mainstream AMOLED panel and flexible AMOLED panel, it grew with a large margin in 2015. Accordingly, investment for flexible AMOLED panel application for Apple’s iPhone, which is leading the total smartphone market with Samsung Electronics, is in consideration. The panel companies in China, Japan, and Taiwan are also anticipated to invest in flexible AMOLED panel, and bring energy into stagnated OLED related display industry.

 

According to the 2016 OLED Display Annual Report, the AMOLED panel market exceeded US$ 10,000 million with approximately 230 million units in 2015, an increase of approximately 25% from the previous year. It is expected to record US$ 67,000 million until 2020 with CAGR of approximately 46%.

AMOLED Panel Market Forecast (2016-2020)

2016년 AMOLED 시장, 2015년보다 약 40% 상승한 US$ 15,000 million 예상.

유비산업리서치에서 발간한 2016 OLED Display Annual Report에 따르면 2016년 AMOLED panel 시장은 2015년보다 약 40% 상승한 US$ 15,000 million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출하량도 전년대비 16% 상승한 약 2억 7천만 개로 예상하며 2016년은 AMOLED 산업이 재도약 할 수 있는 한 해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유비산업리서치는 “삼성전자가 Galaxy 보급형 모델에 AMOLED panel을 적극적으로 채택하고 있고, 중국의 set업체에서도 AMOLED panel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여기에 Apple의 iPhone에도 flexible AMOLED panel 적용이 확실시 되고 있으며, OLED TV 판매량도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LCD를 점차적으로 대체할 것으로 기대된다.” 라고 밝혔다. 특히 mobile 기기용 AMOLED 시장 관련하여 “Flexible AMOLED panel을 탑재할 set에 대한 시장을 분석한 결과 2020년까지 약 월 500K(Gen6기준) 정도 요구될 것으로 예상되어 본격적인 flexible AMOLED 투자가 지속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AMOLED 시장은 2014년 성장이 잠시 주춤했지만 보급형 AMOLED panel과 flexible AMOLED panel 수요 증가로 인하여 2015년 다시 한번 큰 폭으로 성장하였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와 더불어 전체 smart phone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Apple의 iPhone에 flexible AMOLED panel 적용을 위한 투자가 적극적으로 검토 중에 있다. 또한 중국과 일본, 대만의 panel 업체들 에서도 flexible AMOLED panel에 대한 투자를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상황으로 OLED 관련 산업이 침체되어 있는 display산업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본 보고서에 따르면 AMOLED panel 시장은 2015년 약 2억 3천만 개로 US$ 10,000 million을 돌파하며 전년대비 약 25%의 성장 한 것으로 집계하였으며, 202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약 46%로 성장하여 US$ 67,000 million 규모의 시장이 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AMOLED panel 시장 전망(2016~2020)

D-21 to the 2nd OLED KOREA Conference

The 2nd OLED KOREA Conference, which is receiving much attention as the world’s largest OLED international business conference, is only 21 days away. At this conference, the OLED industry leading panel companies,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are scheduled to give keynote sessions. Through this, future OLED industry direction forecast is anticipated. UBI Research is to discuss the rapidly changing the OLED industry’s current status and future, and China’s Visionox is expected to examine the flexible AMOLED’s potential and future market.

 

Furthermore, sessions with diverse topics are prepared. These include next generation backplane technology, AMOLED mass production technology, issues facing OLED industry, QLED which is receiving interest as the display after OLED, various applications for OELD, etc. Therefore, this event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materials and manufacturing companies, as well as display panel companies, university, research lab, and display industry related professionals, providing assistance in responding to the next generation display industry and a place of sharing information and thoughts.

 

Particularly, away from formal discussions, the OLED Reception will prove to be a valuable time through conversations on future of OLED in a comfortable setting.

 

The 2nd OLED KOREA Conference will be held for 2 days on February 24-25 at The-K Hotel Seoul in South Korea. 9 sessions in total will be held with 30 speakers, including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and approximately over 200 display related industry/academy players will be in attendance.

 

Advance registration is open until February 23 with approximately 10% discount. As the places are limited, early registration is recommended. Conference registration can be accessed through the 2nd OLED KOREA Conference homepage (www.oledkoreaconference.com). Enquiries can be made to Hana Oh (hanaoh@ubiresearch.co.kr).

 

제 2회 OLED Korea Conference D-22로 다가와

세계 최대의 OLED International Business Conference로 주목받고 있는 제 2회 OLED Korea Conference가 22일 앞으로 다가왔다. 이번 제 2회 OLED Korea Conference에서는 OLED industry를 주도하고 있는 panel 업체인 Samsung Display와 LG Display에서 keynote session 발표가 예정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앞으로 OLED industry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전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유비산업리서치에서는 급변하고 있는 OLED industry에 대해 현 상황과 앞으로의 전망을 짚어볼 예정이며   중국의 Visionox에서도 flexible AMOLED에 대한 잠재력과 앞으로의 시장에 대해 다룰 전망이다.

이밖에도 차세대 backplane 기술과 AMOLED 양산기술, OLED산업이 직면하고 있는 이슈, OLED이후의 display로 주목받고 있는 QLED, OLED가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application등 다양한 주제의 session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display panel 업체뿐만 아니라 재료업체, 장비업체, 대학, 연구소등 display 산업 관련 종사자들에게 앞으로 다가올 차세대display 산업에 대응할 수 있고 다양한 정보와 의견 교환의 장이 마련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OLED Reception을 통해 딱딱한 토론에서 벗어나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의 대화를 통해 미래의 OLED 그려 볼 수 있는 가치있는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제 2회 OLED Korea Conference 는 2016년 2월 24일부터 25일까지 이틀 동안 The-K Seoul Hotel에서 개최되며, 총 9개 session, Samsung Display와 LG Display를 포함한 30명의 연사자들이 발표하고 약 200명 이상의display관련 산학연 종사자들 참석할 예정이다.

2월23일까지 사전등록 기간으로, 기간내 등록시 약 10% 할인된 금액으로 등록가능하며 좌석이 한정되어 있어 빠른 등록을 추천한다고 전했다. 컨퍼런스 참가신청은 ‘제2회 OLED KOREA Conference‘ 공식홈페이지(www.oledkoreaconference.com)를 통해 할 수 있으며 관련 문의사항은 오하나 과장(hanaoh@ubiresearch.co.kr)로 하면 된다.

Sung-Chul Kim, Samsung Display’s CTO, What is Needed for OLED To Enter New Areas?

Sung-Chul Kim, Samsung Display’s CTO, at the 1st OLED Frontier Forum (Jan 28) gave a presentation ‘AMOLED Technical Issue and Future’ and discussed OLED technological issues of the past and present.

 

Kim pointed out the fact that glass substrate is not always necessary for OLED as the most different factor compared to LCD, and emphasized flexible OLED where plastic substrate is used. Kim reported that flexible OLED issues include window’s durability and coating, touch panel’s electrode materials and flexibility, reduction of number of encapsulation layers and flexibility, and backplane’s low stress structure and OTFT application. He revealed that developing spherical stretchable display, which the user can zoom in, is also included in the product roadmap.

 

Regarding transparent/mirror display, Kim announced that this is the direction that OLED should head toward and added that layout design development suitable for different application areas is needed. Specifically, the transparent display should be developed to increase the transmittance area and decrease the TFT area, and the mirror display to optimize the ratio between the total reflection and half-reflection areas.

 

Additionally, in order to produce high resolution OLED, Kim mentioned that innovation in terms of pixel operation and backplane structure is needed. He emphasized compensation circuit and that whether high resolution display can be manufactured cheaply and using simple structure is the key.

 

Kim discussed wall display, IoT, educational display, etc. as the new applications which will become important in future. Particularly, mentioning the automotive display area, Kim explained that for OLED to enter these new areas, plastic materials suitable for each applications and technology that can correctly process this are required. In order for this type of research development to be carried out smoothly, Kim added that cooperation between the academia and industry is necessary.

 

삼성디스플레이 김성철 CTO, 신규 분야에 OLED가 진출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는?

제1회 OLED Frontier Forum에서 삼성디스플레이의 김성철 CTO는 ‘AMOLED Technical Issue and Future’라는 제목으로 OLED의 과거와 현재의 기술적인 이슈에 대해 점검하는 시간을 가졌다.

김성철 CTO는 OLED가 LCD에 비해 가장 차별화되는 점으로 꼭 glass 기판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꼽으며, plastic 기판이 적용되는 flexible OLED에 대해 강조하였다. 김성철 CTO는 “플렉시블 OLED에 대한 이슈로 window의 내구성과 코팅, 터치패널의 전극 재료와 flexibility, encapsulation의 layer수 감소와 flexibility, backplane의 저stress 구조와 OTFT 적용이 있다.”고 발표하며 사용자가 관심있어 하는 부분을 확대하여 볼 수 있도록 구 형태의 stretchable 디스플레이를 개발하는 것까지 제품 로드맵이 되어 있다고 밝혔다.

김성철 CTO는 투명/거울 디스플레이와 관련해서는 앞으로 OLED가 발전해 나아가야 할 길이라고 밝히며 각 응용 분야에 알맞은 layout design 개발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하였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과부가 높아지고 TFT 면적이 낮아지는 방향으로, 거울 디스플레이는 전반사와 반반사 부분의 비율을 최적화하는 방향으로 개발되어야 한다.”고 발표했다.

또한 고해상도 OLED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pixel 구동과 backplane 구조 측면에서 혁신이 필요하며, 특히 보상회로를 강조하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저렴하고 단순한 구조로 만들 수 있는가’가 핵심이라고 밝혔다.

미래에 중요하게 될 새로운 application으로 김성철 CTO는 wall 디스플레이, IoT, 교육용 디스플레이 등이 있다고 발표했다. 특히 차량용 디스플레이 분야를 언급하면서 OLED가 이런 신규 분야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각 application에 알맞은 플라스틱 재료와 이를 제대로 가공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 개발이 원할히 진행되기 위해서는 산학연 연계가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New Products to be Released Using Visionox’s AMOLED Display

On Dec. 25th, Visionox announced that two products using its display panels will soon be released, including a 5.5 inch AMOLED display applied to high-end smartphone, and a 1.45 inch AMOLED display applied to smartwatch.

 

5.5 inch AMOLED Display Panel, Source : Visionox

5.5 inch AMOLED Display Panel, Source : Visionox

 

It is noted that the 1.45 inch AMOLED display has a display resolution of 272X340 and pixel resolution of 300 ppi, which reaches the highest pixel resolution in the domestic similar products. The thickness is less than 1 mm and the frame is only 1.5 mm. Furthermore, this display also offers MIPI and SPI interface functionality.

 

1.45 inch AMOLED Display Panel, Source : Visionox

1.45 inch AMOLED Display Panel, Source : Visionox

 

The smartwatch using 1.45 AMOLED display will be on sale in mainland China during the Spring Festival 2016 and the smartphone using 5.5 AMOLED display will be released to overseas market in Mar. 2016

Visionox의 AMOLED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신제품 출시 예정

12월 25일, Visionox는 자사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한 2개의 제품이 출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출시 예정 제품은 5.5inch AMOLED 디스플레이(HD급)를 적용한 스마트폰과 1.45inch AMOLED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스마트워치이다.

5.5inch AMOLED 디스플레이 패널, Source : Visionox

5.5inch AMOLED 디스플레이 패널, Source : Visionox

.1.45 inch AMOLED 디스플레이 패널은 272X340의 해상도를 가지고 있다. 이는 300 ppi로 중국의 비슷한 제품들과 비교했을 때 가장 높은 픽셀 해상도이다. 패널의 두께는 1mm보다 얇으며 프레임은 1.5mm이다. 또한 이 디스플레이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and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를 지원한다.

1.45inch AMOLED 디스플레이 패널, Source : Visionox

1.45inch AMOLED 디스플레이 패널, Source : Visionox

1.45 AMOLED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스마트워치는 2016 춘절 기간 동안 중국 본토에서 판매될 예정이며 5.5 AMOLED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스마트폰은 2016년 3월 해외 시장에 공개될 예정이다.

OLED and Graphene Together Achieves Innovative Technology

By Choong Hoon Yi

 

Korean research team is expected to greatly improve display’s transmittance and picture quality through fusing graphene technology, focus of much attention as the new material to OLED technology.

 

On December 15, ETRI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eplaced the thin metal electrode that was used as transparent electrode on top of the OLED substrate with graphene transparent electrode, and succeeded in developing original technology that is conductive and transparent.

 

This research results were presented in Scientific Reports, a journal from the publishers of Nature on December 2.

 

The metal electrode used in OLED until now has been mostly silver material, but due to the reflection of internal light, the viewing angle changed depending on the angle. The external light also affected picture quality due to reflec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ETRI research team focused on graphene that mostly does not reflect internal/external light. By replacing the material, the team reported that the transmittance increased by approximately 40% and reflectance improved by approximately 60%.

 

OLED was successfully lighted by attaching graphene transparent electrode to the organic layer on top of the film form (23 x 23 mm, 30 ㎛ thickness) of substrate. The research team believes this will be able to contribute much when applied to transparent OLED display and white OLED-based large area OLED display in future.

 

Particularly, unlike the existing vacuum process OLED production method, this technology can be employed via lamination where film is attached to the organic layer and graphene. Therefore, OLED can be produced through simpler process. It is expected that this can be evolved into production technology using roll to roll process.

 

Additionally, ETRI, together with Hanwha Techwin, is working on applying graphene transparent electrode to OLED’s lower electrode through collaboration of high quality graphene thin film electrode materials. The related technology development results were published online by The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of Selected Topics in Quantum Electronics.

 

ETRI’s Dr. Jeong-Ik Lee (soft I/O interface research section) anticipated that “this technology will be able to play a role in widening the gap with latecomer countries in OLED industry where challenging latecomers are strong”.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hrough Korea’s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and Institute for 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Promotion (IITP)’s “Energy reducing environment adapting I/O platform technology development for future advertisement service” project and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nd 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s “Substrate size 5.5 generation or larger graphene film and OLED device/panel foundation and application technology development for graphene materials OLED transparent electrode and thin film encapsulation application”.

 

ETRI is planning to additionally develop sheet tension reducing technology by manufacturing metal in thin, grid forms and enlargement technology to produce mobile display size within 2016.

 

Through this technology, the research team produced 6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s and 6 papers. ETRI is intending to transfer the technology to graphene film and display panel companies among others. Commercialization is estimated to begin after 3 years.

1.Graphene transparent electrode applied lit OLED

1. Graphene transparent electrode applied lit OLED

 

2. OLED with existing thin metal electrode and graphene electrode OLED comparison (Left: Graphene, Right: Thin Metal, Ag)

2. OLED with existing thin metal electrode and graphene electrode OLED comparison (Left: Graphene, Right: Thin Metal, Ag)

 

3.Film including graphene transparent electrode applied to lamination process using OLED production

3. Comparison graph of existing thin metal electrode OLED and graphene electrode OLED

 

4.Film including graphene transparent electrode applied to lamination process using OLED production

4. Film including graphene transparent electrode applied to lamination process using OLED production

 

5.Graphene transparent electrode OLED Production Process

5. Graphene transparent electrode OLED Production Process

 

[Process Explanation]

After manufacturing laminated film, formed with bonding layer (BL) and PET film, using surface treated substrate, graphene transparent electrode is transferred on to the bonding layer. By laminating the laminated film that includes graphene transparent electrode on the substrate (lower electrode and organic layer), OLED where graphene transparent electrode is used as upper electrode is complete.

 

6.Graphene OLED of diverse colors

6. Graphene OLED of diverse colors

ETRI, OLED에 그래핀 붙여 투명도•화질개선

국내 연구진이 꿈의 디스플레이로 각광받고 있는 OLED 기술에 최근 신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그래핀 기술을 접목, 디스플레이의 투명도와 화질을 크게 개선시킬 전망이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는 OLED 기판의 위쪽에 투명전극으로 사용하던 얇은 금속전극을 그래핀 투명전극으로 대체, 전기가 흐르되 투명하게 만드는 원천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연구성과는 지난 2일, 네이처(Nature)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되었다.

그동안 OLED에 사용하던 금속전극은 주로 은(Ag)소재 였는데 내부광에 의한 반사로 각도에 따라 시야각이 바뀌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외부광에 의해서도 반사로 인해 화질에 영향을 주었다.

ETRI 연구진은 이를 원천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내·외부광에 반사가 거의 없는 그래핀에 주목하고 이를 대체한 결과, 투명도는 약 40%,  반사도는 약 60% 더 좋아졌다고 밝혔다.

본 기술은 현재, 가로 세로 각 23mm 크기, 두께 30㎛(마이크로미터)  필름형태로 만들어 유기층에 그래핀 투명전극을 붙여 OLED 점등 시연에 성공했다고 말했다.

향후, 투명 OLED 디스플레이와 백색 OLED 기반 대면적 OLED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경우 투명도와 화질개선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연구진은 내다봤다.

특히, 본 기술은 기존 진공 공정의 OLED 제조 방법과 달리, 유기층과 그래핀에 필름을 붙이는 방식(Lamination)으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간단한 공정으로 OLED 제조가 가능하다. 향후 둘둘 말아 쓰는 형태(Roll to roll)의 연속공정을 이용한 제조기술로 발전해 나갈 전망이다.

또한, ETRI는 한화테크윈(주)과 함께 그래핀 투명전극을 OLED의 하부전극에도 적용하는 기술개발을 고품질 그래핀 박막 전극 소재 협력을 통해 진행 중이다. 관련 기술 개발 결과는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서 발행하는 나노포토닉스 분야(JSTQE) 저널의 온라인판에 게재되었다.

ETRI 이정익 소프트I/O인터페이스연구실장은“후발국의 거센 도전을 받고 있는 OLED 산업에서 본 기술은 후발국과의 초격차를 확대해 나가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본 연구 결과는 미래창조과학부 및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미래광고 서비스를 위한 에너지절감형 환경적응 I/O 플랫폼 기술 개발” 과제와 산업통상자원부 및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그래핀 소재의 OLED 투명전극과 박막봉지 적용을 위한 기판 사이즈 5.5.세대 이상의 그래핀 필름 및 OLED 소자/패널 기초 및 응용 기술 개발”과제를 통해 이뤄졌다.

ETRI는 향후, 금속을 얇게 그리드 형태로 만들어 면저항을 낮추는 기술과 크기를 모바일 디스플레이 크기로 대면적화 하는 기술을 내년 중 추가로 개발할 계획이다.

연구진은 본 기술개발을 통해 국제특허 출원 6건, SCI급 논문 6편의 성과를 올렸다.

향후 ETRI는 본 기술을 그래핀 필름, 디스플레이 패널업체 등에 기술이전 할 계획이다. 상용화시점은 3년 후로 보고 있다.

1. 그래핀 투명전극을 적용한 OLED의 점등 모습

1. 그래핀 투명전극을 적용한 OLED의 점등 모습

2. 기존의 얇은 금속 전극을 갖는 OLED와 그래핀 전극의 OLED의 비교 사진

2. 기존의 얇은 금속 전극을 갖는 OLED와 그래핀 전극의 OLED의 비교 사진(좌 : 그래핀, 우: 얇은 금속, Ag)

3. 기존의 얇은 금속 전극을 갖는 OLED와 그래핀 전극의 OLED의 비교 그래프

3. 기존의 얇은 금속 전극을 갖는 OLED와 그래핀 전극의 OLED의 비교 그래프

4. 라미네이션 공정을 이용한 OLED 제조에 사용되는 그래핀 투명전극을 포함하는 필름

4. 라미네이션 공정을 이용한 OLED 제조에 사용되는 그래핀 투명전극을 포함하는 필름

4. 그래핀 투명전극 OLED의 제조 공정도

5. 그래핀 투명전극 OLED의 제조 공정도

[공정설명]

표면처리가 된 기판을 이용하여 Bonding layer (BL)와 PET필름으로 구성된 접합필름을 제조한 이후 그래핀 투명전극을 Bonding layer 상부로 전사한다. 하부전극과 유기층으로 이루어진 기판에 그래핀 투명전극이 포함된 접합필름을 라미네이션 함으로써 그래핀 투명전극이 상부전극으로 사용되는 OLED 제조가 완성된다.

다양한 색상의 그래핀 OLED

6. 다양한 색상의 그래핀 OLED

Now is the Time to Invest for OLED to be the Next Generation Display

By Hyun Jun Jang

 

 

 

 

On December 10, a seminar specializing company bizocean held ‘2016 Next Generation Display’s Latest Trend and Cutting Edge Industry Application Issues and Business Creation Seminar’ in Korea Technology Center. Professor Changhee Le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first speaker of the seminar, announced that as OLED will become the technology for future display, now is the time for investment by the companies.

 

Lee reported that the display follows camera’s resolution, and although resolution has been developed up to UHD, he forecast that it will advance further. He also added that higher the resolution, the display performance that consumers demand will increase.

 

Regarding the current display market status, Lee explained that as the LCD’s margin is falling the market has to turn to OLED, but it is still expensive and capacity is low. Additionally, from the way consumers are still using the term liquid crystal regarding Samsung’s AMOLED smartphone, Lee speculated that people have difficulty in distinguishing between LCD and OLED. He told the audience that the industry should inform the public of the OLED’s differences from LCD through transparent, flexible displays that show OLED’s superior traits, and open the market through product differentiation strategy.

 

For the future display, Lee pointed out printing OLED. He explained that although printing OLED’s lifetime, particularly blue’s, falls short compared to vacuum evaporation, it is estimated to reach commercialization stage after 2-3 years. Despite the flaws in terms of materials, Lee reported that the advantages such as reduced production cost, fast tact time, and material usage efficiency will lead to the opening of the market. For these reasons, Samsung and LG are carrying out development.

 

Lee forecast that LCD, in its maturity stage of the industry life cycle, will lead the market for a while, but OLED technology will rapidly evolve and become the focus of the next generation display market. Regarding OLED TV, Lee mentioned that large area OLED mass production through printing technology is urgent in order to achieve price competitiveness. At present, OLED’s capacity is less than 1/100 of LCD. As such, even if there is demand, supply may not be able to meet it and Lee suggested the need for investment to the companies. He added that if there is low supply when the number of customers is high, the opening of the market could be delayed.

 

<Display Market Forecast Source: Professor Changhee Lee Presentation Material>

Lee mentioned QLED as another future display technology. QLED has the same structure as OLED but uses quantum dot as the emitting materials, changing colors through different sizes. Lee reported that the color gamut is high as the wavelengths are shorter than OLED emitting materials. Also as the same material is used, QLED has an advantage of reduced material production cost and development of micro display with 2,000 ppi is complete. However, Lee added that as the lifetime is nowhere near sufficient, commercialization stage is still far away.

차세대 디스플레이, OLED로 가기 위해 투자가 필요한 시점

지난 10일 세미나 전문 기업 비즈오션이 주최한 ‘2016년 차세대 디스플레이 최신 동향과 첨단 산업적용 이슈 및 비즈니스 창출 세미나’가 한국기술센터에서 열렸다. 이날 처음 발표자로 나온 서울대학교 이창희 교수는 OLED가 미래의 디스플레이 기술이 될 것이기 때문에 업체들의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발표했다.

이창희 교수는 ‘디스플레이는 카메라의 해상도를 따라간다’고 말하며 UHD 해상도까지 개발된 상태지만 앞으로 더 높은 해상도로 갈 것을 전망했다. 더 높은 해상도로 갈수록 고객이 요구하는 디스플레이 성능은 높아질 것이라는 말도 덧붙였다.

현재 디스플레이 시장상황에 대해 이 교수는 ‘LCD는 마진이 떨어지고 있어 OLED로 시장을 개화해야 하지만, 아직 비싸고 capa가 적다’고 말했다. 또한 고객들이 삼성의 AMOLED 스마트폰에서 ‘‘액정이 나갔다’라는 말을 쓰는 것을 보면 아직 LCD와 OLED를 구분하지 못하는 것 같다’고 말하며, ‘OLED의 특성을 살린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LCD와의 차이점을 알리고, 차별화 전략으로 시장을 열어야 한다’고 발표했다.

이창희 교수는 미래의 디스플레이로 프린팅 OLED를 꼽았다. 이 교수는 프린팅 OLED에 대해서 ‘프린팅 OLED는 진공증착보다 특히 청색의 수명이 떨어지지만 2~3년 후면 상용화 단계에 오를 것’이라고 말했다. 아직 재료 측면에서 보면 부족하지만 제조 원가 절감과 빠른 tact time, 재료 사용 효율 등의 장점이 시장을 개화할 수 밖에 만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삼성과 LG에서도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이창희 교수는 LCD는 산업 주기 중 성숙기로 당분간 시장을 주도하지만 OLED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의 주역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OLED TV는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프린팅 기술을 바탕으로 한 대면적 OLED의 양산이 시급한 점을 언급했다. 현재 OLED의 capa가 LCD에 비해 100분의 1도 안되어 수요량이 있어도 공급이 따라가지 못할 수 있기에 업체들에게 투자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고객의 수요가 많으나 공급이 적으면 시장 개화의 지연이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Display 시장 전망 [출처 : 이창희 교수 발표자료]>

한편 또 하나의 미래 디스플레이 기술로 뽑은 QLED는 OLED와 구조가 같지만 발광 재료를 Quantum dot이라는 하나의 재료로 소자의 크기만 변경하여 반응을 달리해 색깔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이 교수는 ‘OLED 발광 재료보다 색을 표현하는 파장이 짧아 색 재현률이 높으며, 같은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재료 원가 절감의 강점이 있으며, 2,000ppi의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개발이 완료 되었다.” 라고 발표했다. 하지만 아직 재료의 수명이 턱없이 적어 상용화 단계로는 아직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2015 OLED Evaluation Seminar] Oxide TFT Technology that 2015 should Spotlight

By Hyun Jun Jang

 

During the 2015 OLED Evaluation Seminar (December 4) hosted by UBI Research, Professor Jin-Seong Park of Hanyang University gave a presentation titled OLED Oxide TFT Technology Trend, discussing oxide TFT, related industry, and technological issues as well as TFT technology that should receive the spotlight in 2016.

 

Oxide TFT has an advantage of high mobility and large area uniformity compared to a-Si TFT. As such, it is being more applied to large area OLED panel and used in LG Display’s OLED TV.

 

Park revealed that there are mainly 4 issues regarding oxide TFT and led with the reliability issue. Oxide TFT is essentially in amorphous state but when crystalized, the density and crystallizability increase; as oxygen does not move away and stay in place, defects occur less and reliability is high. Japan’s SEL and Sharp published CAAC (C-Axis Aligned Crystal) structure related oxide TFT paper, and Cornell University produced CAAC oxide TFT by increasing the substrate temperature and adjusting oxygen’s partial pressure.

 

The second issue is composition ratio. Park reported that composition ratio is the most closely related characteristic to TFT’s mobility. He revealed that recently research is being carried out centering around IGZO (indium gallium zinc oxide), but also oxide TFT research with different composition ratio is continually published. For example, ITZO (indium tin zinc oxide)’s mobility has been reported to reach 30cm/Vsec, and BOE is working on the related research. Research results, which showed increased mobility and reliability for IGZTO, which is IZTO with G added, was published, as well as ZnON (zinc oxide nitride) TFT’s 100cm/Vsec mobility. BOE demonstrated ZnO TFT applied 14.1inch AMOLED.

 

The third issue is the device structure. Park explained that efficiency can increase when top gate structure is used to oxide TFT as parasitic capacitor is not needed, but that the process is difficult. However, Park reported that JOLED revealed when self-alignment is used the number of masks used can be reduced and increases performance. This structure is applied to OLED TV by LG Display.

 

Lastly, Park gave the safety of device as the last issue. Oxide TFT can exhibit degradation effects from light, oxygen, hydrogen, and moisture. Park reported that hydrogen particularly has great effect on the safety. He explained that although the current prevailing OLED TFT is LTPS, as the panel becomes larger there will be technological competition between oxide and LTPS. Reporting that TFT which is cost efficient and shows high performance in diverse factors such as resolution will dominate the market, Park concluded his presentation.

 

 

 

[2015 OLED Evaluation Seminar] Professor Hong Mun-Pyo of Korea University Retraces Flexible OLED’s Key Issues

By Hyun Jun Jang

 

During the 2015 OLED Evaluation Seminar (December 4) hosted by UBI Research, Professor Hong Mun-Pyo of Korea University gave a talk titled Flexible AMOLED Gas Barrier Technology Development Status. Through this presentation, he discussed in detail flexible OLED’s outline, technological issues, and encapsulation among other key issues.

 

Flexible display signifies a display that was produced on top of flexible substrate, and not an existing glass substrate, which can bend, fold, or roll without breaking. Hong emphasized flexible display is the next generation display that can simultaneously satisfy consumers and panel makers, and an area that OLED can be more valuable compared to LCD.

 

There are 3 essential issues in flexible display, substrate, TFT array, and display processes, as well as ancillary issues such as application and cost. Hong reported key issues regarding substrate and display process.

 

Flexible display uses plastic substrate, instead of glass, that is strong against shock and can bend. Therefore, handling technology that manages plastic substrate is considered a key technology in flexible display production. Hong revealed that for handling technology, a film lamination method and vanish coating method are mainly used. A film lamination method is where plastic substrate is attached to carrier glass using adhesive before being processed and a vanish coating method is where the PI substrate is coated to the carrier glass before processing. He emphasized that no matter which method is used, the debonding technology used to detach the plastic substrate from the glass plays a crucial role in deciding yield.

 

Hong followed the substrate discussion with encapsulation technology. Encapsulation technology prevents moisture and oxygen that affect OLED panel’s performance from infiltrating in order to increase the display’s lifetime. As it is a core process that decides OLED panel’s yield, OLED panel production companies are focusing on optimum encapsulation technology development.

 

Key issues of encapsulation technology that is currently being applied to flexible OLED, barrier coating related issues a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Barrier coating is the coating applied to the plastic substrat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that occur as existing glass substrate is replaced by plastic. For flexible encapsulation, as can type or frit seal technologies that were used for glass encapsulation cannot be used, face seal or TFE technologies that can be applied to flexible are used. Also, as the permeability of oxygen and moisture has to be 10-6g/m2day or less, high performing barrier coating technology is needed.

 

When barrier coating is used to flexible OLED, generally 3 problems occur. Firstly, physically cracks or particles can develop. Regarding this, Hong explained that this issue can be solved if process is properly maintained. The second problem is micro defects that can arise on the surface of plastic film, which can be solved through optimized process, according to Hong. Lastly, nano-sized pin holes can come up. Hong revealed that multi-layers of barrier coating can solve this problem.

 

Generally, when OLED panel is produced the thickness of encapsulation layer is not a big issue. However, Hong emphasized that the thickness becomes a core issue when producing flexible OLED panel. He reported that hybrid structure of encapsulation where gas barrier cover plate is attached to passivation layer placed via PECVD can be the solution.

 

Although the most suitable process technology for hybrid encapsulation production is R2R, as appropriate results are not obtained when CVD is applied to R2R, Hong reported that research is being carried out toward the sputtering using direction. He revealed that if reflection plate is added to the sputtering equipment and neutron beam release is induced, defects that occur during the sputtering process can be reduced as the target thin film stabilizes.

 

홍문표 교수2

[2015 OLED 결산 세미나] 2016년 주목해야 할 Oxide TFT 기술은?

유비산업리서치가 12월 4일 개최한 ‘2015 OLED 결산 세미나’에서 한양대학교 박진성 교수는 ‘OLED용 산화물 TFT 기술 동향’이라는 제목의 강연을 통해 산화물 TFT와 관련된 산업, 기술적 이슈를 되짚고 2016년 주목해야 할 TFT 기술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Oxide TFT는 a-Si TFT에 비해 mobility와 대면적 균일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어 대면적 OLED 패널 중심으로 적용되는 추세이며 LG 디스플레이의 OLED TV에 적용되고 있다.

박 교수는 oxide TFT에 관련해서 크게 4가지 이슈가 있다고 밝혔다. 먼저 신뢰성에 대한 이슈에 대해 발표했다. 기본적으로 oxide TFT는 비정질 상태이지만 결정화할 경우 density와 결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산소가 빠져나가지 않고 제자리를 지키고 있어 defect이 적으며 신뢰성이 높다. 일본의 SEL과 Sharp는 CAAC(C-Axis Aligned Crystal) 구조와 관련된 oxide TFT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코넬 대학에서는 기판의 온도를 올리고 산소의 분압을 조절해서 CAAC oxide TFT를 제작했다.

두 번째 이슈로는 조성비가 있다고 밝혔다. 박 교수는 조성비는 TFT의 이동도에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특성이라고 발표하며 최근에는 IGZO(Indium Gallium Zinc Oxide)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다른 조성비를 가진 oxide TFT에 대한 연구결과도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ITZO(Indium Tin Zinc Oxide)는 이동도가 30cm/V·Sec까지 올라간다는 성과가 나오기도 했으며 BOE에서 관련 연구를 하고 있다. 또한 IZTO에 G을 추가한 IGZTO는 이동도와 신뢰성이 더 올라갔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으며 ZnON(Zinc Oxide Nitride) TFT는 100cm/V·Sec까지 이동도가 올라갈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BOE는 ZnO TFT를 적용해 14.1인치의 AMOLED의 데모버전을 선보이기도 했다.

세 번째 이슈로는 소자의 구조가 있다고 발표했다. 박 교수는 top gate구조를 oxide TFT에 사용할 경우 기생 capacitor를 없앨 수 있어 효율을 높일 수 있지만 oxide TFT에 적용할 경우 공정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고 밝히며 “하지만 JOLED에서 self-align을 사용할 경우 mask 수를 줄일 수 있고 특성이 좋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으며 같은 구조를 LG 디스플레이에서 OLED TV에 적용하고 있다.”라고 발표했다.

박 교수는 마지막 이슈로 소자의 안정성을 꼽았다. Oxide TFT는 빛과 산소, 수소, 수분에 특성이 하락하는 degradation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수소가 안정성에 큰 영향을 준다고 발표했다. 박 교수는 현재 OLED TFT의 주류는 LTPS이지만 패널이 대면적화 될수록 oxide와 LTPS와의 기술 경쟁이 나타날 것이고 cost efficiency와 해상도 등 다양한 factor에서 높은 성능을 발휘하는 TFT가 시장을 장악할 것이라고 밝히며 발표를 마쳤다.

 

[2015 OLED 결산 세미나] 고려대학교 홍문표 교수, 플렉시블 OLED의 핵심이슈를 되짚다.

4일 유비산업리서치가 개최한 ‘2015 OLED 결산 세미나’에서 고려대학교 홍문표 교수는 ‘Flexible AMOLED용 Gas Barrier 기술개발 현황’이라는 제목의 강연을 통해 플렉시블 OLED의 개요와 기술적인 이슈, 플렉시블 OLED에 적용되는 encapsulation들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기존 유기기판이 아닌 깨지지 않으며, 휘거나 구부리거나 말 수 있는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된 디스플레이를 의미한다. 홍 교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소비자와 패널 maker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라고 강조하며 OLED가 LCD보다 더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분야라고 밝혔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는 크게 기판과 TFT array 공정, 디스플레이 공정 이라는 3가지의 기술적인 이슈가 있으며 application과 cost 등 부수적인 이슈들이 있다. 이 날 홍 교수는 기판, 디스플레이 공정에 대한 핵심 기술에 대한 내용을 발표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는 유리기판이 아닌 휘어질 수 있고 충격에 강한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한다. 그래서 플라스틱 기판을 다루는 handling 기술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작에 핵심적인 기술로 꼽힌다. 홍 교수는 “Handling 기술에는 adhesive를 사용해서 플라스틱 기판을 carrier glass에 붙이고 공정을 진행하는 film lamination 방식과 PI기판을 carrier glass에 코팅한 후 공정을 진행하는 vanish coating 방식이 주요하게 쓰인다.”고 밝히며 어떤 방식을 사용하던지 플라스틱 기판을 glass에서 떼내는 debonding 기술이 수율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홍 교수는 이어서 디스플레이 공정 중 encapsulation 기술에 관해 논했다. Encapsulation 기술은 디스플레이의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해 OLED panel의 성능에 영향을 주는 수분과 산소의 투습을 방지하는 기술을 말하며 OLED panel의 수율을 결정짓는 핵심 공정이기 때문에 각 OLED panel 제조 업체는 최적의 encapsulation 기술을 찾는데 집중하고 있다.

현재 플렉시블 OLED에 적용되는 encapsulation의 핵심 이슈로는 barrier coating에 대한 것이 가장 중요하게 꼽힌다. Barrier coating은 기존 유리기판을 플라스틱으로 대체하면서 발생하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플라스틱 기판에 부착하는 코팅을 말한다. 플렉시블 encapsulation에는 기존 glass encapsulation에 쓰이는 can type나 frit seal과 같은 기술이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플렉시블에 적용 가능한 face seal이나 TFE과 같은 기술이 사용된다. 또한 투습되는 산소와 수분의 양은 10-6g/m2day이하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고성능의 barrier coating 기술이 필요하다.

플렉시블 OLED에 barrier coating이 사용될 때 일반적으로 3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먼저 물리적으로 크랙이나 파티클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홍 교수는 공정 관리를 잘해주면 해결 가능하다고 밝혔다. 두번째로는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에 마이크로 단위 크기의 defect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공정을 최적화해서 해결 가능하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나노사이즈의 pin hole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barrier coating을 다층박막으로 형성해 해결할 수 있다고 밝혔다.

홍 교수는 보통의 OLED 패널을 제작할 때는 encapsulation 층의 두께가 크게 이슈가 되지 않지만 플렉시블 OLED 패널을 제작할 때는 두께가 핵심적인 이슈가 된다고 강조하며 PECVD로 passivation 층을 올리고 그 위에 gas barrier cover plate를 합착하는 hybrid 구조의 encapsulation이 이에 대한 솔루션이 될 수 있다고 발표했다.

또한 Hybrid encapsulation 제조 시 가장 적합한 공정 기술은 R2R이지만 CVD를 R2R에 적용할 경우 적절한 특성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sputtering을 사용하는 방향으로 연구되고 있다고 하며, sputtering 장비에 반사판을 설치하여 중성화 빔이 방출하도록 유도하면 target 박막을 안정화시켜 기존 sputtering 공정 중에 발생되는 defect를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미리 보는 “2015 OLED 결산 세미나”

LG디스플레이는 지난 26일 이사회를 열어 세계 최대 규모로 OLED 중심의 P10 공장 건설 등에 총 1조 8,400억원 규모의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으며, 삼성 디스플레이는 본격적으로 OLED 패널에 대한 외부 업체 공급 활성화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현재 디스플레이 시장은 저성장 국면에 접어들고 있어 각 업체들은 신기술 개발과 생산성 증대를 통해 시장 경쟁력 강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12월 4일 유비산업리서치에서 개최하는 ‘2015 OLED 결산 세미나’는 디스플레이 산업에 대한 시장 경쟁력 강화에 대한 이슈를 미래 성장동력인 투명 플렉서블 기술과 발광재료, 장비, AMOLED 패널 산업, oxide TFT 기술, OLED 제조 기술 등 다양한 주제의 강연을 통해 재고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G디스플레이의 김정현 단장은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미래’라는 제목의 강연을 통해 투명 디스플레이의 현재 개발동향과 미래에 대한 전망에 대해서 심도 있게 논할 예정이다. 투명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가 나타나는 영역이 투명해 뒤의 사물을 볼 수 있는 형태의 디스플레이이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내구성과 디자인 자유도가 높은 장점이 있기 때문에 투명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 투명 디스플레이보다 더 다양한 적용분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 단장은 이번 강연에서 LG디스플레이가 생각하는 플렉시블과 투명 디스플레이의 가치와 application에 관해 구체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패널 업체들은 이번 발표를 통해 투명 플렉시블 패널 개발이 디스플레이 산업에 미칠 영향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덕산네오룩스 강성기 전무는 ‘AMOLED용 유기재료의 기술, 산업 동향’라는 제목의 강연을 할 예정이다. 강 전무는 이번 발표에서 발광재료 시장의 현재 상황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논할 예정으로서, 특히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R2R공정, 투명디스플레이 등에 대한 개발 이슈를 논하고 적용 가능한 소재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이 밖에 순천향대학교의 문대규 교수와 한양대학교 박진성 교수, 고려대학교 홍문표 교수는 ‘OLED 제조기술 동향(문대규 순천향대 교수)’와 ’OLED용 산화물 TFT 기술 동향(박진성 한양대 교수)’, ‘플렉시블 OLED용 가스 베리어 기술(홍문표 고려대 교수)‘라는 주제로 OLED의 backplane과 발광층, encapsulation 등에 관해 종합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또한 유비산업리서치의 이충훈 대표이사는 ‘AMOLED 패널 산업 동향과 시장 전망’ 이라는 주제로 현재의 OLED 산업과 기술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2016년의 디스플레이 사업 판도를 전망할 예정이다.

유비산업리서치 “2015 OLED 결산 세미나” 개최

LCD에 대한 중국 디스플레이 기업들의 공격적인 투자에 대응하기 위해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는 flexible OLED와 TV용 대형 OLED 패널을 주축으로 OLED 사업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

LG 디스플레이는 ‘OLED 알리기’를 통한 공격적인 마케팅을 지속하고 있으며 삼성 디스플레이는 본격적으로 외부 업체 공급 활성화에 나서고 있다. 애플도 차기 제품에 OLED를 적용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OLED 시장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다가올 2016년의 OLED 사업의 동향과 방향제시를 위해 유비산업리서치(대표 이충훈)는 오는 12월 4일 서울 강남구 HJ컨벤션센터에서 『2015 OLED 결산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유비산업리서치 이충훈 대표이사는 한국기업을 중심으로 한 OLED 산업의 현재 현황을 분석하여 2016년의 OLED 사업 판도를 전망할 예정이다.

LG디스플레이 김정현 단장은 디스플레이 산업 시장 전망과 신시장 창출의 필요성과 미래 성장동력인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미래와 개발 동향에 대해 발표한다.

덕산네오룩스 강성기 전무는 Display의 개발 이력을 살펴보고, AMOLED용 유기재료에 대한 기술 개발에 대한 과거와 현재, 미래를 공유하고 산업계의 SCM및 기타 시장 정보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그 밖에도 △OLED 제조 기술 동향(순천향대학교, 문대규 교수) △OLED용 산화물 TFT 기술 동향(한양대학교, 박진성 교수) △ (고려대학교, 홍문표 교수) 대해 다뤄질 예정이다.

AMOLED Smartphone to Exceed 200 Million Units This Year

It is anticipated that AMOLED display equipped smartphone will exceed 200 million units this year.

 

According to a market research company UBI Research, AMOLED equipped smartphone recorded 60 million units in Q3 2015, and estimated the total shipment of this year to be above 220 million units. This is approximately a 40% increase compared to last year’s result of 160 million units.

 

2억대1

 

This increase of shipment for AMOLED applied smartphone in 2015 is analyzed to be due to AMOLED panel application to low-to-mid priced smartphone and increase in the number of models produced.

 

table

 

Q3 2015 performance of 60 million units is a 26% QoQ, and 80% YoY, and analyzed to be showing a rapid growth.

 

2억대3

AMOLED 스마트폰, 올해 2억대 넘긴다

AMOLED 디스플레이 패널이 적용된 스마트폰이 올해 2억대를 넘길 것으로 기대된다.

시장조사업체 유비산업리서치에 따르면 AMOLED 탑재 스마트폰의 올해 3분기 실적은 약 6천만대를 기록하였고, 올해 AMOLED를 탑재한 스마트폰은 약 2억대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전체 AMOLED panel의 시장규모는 올해 2억 2천만대로 예상했으며, 이는 2014년 실적 1억 6천만대 대비 약 40% 성장한 수치이다. 2015년 AMOLED 탑재 스마트폰의 출하 증가는 중저가형 스마트폰의 AMOLED 패널 적용과 생산되는 모델수의 증가가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전체 AMOLED 시장 규모 비교

한편 2015년 3분기 실적 6천만대는 QoQ 26%, YoY 80%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스마트폰용 AMOLED 시장 실적

[Automotive Display Seminar] Automotive Display, Urgent Transparent Display Technology Development Needed

By Choong Hoon Yi

 

On November 13, Automotive Display Development Technology and Commercialization Planning seminar was hosted by Educational Center of Future Technology in Yeouido, South Korea.

 

KATECH (Korea Automotive Technology Institute)’s Dr. Sun-Hong Park explained that “as the automotive display market grows, display market’s domain is expanding” and announced “market for CID (Central Information Display) that mainly functions as navigation device and HUD (Head Up Display) that can show mileage and speed is steadily growing since 2008 and it is anticipated to grow considerably in future”. He added that particularly, 7inch or larger CID is increasing its market share in display market and that CID is becoming larger. He also mentioned that with the increase of traffic accidents from driver’s lack of attention to the road, HUD that can show information on the front window is necessary. However, legibility issues due to brightness and reflectiveness and technological issues such as integration with other display device need to be solved.

 

Dr. Sun-Hong Park of KATECH (Korea Automotive Technology Institute)

Dr. Sun-Hong Park of KATECH (Korea Automotive Technology Institute)

 

Dr. Chi-Sun Hwang of ETRI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mpared display technology that can actualize transparent display, and technological issues to be solved in order for it to be applied to automotive. Hwang explained that although display technology that can produce transparent display include LCD, OLED TFEL (thin film EL), HUD (projection) among others, AMOLED is the most suitable considering resolution and transmittance. Although LCD technology level is at commercialization stage, as the transmittance is not high it can interfere with the driver’s viewing field. He also added that “poly Si TFT technology performance is good, transmittance is limited. However, oxide TFT technology’s transmittance is high and performance is continuing to improve, it needs to be more actively developed”. To be used as an automotive display, it has to meet certain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production cost, and brightness to be an automotive component as well as being placed in the suitable location in the driver’s viewing field; compared to other general display, automotive display is facing higher number of technical issues.

 

Dr. Chi-Sun Hwang of ETRI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r. Chi-Sun Hwang of ETRI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ource: Dr. Chi-Sun Hwang of ETRI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ource: Dr. Chi-Sun Hwang of ETRI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With the focus on the transparent display from automotive display industry, the interest in the technology needed for the application to automotive is also increasing. In order to lead the automotive display market, understanding of automotive components’ characteristics and effort to solve the diverse issues facing the optimized driving condition are required as well as knowledge of display itself.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세미나]자동차용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기술이 시급하다

지난 13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이 주최한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개발기술과 상용화 방안’ 세미나가 열렸다.
자동차부품연구원의 박선홍 박사는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시장이 커지면서 디스플레이의 시장 영역이 점점 확장되고 있다.”고 말하며, “주로 네비게이션 역할을 하는 중앙정보 디스플레이(CID)와 주행거리나 속도를 표시해줄 수 있는 Head up display(HUD)의 시장이 2008년부터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크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라고 발표했다. 특히 CID는 7인치 이상의 디스플레이의 시장점유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대형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운전 중 전방 주시 태만으로 인한 교통사고의 비율이 늘고 있어 정보를 운전하면서 확인할 수 있도록 전방 유리에 표시할 수 있는 HUD의 필요성에 대한 언급도 하였다. 하지만 아직 밝기나 반사에 의한 가독성 문제와 다른 표시 장치와의 조화 등의 기술적인 이슈가 해결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자동차부품연구원 박선홍 박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황치선 실장은 투명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술에 대한 비교와 함께 자동차에 적용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기술 이슈에 대해 발표하였다. 황치선 실장은 “투명 디스플레이가 구현 가능한 디스플레이 기술로는 LCD, OLED, TFEL(Thin Film EL), HUD(Projection) 등이 있지만 해상도와 투명도를 고려했을 때 가장 적합한 디스플레이는 AMOLED이다.  LCD는 기술이 상용화 단계에 있긴 하지만 투명도가 높지 않아 운전자의 시야에 불편함을 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라고 설명했다. 또한 “Poly Si TFT 기술은 특성이 좋지만 투명도가 한정되어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Oxide TFT 기술은 투명도도 높고 특성도 점차 개선되고 있어 oxide TFT에 대한 개발이 보다 적극적으로 필요하다.”라고 발표했다. 자동차용 디스플레이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운전자 시야에 적합한 위치와 자동차 부품이 되기 위한 온도, 원가, 밝기 등의 조건 등을 충족시켜야 하므로 일반적인 display보다 해결해야 할 기술 이슈들이 많다고 언급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황치선 실장

Source: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황치선 실장 발표자료

이처럼 자동차용 디스플레이에서 투명 디스플레이가 주목을 받고 있으며 자동차에 적용하기 위한 기술에도 관심이 커지고 있다.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시장을 주도하기 위해서는 display 자체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자동차 부품들의 특성을 이해함과 동시에 운전자에게 최적화 시키기 위한 다양한 이슈들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Visionox Reveals 604PPI High Resolution AMOLED

On November 12, Visionox announced that they recently developed 604ppi (approximately 4.85inch) high resolution full color OLED panel through FMM (fine metal mask) using evaporation technology.

 

Visionox Z-Type(Source : OLED-info)

Visionox Z-Type(Source : OLED-info)

 

In 2014, Visionox developed 570ppi RGB AMOLED panel with newly developed pixel structure, Z-Type. This Z-Type arrangement had larger blue sub-pixel with green and red sub-pixels beside it. The new panel has resolution of 604ppi which is a 35ppi increase from the 2014 panel. With this new reveal, Visionox displayed their high resolution OLED technology improvement.

 

The 604ppi panel combined the self-developed pixel layout under proprietary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co-developed Chinese FMM. The resolution is 2,560 × 1,440, manufactured using real RGB method and not pentile.

 

Chinese companies are developing their high resolution AMOLED panel technology at a fast pace. In August, EverDisplay presented 734ppi 6inch panel, and the technology difference with Korean panel companies is rapidly decreasing.

 

Visionox revealed that this OLED panel shows Visionox’s research development for high resolution OLED is continuing and aptly demonstrated the current results.

 

604 PPI High Resolution Display Panel (real RGB) (Source: Visionox)

604 PPI High Resolution Display Panel (real RGB) (Source: Visionox)

Visionox, 604PPI의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기술을 개발하다.

11월 12일 Visionox에 따르면 최근 FMM(Fine Metal Mask)을 사용한 증착기술을 통해 604PPI(약 4.85inch)의 고해상도 full color OLED 패널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Visionox Z-Type(Source : OLED-info)

Visionox는 2014년 Z-Type이라는 새롭게 개발한 픽셀구조로 570PPI의 RGB AMOLED 패널을 개발한 바 있다. Z-Type은 blue sub-pixel의 크기를 늘리고 green과 red sub-pixel을 그 옆에 배치한 pixel 구조이다. 이번에 발표한 패널은 이보다 35PPI가 더 높아진 604PPI이다. 이로써 Visionox의 고해상도 OLED 기술이 한 단계 더 발전한 것으로 보여진다.

 

이번에 개발된 패널은 자체 개발 pixel 레이아웃과 중국 업체들끼리 공동 개발을 한 FMM을 적용하였다. Pentile 방식이 아닌 real RGB 방식으로 제작되었으며, 해상도는 2,560 × 1,440 이다.

 

중국업체들의 고해상도 AMOLED 패널 기술개발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Everdisplay는 2015년 8월 734PPI의 6인치 패널을 공개 했으며 한국의 패널업체와의 기술격차는 현재 빠르게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Visionox는 이번에 개발한 OLED 패널은 Visionox의 고해상도 OLED를 위한 연구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현재의 연구성과를 잘 보여주는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번 기술 개발 발표를 통해 유비산업리서치는 고해상도 AMOLED 패널 양산이 한 층 앞당겨졌다고 분석했다.

604PPI High Resolution Display Panel (real RGB)(Source : Visionox)

 

삼성과 LG, OLED의 미래를 공유하다.

10월 27일부터 29일까지 미국 버클리에서 개최되는 OLEDs World Summit의 첫째 날,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는 연이어 발표에 나섰다. 삼성디스플레이의 이창훈 상무와 LG디스플레이의 임주수 OLED 기술전략팀장은 각각 ‘The Future of OLEDs’와 A Future Game Changer’라는 주제로 OLED에 대해 발표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이 상무는 먼저 발표에 나서며 모바일 시장 내에서 삼성디스플레이의 선도적인 역할과 삼성전자의 모바일 디스플레이가 이것을 어떻게 반영하였는지를 강조하였다. 이 상무는 사람의 눈의 구조와 다이아몬드 픽셀 구조 사이의 관계를 통해 일반 RGB픽셀 구조와 다른 삼성디스플레이의 다이아몬드 픽셀 구조를 설명하였다. 사람의 눈은 다른 색상보다 green에 더 민감하다. 다이아몬드 픽셀은 이런 특성을 반영해서 green 서브픽셀을 blue와 red 서브픽셀보다 2배 많도록 배치하여 형성한 픽셀구조다. 다이아몬드 픽셀 구조는 서브픽셀 packing을 최대화하고 PPI를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OLED 디스플레이의 이점에 대하여 이 상무는 삼성전자의 최신 스마트폰의 2가지 기능을 예시로 들었다. 먼저 AMOLED 디스플레이는 각 픽셀의 선택적 제어가 가능하다는 점을 말하며 삼성이 색약자를 돕기 위해 제공하는 Vision Aid라는 기술을 예로 들었다. 또한 OLED의 완벽한 블랙을 낼 수 있는 능력은 Super Dimming이라는 기술에 쓰여 어두운 환경에서 화면의 밝기를 2nit까지 줄일 수 있게 한다고 발표하였다.

LG디스플레이의 임 팀장은 미국의 성인들이 하루에 평균적으로 9시간 40분을 디스플레이를 보는데 쓴다고 밝혔다. 고품질 디스플레이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하며 임 팀장은 삼성의 발표와 마찬가지로 완전한 블랙, 3D효과, 높은 색재현률 등 LCD보다 나은 OLED 디스플레이의 이점들을 발표하였다.

이 부사장과 임 팀장 모두 미래 OLED 디스플레이로 투명이나 거울디스플레이보다 플렉시블(플라스틱)OLED를 좀 더 중점에 두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커버윈도우와 flexible backplane, touch sensor, encapsulation등 핵심 요소들에 대해 발표하였다.

LG디스플레이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디자인 자유도와 이것이 웨어러블과 모바일, 차량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했다. 임팀장은 또한 얼마나 OLED가 유연해질 수 있느냐가 가상현실(VR) 디스플레이 시장에 적용되는데 핵심적인 요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두 명의 발표자들은 OLED 기술과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이 새로운 디스플레이 시장과 혁신에 필요하게 될 것이라고 단언하여 발표를 마쳤다.

삼성디스플레이는 TV에는 LCD 패널을 계속 넣는 대신 투명·미러·플렉서블과 같은 차세대 제품에는 OLED 패널을 적용하는 투 트랙 전략을 고수하고 있으며, LG디스플레이는 중소형 OLED 시장과 OLED TV 패널 시장을 동시에 노리고 있다. 이번 발표를 통해 두 업체 모두 미래 성장동력인 OLED의 기술수준 향상에 집중할 것으로 보이며 특히 단기적으로는 플렉시블 OLED 개발에 중점을 둘 것으로 전망된다.

Samsung and LG’s Shared Vision for OLED

On the first day of OLEDs World Summit (October 27-29) held in Berkeley, USA,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gave their talks back to back. Samsung Display’s Vice President Chang Hoon Lee and LG Display’s Joo Soo Lim discussed their thoughts on OLED under the titles of ‘The Future of OLEDs’ and ‘A Future Game Changer’ respectively.

Samsung Display’s Lee, who gave his presentation first, reiterated Samsung Display’s leadership position in the mobile market and how Samsung Electronics’ recent mobile display reflects this. Comparing RGB pixel structure and their own diamond pixel structure, Lee drew comparison between human eyes and diamond pixels; due to cell distribution in eyes, humans are more sensitive to green colors and that diamond pixels reflect this by having twice as many green subpixels as blue and red ones. The diamond pixels also maximize the sub-pixel packing and increases the PPI.

Regarding the advantages of OLED display, Lee gave 2 examples using Samsung Electronics’ latest smartphone models. Utilizing the fact that selective control of each pixel is possible in AMOLED displays, Samsung provided Vision Aid to help people with color blindness. OLED’s ability to achieve total black is used in Super Dimming function where screen brightness can be reduced to 2nits to be used in the dark environment.

LG Display’s Lim revealed that an adult in the US spends 9 hours 40 minutes a day on average looking at one form of display or another. Highlighting the need and importance of quality display, Lim also discussed advantages of OLED display over LCD such as total black, 3D effects, and color gamut.

As the future OLED display, Both Lee and Lim placed slightly more emphasis on flexible (plastic) OLED than transparent or mirror display. Samsung Display discussed requirements necessary for a successful flexible display in more depth touching on the need for suitable cover window, flexible touch (sensor), flexible encapsulation, and flexible backplane. On the other hand, LG Display discussed flexible display’s design freedom and its influences on the wearable, mobile, and automotive markets. Lim also placed much importance on how flexible OLED can be used in virtual reality display market. The 2 speakers ended their talks affirming the need for new display market and innovation through OLED technology and new applications.

The presentations given by the 2 apparent leaders in the OLED display industry were remarkably similar with both speakers underlining major points of OLED in broad strokes. The need for solutions for future OLED, whether it be flexible, transparent, or mirror display, through innovation and technological advances is an absolute truth if not maybe too obvious. There also may be some comfort to be had in the shared vision within the OLED community. However, it is also a fact that numerous attendees of the conference commented on the similarities of the 2 presentations and the lack of any surprises.

Hon Hai Precision, Actively Participating in AMOLED Panel Business?

On September 9, Tera Semicon Corporation announced the agreement with Taiwan’s Hon Hai Precision to supply AMOLED manufacturing equipment worth approximately US$ 79,000 million*. Tera Semicon mainly supplies OLED crystallization equipment for poly-Si and curing equipment

 

Hon Hai Precision is a world leading manufacturing company that began as an electronics component manufacturing company in the 1970s and became a contract manufacturer in the 2000s. Hon Hai Precision is better known to consumers as its subsidiary company as well as its trade name, Foxconn.

 

Hon Hai Precision has been consistently preparing for OLED panel production. Hon Hai Precision’s subsidiary company Innolux took over Chimei, which has technology to mass produce OLED, and in 2013 announced plans to establish OLED R&D center in LCD factory operated jointly with Sharp. Additionally, in September 2014, Hon Hai Precision mentioned that they will actively begin flexible AMOLED panel development aiming to mass produce in 2016.

 

This order for Tera Semicon Corporation is analyzed to be in consideration of Apple’s application of flexible AMOLED panel for iPhone series. Apple is Hon Hai Precision’s best client; of the total manufacturing products iPhone occupies 18% and iPad 17%.

 

At present,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are the only companies capable of flexible AMOLED panel mass production, with AUO and Japan Display perhaps joining the ranks in the next 2-3 years. With this Hon Hai Precision AMOLED manufacturing equipment order, heated competition for flexible AMOLED panel supply is expected.

 

 

*1 USD = 1,100 KRW

Hon Hai Precision, AMOLED 패널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드나

9월 9일 테라세미콘은 대만 Hon Hai Precision과 87억5056만원 규모의 AMOLED용 제조장비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테라세미콘은 OLED 장비 중 poly-Si를 결정화하는 장비와 curing 장비를 주로 취급하는 기업이다.

Hon Hai Precision은 1970년대 전자부품 생산업체로 출발하여 2000년대부터 위탁생산을 전문적으로 하는 세계 최대 제조 전문 기업이다. 일반인들에게는 자회사이면서 Hon Hai Precision의 상호인 Foxconn으로 더 유명하다.

Hon Hai Precision은 OLED 패널 생산을 꾸준히 준비해왔다. OLED 양산 능력을 가지고 있는 Chimei를 자기업인 Innolux에서 인수하였으며, 2013년 Sharp와 함께 운영하는 LCD 공장에 OLED R&D 센터를 준공할 계획을 발표하였다. 또한 2014년 12월에는 flexible AMOLED panel 개발에 본격적으로 착수할 것이며 2016년 양산을 목표로 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번 Hon Hai Precision의 테라세미콘 장비오더는 Apple의 iPhone series에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flexible AMOLED panel 제작을 본격적으로 염두해 두고 있는 포석으로 분석된다. Apple은 Hon Hai Precision의 최대 고객으로 특히 전체 생산 제품 중 아이폰은 18%, 아이패드는 17%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현재 flexible AMOLED panel을 양산할 수 있는 업체는 Samsung Display와 LG Display가 유일하며,향후 2~3년 내에 공급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업체도 AUO와 Japan Display정도로 예상된다.이번 Hon Hai Precision AMOLED 장비 발주를 통해 앞으로의 flexible AMOLED panel 공급을 놓고 치열한 경쟁이 벌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General Class AMOLED Panel Estimated to be Extensively Supplied. How Will it Affect OLED Industry?

Only 2 models of smartphone with the general class AMOLED panel were released in the first 2 quarters of 2015. However, as 5 more models were revealed until August in the third quarter, it is expected that demand for general class AMOLED panel will gradually increase.

 

Currently 7 companies, including Samsung Display, are mass producing or aiming to mass produce small to medium-sized AMOLED panel of rigid type. China’s EDO or Taiwan’s AUO are believed to be producing in small quantity for samples. Other Chinese companies are also aiming to mass produce AMOLED panel but satisfying the current demand is analyzed to be difficult. At present, Samsung Display is the only panel company that can meet the demand for general class AMOLED panel by set companies. There is much interest in whether AMOLED industry can rebound with the Samsung Display’s movement in the second half.

 

It is expected that Samsung Display will increase operation rate of A1 and A2 rigid lines in the second half in order to meet the demand for general class AMOLED panel. Following this, emitting material companies’ sales increase is also anticipated and positively affect management of AMOLED industry’s ecosystem.

 

If the demand for general class AMOLED panel is higher than expected, there are some who believe that additional investment for A3 line could be for hybrid structure that can switch between rigid and flexible rather than flexible exclusive line.

 

There is much focus on how Samsung Display’s mass production and supply plans for general class AMOLED panel will affect the AMOLED industry growth.

 

General Class AMOLED Panel Applied Smartphone Released Until August 2015

OLED TV, Pay Attention to China and UHD

IFA 2015 that opened on September 4, closed its curtains on 9. This year’s IFA was similar to IFA 2014 in terms of diverse OLED TV exhibition, but when analyzed in detail there were several differences.

 

First, the emphasis on UHD TV greatly increased. The percentage of UHD resolution of exhibited OLED TV was approximately 71% in IFA 2013, and 70% in IFA 2014. However, in IFA 2015, the percentage increased to approximately 92%. If the main theme for IFA 2014 was curved OLED TV products, UHD was the keyword for IFA 2015.

 

Another important factor is increasing participation by Chinese companies. In IFA 2013, only Haier exhibited OLED TV but this increased to 2 companies, Changhong and TCL, in IFA 2014. In IFA 2015, 3 companies, Haier, Changhong, and Skyworth, presented OLED TV. It is estimated that the OLED TV exhibition attendance by Chinese electronics companies will continue to consistently increase.

 

There is much attention on how many more Chinese companies will participate with OLED TV in IFA next year, and whether a new keyword following UHD will appear. Although IFA 2015 ended, OLED TV market continues to move.

 

uhd china graph 1

 

uhd china graph 2

 

uhd china graph 3 2

보급형 AMOLED panel 공급 본격화 예상, OLED 산업에 미칠 영향은?

2015년 1사분기와 2사분기에 출시된 보급형 AMOLED panel을 적용한 스마트폰은 2종에 불과했지만 3사분기에 들어서며 8월까지 5종이 공개되어 보급형 AMOLED panel에 대한 수요가 점차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rigid type의 중소형 AMOLED panel을 양산 또는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는 업체는 Samsung Display등 7개 업체이다. 중국의 EDO나 대만의 AUO는 샘플수준으로 소량 생산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다른 중국 panel 업체들도 올해 AMOLED panel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당장의 수요를 충족시키기에는 어려울 것으로 분석된다. 보급형 AMOLED panel을 요구하는 set 업체들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panel업체는 현재 Samsung Display가 유일하다. 따라서 하반기 Samsung Display의 움직임에 AMOLED 산업이 다시 한번 탄력을 받을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Samsung Display는 보급형 AMOLED panel의 수요를 맞추기 위해 하반기 A1과 A2 rigid line의 가동률을 끌어 올릴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발광재료 업체들의 재료 매출 증가도 기대되어 AMOLED 산업의 eco-system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보급형 AMOLED panel의 수요가 예상보다 높아질 경우 A3 line에 대한 추가 투자가 flexible 전용이 아닌 rigid와 flexible 전환이 가능한 hybrid 형식으로의 투자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하반기 Samsung Display의 보급형 AMOLED panel 양산과 공급 계획에 따라 AMOLED 산업 성장에 탄력을 줄 수 있을지 기대된다.

2015년 8월까지 출시된 보급형 AMOLED panel이 적용된 스마트폰

 

OLED TV, China와 UHD에 주목하라.

9월 4일에 개최된 IFA 2015가 9일 모든 일정을 마쳤다. 이번 IFA 2015는 다양한 OLED TV 제품이 전시되었고 큰 주목을 끌었다는 점에서 지난 IFA와 비슷했지만 구체적으로 분석하였을 때 몇 가지 차이가 있었다.

먼저, UHD TV의 비중이 크게 늘었다. IFA 2013에서는 전시된 OLED TV의 약 71%가, IFA 2014에서는 약 70%가 UHD 해상도였다면 IFA 2015에서는 약 92%가 UHD 해상도의 OLED TV를 전시했다. 작년 IFA 2014가 curved OLED TV 제품 전시가 주류를 이루었다면 IFA 2015의 키워드는 UHD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중국업체의 참여가 늘어간다는 것도 주목해야 할 점이다. IFA 2013에서 Haier 단 한 업체만이 OLED TV를 출품하였지만, IFA 2014에서는 Changhong, TCL 두 업체가 참여했으며, IFA 2015에서는 Haier, Changhong, Skyworth 세 업체가 OLED TV를 전시하였다. 중국 전자 업체들의 OLED TV 전시 참가는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 IFA에서는 중국업체의 OLED TV 전시 참여 비중이 얼마나 더 늘어날지, UHD를 이은 새로운 OLED TV의 키워드가 등장할 지, 업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IFA 2015는 막을 내렸지만 OLED TV 시장은 지금도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다.

Minus Growth for H1 OLED Material Market with Mere US$ 564 Million*

According to UBI Research, the 2015 H1 OLED material market recorded approximately US$ 564 million; this is a 14% increase compared to 2014 H2, but a 24% decrease against 2014 H1.

 

Despite reports that Samsung Electronics and LG Electronics are selling much larger volumes of flexible OLED applied Galaxy S6 Edge and OLED TV respectively compared to last year, the OLED material market is gradually stagnating.

 

The main reason for this OLED material market’s downward turn is Samsung Display’s operation level which remained stationary at 50% in H1. This led to stationary material usage compared to the year before. LG Display is producing flexible OLED and large size OLED panel for TV. However, approximately only 100,000 units of OLED panels were sold in H1 and material usage was also lowl. The current capa. is 34K but as the OLED material cost spent in H1 is approximately US$ 36 million, the operation rate is analyzed to be only 30% of the total capa.

 

The OLED material market is decreasing because the supply price is rapidly falling without increase in production volume. OLED material companies are frustrated at the 10-15% price decrease per quarter. At present, as the only clients are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material companies are compelled to reduce the price as the failure to do so could lead toward the termination of business. OLED material companies spend several thousands of millions of dollars annually on development to meet constant improvement demanded by clients. There is much difficulty for OLED material companies as display companies continue with one-sided demands without compensation regarding development cost.

 

For OLED industry to maintain its continued growth, it requires more than success of panel companies. Material companies that play a pivotal part within the industry have to continu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quality materials in order to create a healthy growth cycle. However, display companies are destroying the ecosystem.

 

What OLED material companies currently crave is for Chinese display companies to mass produce OLED panels as soon as possible.

 

* 1 USD = 1,100 KRW

 

OLED Material Market Revenue 2014 H1 – 2015 H1

OLED Material Market Revenue 2014 H1 – 2015 H1

[IFA 2015] OLED TV’s Advantages from Skyworth’s Point of View

In IFA 2015 (September 4-9), Skyworth exhibited 65inch 4K OLED TV in 3 curved and flat sets each in order to emphasize OLED TV’s advantages. Skyworth presented an interesting booth by providing a large screen in the middle of the booth for the visitors to experience OLED TV playing the F1 racing game.

 

OLED TV is the best TV to show video with fast movements as it has fast response time of u/sec. As the video is not delayed, the viewers can enjoy the contents without afterimage. This fast response time cannot be actualized in LCD TV.

Skyworth booth, IFA 2015

상반기 OLED 발광재료 시장 2600억원에 불과한 마이너스 성장

유비산업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OLED 발광재료 시장 규모는 약 2600억원으로 전 반기대비 14% 상승했지만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했다.

올해에는 삼성전자가 flexible OLED를 탑재한 Galaxy S6 Edge를, LG전자에서는 OLED TV를 작년 보다 수십배 이상 판매하고 있다고 하지만 OLED 재료 시장은 점차 얼어 붙고 있는 실정이다.

OLED 재료 시장이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 선 것은 무엇보다도 OLED 대표 기업인 삼성디스플레이의 상반기 가동율이 50% 수준에 머물러 재료 사용량이 전년 동 반기 대비 늘지 않았기 때문이다. LG디스플레이는 flexible OLED와 TV용 대형 OLED 패널을 생산하고 있지만 상반기 OLED 패널 판매는 약 10만대에 불과하여 재료 소모량 역시 얼마 되지 않는다. 전체 capa는 34K이지만 상반기 구매한 OLED 재료비는 약 400억원 정도에 불과하여 가동율이 전체 capa의 30%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된다.

OLED 재료 시장이 줄어든 이유는 생산량 증가 없이 공급 가격만 심하게 깍이고 있기 때문이다. OLED 재료 업체들은 분기당 10~15% 가격이 인하되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현재로서는 수요 기업이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밖에 없는 실정이기 때문에 가격 인하에 불응하면 거래 자체가 단절될 수 있어 울며 겨자 먹기로 가격을 낮추고 있다. OLED 재료 업체들은 수요 기업들이 성능이 향상된 재료 개발을 끊임없이 요구하고 있어 연간 개발비가 수십억원 이상 소요되고 있지만 디스플레이 업체에서는 개발비에 대한 가격 보전 없이 일방적인 요구만 지속되고 있어 사업에 어려움이 심각하다.

OLED 산업이 지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패널 업체만 살아서는 유지될 수 없다. 산업을 지탱하고 있는 한 축인 재료 업체들이 좋은 재료를 끊임없이 개발하고 생산해야지만 선순환 구조로 산업이 성장할 수 있다. 하지만 디스플레이 업체들은  생태계를 완전히 망가뜨리고 있다.
OLED 재료 업체들이 현재 가장 바라고 있는 것은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들이 하루 속히 OLED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것이다.

반기별 OLED 발광재료 시장 실적 2014H1~2015H1

 

 

[IFA2015] Skyworth가 생각하는 OLED TV의 장점

IFA2015에서 Skyworth는 OLED TV 장점을 강조하기 위해 curved와 flat 65inch 4K OLED TV를 각각 3대씩 전시하고 가운데는 대형 screen을 준비하여 F1레이서 게임에서 OLED TV로 실감할 수 있는 재미있는 부스를 마련했다.

OLED TV는 응답속도가 u/sec로 빠르기 때문에 고속으로 움직이는 영상을 나타내기에 최적인 TV이다. 화면이 지연되지 않기 때문에 고속 화상을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다. LCD TV에서는 구현 할 수 없는 빠름이다.

Skyworth booth, IFA 2015

Korea’s Large Area AMOLED Manufacturing Equipment Market To Record Approx. US$ 8,640 Million For Next 5 Years

According to UBI Research’s OLED Manufacturing Equipment Annual Report (published on August 31), the complementary investment market in Korea is expected to record approx. US$ 8,640 million between 2016 and 2020.

 

According to the report, once Chinese new LCD lines actively begins to operate, panels produced by Korea’s Gen8 a-Si LCD lines are estimated to fall behind in price competitiveness. Therefore, complementary investment should be processed to transform the a-Si LCD line to OLED line. The report estimated that if complementary investment for OLED is carried out, oxide TFT with less masks is the most suitable backplane structure. This has the advantage of utilizing the most of the existing a-Si LCD line. The report also forecast that future large area AMOLED mass production investment will mainly be complementary investment rather than new investment. Complementary investment signifies investing in evaporation and encapsulation manufacturing equipment while using the existing a-Si line backplane. New investment means investing from the backplane stage. The report analyzed that complementary investment will lead to the decrease of large area OLED panel’s production cost.

 

Investment cost comparison shows that approx. US$ 600 million is required for new investment in Gen8 Oxide TFT key equipment (20K). However, complementary investment requires approx. US$ 80 million and can save the investment cost by approx. 7 times compared to the new investment.

 

그래프1(영)_v0

 

그래프2(영)

한국 대면적 AMOLED 장비시장, 향후 5년간 약 9조원 규모 예상

유비산업리서치에서 8월 31일 발간한 OLED manufacturing Equipment Annual Report에 따르면 한국에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보완투자 시장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총 약 US$ 8,640 million 이 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LCD 신규라인들이 본격적으로 가동을 하게 되면 한국의 Gen8 a-Si LCD line에서 생산되는 panel들은 가격경쟁력에서 열세에 놓일 것으로 예상했으며, 이에 따라 a-Si LCD line이 OLED line으로 보완투자가 되어야 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OLED로의 전환투자가 진행될 시 기존의 a-Si LCD라인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저 마스크 구조의 oxide TFT가 최적의 backplane 구조가 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따라서 앞으로의 대면적 AMOLED 양산 투자는 backplane부터 새로 투자하는 신규투자가 아닌 backplane은 기존 a-Si라인을 활용하고 증착기와 encapsulation 장비만 투자를 진행하는 보완투자가 주를 이룰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보완투자를 통해 대면적 OLED panel의 원가를 줄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투자비용을 비교해보면 Gen8 Oxide TFT의 핵심장비에 대한 신규투자(20K기준)는 약 7000억원이 소요되지만 보완투자를 진행할 경우 약 800억원이 소요되어 신규투자보다 투자비용을 7배정도 줄일 수 있다고 분석하였다.

[IMID 2015] UDC Develops OLED Patterning Technology with Less Masks

At present, FMM (Fine Metal Mask) is considered the main method for large area RGB OLED panel production. However, due to shadow effect, mask total pitch fluctuations, and mask slit tolerance issues, there is a yield limitation to this technology. This limitation increases as the resolution becomes higher; minimizing the number of FMM during the OLED panel production has been a key issue in RGB OLED production.

 

In SID 2014, through a paper titled “Novel Two Mask AMOLED Display Architecture”, UDC revealed a technology that can reduce the number of masks used in RGB-FMM method to 2 from previous 3.

 

Source : UDC, SID 2014

As shown above, this technology coats yellow and blue subpixels using 1 mask each. Following this process, green and red color filters are applied above the subpixels. Pixels are formed as illustrated below.

 

Source : UDC, SID 2014

UDC explained that this technology improves lifetime of the display overall and reduces energy consumption as blue voltage can be lowered. Additionally, tact time can be reduced through this technology, and increase the yield.

 

In IMID 2015, UDC presented research of the same title. However, the content of the presentation unveiled more developed research compared to 2014. First of all, in 2014, UDC announced that the panel’s lifetime could be improved by 2 times compared to the RGB method. In IMID 2015, UDC’s announcement changed the figure to 3.3 times increased lifetime.

 

UDC also revealed that the technology can be actualized through printing method,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int 2 rows of pixels at once. UDC announced that this is most suitable when OVJP (Organic Vapor Jet Printing) applies the printing method.

 

A new technology called SPR (Sub-Pixel Rendering) was also announced by UDC in this paper. The 2014 SID paper included a method that did not uses SPR. As shown below in figure 1, 4 subpixels of RGY and B are used per pixel.

 

[Fig. 1], Source: UDC, IMID 2015

During IMID 2015, UDC presented APR technology applied pixel structure. Figure 2 shows 3 subpixels per pixel.

 

[Fig. 2], Source: UDC, IMID 2015

In this case, as the pixels can be arranged as shown in figure 3, smaller number of subpixels can be used.

 

[Fig. 3], Source: UDC, IMID 2015

UDC announced that because APR technology allows the number of subpixels per pixel to be reduced to 3 or less, the number of data lines and TFT per pixel can also be reduced together.

 

UDC explained that this technology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display area or resolution, and will be able to be applied to different types of panels.

 

[IMID 2015]UDC, 저 Mask OLED Patterning 기술 개발

현재 대면적 RGB OLED 패널을 제조할 수 있는 주요 방법으로 FMM(Fine Metal Mask)가 꼽히고 있지만 shadow effect와 mask total pitch 변동, mask slit tolerance의 문제로 수율이 제한적인 한계가 있다. 이런 한계는 해상도가 올라갈수록 점점 커지고 있어 OLED 패널 제조 시 사용되는 FMM 개수의 최소화는 RGB 방식 OLED의 주요 이슈였다.

UDC에서는 작년 SID 2014에서 “Novel Two Mask AMOLED Display Architecture”의 논문을 통해 기존의 3 mask를 사용하는 RGB-FMM 방식에서 mask 사용을 2장으로 줄일 수 있는 기술을 공개하여 큰 화제를 모았다.

Source : UDC, SID 2014

이 기술은 위의 그림과 같이 yellow와 blue 서브픽셀을 각각의 mask를 써서 증착한 후 green과 red 서브픽셀 위에 각 색의 color filter를 올리는 방식이다. 이 때 공정 후 아래 그림과 같이 픽셀이 형성된다.

Source : UDC, SID 2014

UDC는 이 기술을 통해 blue 전압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display 전체적인 수명이 향상되고 소비전력이 감소하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고 설명한 바 있다. 또한 이 기술을 통해 tact time을 감소하고 수율을 증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IMID 2015에서 UDC는 같은 제목의 연구를 발표하였다. 하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작년에 발표한 내용보다 한 단계 발전하였다. 먼저 작년 SID에서 UDC는 RGB방식에 비해 패널의 수명을 2배 향상할 수 있다고 발표했지만 이번 IMID에서는 3.3배 향상할 수 있다고 발표하였다.

또한 printing 방식으로도 기술 구현이 가능하며, 이 때 한번에 2줄의 픽셀을 print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밝혔다. UDC는 OVJP(Organic Vapor Jet Printing)가 printing방식을 적용할 때 가장 적합한 방식이라고 발표하였다.

UDC는 이번 논문에서 SPR(Sub-Pixel Rendering)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발표하였다. 작년 SID에서 발표한 논문은 SPR이 적용되지 않은 방식으로 아래 [그림1]과 같이 한 픽셀당RGY와 B의 4개의 서브픽셀로 구동된다.

[그림1], Source: UDC, IMID 2015

이번 IMID에서는 SPR기술과 결합한 픽셀 구조를 선보였다. [그림2]과 같이 한 픽셀당 3개의 서브픽셀을 사용하여 구동하는 방식이다.

[그림2], Source: UDC, IMID 2015

이 경우 [그림3]과 같이 픽셀을 배열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적은 서브 픽셀로 구성이 가능하다.

[그림3], Source: UDC, IMID 2015

UDC는 SPR 기술을 통해 픽셀 한 개당 서브픽셀의 개수를 3개 이하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픽셀 당 data line의 개수와 TFT 개수를 같이 줄일 수 있다고 발표하였다.

UDC는 “이 기술은 면적이나 해상도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다양한 종류의 패널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Analyst Column] Korean Display Industry Is On Descent

Dr Choong Hoon Yi, UBI Research Chief Analyst, ubiyi@ubiresearch.co.kr

 

The analysis of 2015 2Q results of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shows clear indication that Korean display industry is on descent.

 

[2015 Q2 Korean Display Total Sales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announcement of the 2 companies, the total of 2015 Q2 sales is approximately US$ 11,000,000,000. Compared to the total sales in 2013 Q2 which was US$ 13,000,000,000, Korean display industry trend is exhibiting clear downward tendency.

0812 graph1

 

2015 Q2 Korean display sales records -4% QoQ, and 8% YoY.

0812 graph2

 

 

The main reason for the decrease in sales is Samsung Display’s deterioration of earnings results. While LG Display’s sales of the past 3 years remain fairly consistent but Samsung Display’s sales is gradually decreasing.

0812 graph3

 

 

 

[2015 Q2 Korean Display Total Business Profit Analysis]

Connecting the high points of the total of 2 companies’ business profit reveal that the business value is worsening as the trend moves downward. This also is much contributed to Samsung Display’s business profit decrease.

0812 graph4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Sales Analysis]

According to the earnings announcement of both companies,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recorded sales of approximately US$ 5,500,000,000 and US$ 5,600,000,000 respectively. LG Display is maintaining higher sales results compared to Samsung Display for the past 5 quarters. Each company’s QoQ showed to be -4% (LGD) and -3% (SDC) and YoY to be 12% (LGD) and 5% (SDC). The simultaneous decrease of QoQ sales of both companies demonstrates that the Q3 sales could also fall.

 

0812 graph5

 

0812 graph6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s Competitiveness Analysis]

Looking at the profit/sales graph of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it is apparent that Samsung Display showed superior competitiveness until 2013 Q3, but since then LG Display averaged higher.

그래프7

 

 

 

[Conclusion]

The reason for the downward trend of Korean display industry is analyzed to be the fall of display panel price due to the Chinse display companies’ mass production through aggressive investment. Particularly, in or after 2017 when China’s BOE is estimated to begin Gen10.5 LCD line, LCD panel price will fall even more rapidly. This is forecast to lead Korean LCD industry to suddenly lose competitiveness. For Korean display companies that have immense LCD sales to show positive growth, it is time to expand OLED business that can be differentiated from Chinse display companies.

 

The only solutions for Korean display industry are OLED investment in large scale and conversion of LCD line to OLED line. At the time of BOE’s Gen10.5 line operation, Korean display companies also should respond with Gen6 flexible OLED investment and early establishment of Gen8 OLED line.

 

[Analyst Column] 한국 디스플레이 사업 하향길에 들어서다!

이충훈/Chief Analyst

2015년 2사분기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의 실적을 분석한 결과 한국 디스플레이 사업이 내리막을 걷고 있는 것이 명확하게 드러났다.

[2015년 2사분기 한국 디스플레이 전체 매출 분석]

양사의 실적 발표에 의하면 2015년 2사분기 합계는 13.33조원이다. 한국 디스플레이 전체 매출은 2013년 2사분기가 16.05조원이었나 현재는 13.33조원으로 나타나며 전반적인 흐름이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2015년 2사분기 한국의 디스플레이 매출은 전 분기 대비 QoQ -4% 성장을 나타내었으며, 작년 동 분기에 비해서는 YoY 8% 상승을 보이고 있다.

 

한국 디스플레이 매출이 하락하고 있는 것은 삼성디스플레이의 실적 악화가 주된 요인이다. LG디스플레이는 최근 3년간 매출 변동이 적으나 삼성디스플레이의 매출은 점차적으로 줄어 들고 있기 때문이다.

 

[2015년 2사분기 한국 디스플레이 전체 영업 이익 분석]

양사의 영업 이익 합계에서 고점을 연결해 보면 하락세에 접어들어 사업성이 악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결과 역시 삼성디스플레이의 영업 이익 감소가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매출 분석]

양사의 실적 발표에 의하면 삼성디스플레이(SDC)와 LG디스플레이(LGD)는 각각 매출 6.62조원와 6.71조원을 나타냈다. LG디스플레이는 5분기 연속 삼성디스플레이 보다 매출 우위를 점유하고 있다. 양사의 QoQ 각각 -4%(LGD)와 -3%(SDC)를, YoY는 각각 12%(LGD)와 5%(SDC)를 나타내었다. 양사의 2사분기 매출이 1사분기 대비 동시에 하락한 것은 3사분기 매출 역시 하락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의 경쟁력 분석]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의 사업성을 나타내는 영업이익(profit)을 매출(sales)로 나눈 profit/sales에서 보면 2013년 3사분기까지는 삼성디스플레이가 월등한 경쟁력을 보여주었으나, 그 이후에는 평균적으로 LG디스플레이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마무리]

한국 디스플레이 사업이 하락세로 들어선 것은 중국 디스플레이 기업들의 공격적인 투자에 의한 대량 생산이 디스플레이 패널 가격 하락을 유도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중국 BOE의 Gen10.5 LCD 라인 가동이 예상되는 2017년 이후에는 LCD 패널 가격 인하가 더욱 빨라져 한국의 LCD 사업은 경쟁력을 급격히 상실할 것으로 전망된다. LCD 매출이 압도적으로 많은 한국 디스플레이 기업들이 성장세로 돌아서기 위해서는 중국 디스플레이 기업들과 차별화 할 수 있는 OLED 사업 확대가 필요한 시점이다.

대규모 OLED 투자와 LCD 라인을 빨리 OLED 라인으로 전환해야만 한국 디스플레이 사업이 살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다. BOE의 Gen10.5 라인이 가동되는 시점에는 한국 디스플레이 기업들 역시 Gen6 flexible OLED 투자와 Gen8 OLED 라인 조기 구축으로 대응해야 한다.

 

[Analyst Column] LG Display Q2 Earnings Analysis and Signification of Flexible OLED Investment

Dr Choong Hoon Yi, UBI Research Chief Analyst, ubiyi@ubiresearch.co.kr

 

On July 23, LG Display announced its earnings results at LG Twin Towers in Yeouido, South Korea. LG Display reported that their Q2 sales recorded approximately US$ 5,700,000,000 with business profit of approximately US$ 420,000,000.

 

Although sales fell by approximately US$ 260,000,000 (-5%) compared to the previous quarter, it was an increase of US$ 620,000,000 (12%) compared to the year before. Business profit showed approximately US$ 210,000,000 decrease (-34%) QoQ, and YoY US$ 280,000,000 increase (206%).

 

0805 graph1

 

LG Display’s sales and business profit of Y/Yo (green line) showed U shape of trend of growth in previous 5 quarters but this quarter recorded a fall. It is analyzed that the growth could slow down from 2H 2015.

 

The drop of the LG display’s Y/Yo growth in this 2Q is much attributed to smartphone market’s slow down and TV market reduction. It is also estimated the panel price reduction due to Chinese display companies’ aggressive investment is reflected.

 

0805 graph2

 

 

For LG Display to stop the degrowth, mass production of products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competition, is urgently needed, away from LCD panel that is LGD’s current major business.

 

On the day, LG Display’s management announced approx. US$ 900,000,000 investment for Gen6 flexible OLED line in order to lead flexible OLED market. The investment location is Gumi factory. Investment location is Gumi factory with the initial investment of 7.5K. It is expected world’s second flexible OLED exclusive line will established following Samsung Display. It is anticipated that up to 15K will be established for this line.

 

Considering last year’s LG Display’s business profit was approx. US$ 1,100,000,000, the US$ 900,000,000 flexible OLED investment is very large. The investment decision must have been very difficult. However, the reasons for LG Display’s drastic flexible OLED exclusive line investment are because companies that produce LTPS-TFT LCD (LGD’s existing main market) is increasing, and because Samsung Display is already monopolizing rigid OLED market and therefore difficult to secure market share.

 

LG Display’s CFO Kim Sang-don explained that flexible OLED Gen6 line investment was decided at the board of directors meeting on July 22, and was made official on the morning of July 23. Kim added that the decision was reached so that LG Display can lead the OLED business in terms of technology and to occupy initial market in foldable and rollable technologies. He also commented the monthly capa. of the flexible OLED line will be 7.5K.

 

Regarding large area OLED panel, it was emphasized that this year’s panel production target remains to be 600,000 units and 1,500,000 units next year, same as the ones announced during the Q1 earnings results presentation. It was also revealed that 34K, approximately 9K higher than current capa., will be in operation in 2016. Addressing the concern of oversupply of next year’s 1,500,000 units while the OLD TV market is still small, LG Display suggested the solution of increasing the demand by active promotion from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Despite the fall of mid to large size panels’ sales price, from the enlargement of sets and AIT technology applied sales performance, the business profit of approximately US$ 4,000 million was recorded. This is a 34% de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quarter but a 199% increase from the same period in 2014. LG Display estimates that the sales will increase in the third quarter due to seasonal factors and panel’s enlargement trend.

[Analyst Column] LG Display, 2사분기 실적 분석과 flexible OLED 투자 의미

이충훈 / Chief Analyst

7월 23일, 여의도 LG 트윈타워에서 LG Display의 실적 발표회를 개최하였다. LG Display의 지난 2사분기 매출은 6.71조원이며 영업이익은 0.49조원을 달성했다고 보고했다.

매출은 지난 분기 보다 0.31조원 감소(-5%)하였으나 지난 해 동분기 보다는 0.73조원 증가(12%)한 실적을 달성하였다. 영업 이익에서는 지난 분기 대비 0.25조원 감소(-34%), 지난 해 동 분기 대비 0.33조원 증가(206%)한 수치이다.

LG Display는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지난 5분기 동안 Y/Yo(초록색 선)가 U자 커브의 성장세를 나타내었으나 이번 분기에서는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2015년에는 LG 디스플레이의 성장세가 둔화될 조짐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LG Display의 2사분기 Y/Yo 성장세 꺾임은 성장세를 유지하던 smart phone 시장 성장 둔화와 TV 시장 감소에 의한 요인이 가장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되며 더불어 중국 디스플레이 기업들의 공격적인 투자에 의한 패널 가격 하락이 반영된 결과로 예상 된다.

LG Display가 하락 성장을 멈추기 위해서는 현재 주력 사업인 LCD 패널 위주에서 경쟁 업체들과 차별화할 수 있는 제품의 대량 생산이 시급할 것으로 분석된다.

이날 LG Display의 경영진은 플렉서블 OLED 시장 선도를 위해 1조 500억원 규모의 Gen6 플렉서블 OLED 라인 투자 결정을 공시했다. 투자 위치는 구미 공장이다. 초기 투자는 7.5K로서 삼성디스플레이에 이어 세계 2번째로 flexible OLED 전용 라인이 만들어질 예정이다.  이 라인은 추후 15K까지 증설될 것으로 예상 된다.

LG Display의 지난 해 영업 이익이 약 1.35조원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flexible OLED에 1조원을 투자하는 것은 매우 큰 금액이다. 투자 결정에 매우 어려움이 컸을 것이다. 하지만 LG Display가 flexible OLED 전용 라인 투자를 과감하게 결정한 것은 기존 주력 시장인 LTPS-TFT LCD를 생산하는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미 rigid OLED에서는 삼성디스플레이가 독점 시장을 확보하고 있어 시장 확보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LG Display의 CFO 김상돈 전무는 “Flexible OLED Gen6 line 투자가 어제 이사회에서 결정되었고, 오늘 아침에 공시되었다”라고 말하며 “OLED 사업에서 기술적인 우위를 가져가기 위한 결정이었고 foldable이나 rollable 기술에서도 시장 선점을 할 것이다”라고 투자 결정의 이유를 설명했다. Flexible OLED line은 월 7.5K가 가동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면적 OLED panel 관련해서는 지난 1분기 실적 설명회 때 밝힌 것과 같이 올해 패널 생산 목표는 60만대, 내년 150만대임을 다시 한 번 강조하였다. 또한 2016년에는 현재 가동되는 capa.보다 약 9K 이상인 34K가 운영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아직 OLED TV의 성장이 크지 않아 내년 150만대에 대한 공급 과잉의 우려에 대해서는 올해 하반기부터 적극적인 프로모션 활동을 통해 수요를 늘리겠다는 방안을 제시했다.

한편 LG Display는 중대형 패널의 판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세트의 대면적화와 AIT 기술을 이용한 실적 덕분에 영업이익은 4조 8,800억원을 기록하였다. 이는 전분기 대비 34% 하락한 수치이지만 작년 동분기 대비 199% 오른 수치이다. 3분기 실적에 대해서는 계절적 요인과 패널 대형화 트렌드가 매출 상승에 기인할 것으로 보여진다고 발표했다.

Samsung’s Galaxy Tab S2 Release, What is Different This Time?

On 20 July, Samsung Electronics announced the launch of the Galaxy Tab S2 (8.0inch, 9.7inch), with the thinnest and lightest metal frame of its size on the market.

 

Galaxy Tab S2 has thickness of 5.6mm and weight of 265g and 389g for 8.0inch and 9.7inch tablets respectively. Samsung Elec. applied Super AMOLED Display to these new releases with QXGA resolution.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Galaxy Tab S, the resolution was reduced from 2560×1600 to 2048×1536. The battery capacity was also lowered to 4,000mAh (8.0inch) and 5,870mAh (9.7inch), decreases of approximately 18% and 26% from existing models. However, with the reduced thickness and weight, mobility was improved, and through the lowered energy consumption the usage efficacy increased.

 

JK Shin, CEO and President of IT & Mobile Division at Samsung Elec. explained that the Galaxy Tab S2 is not only the “thinnest and lightest tablet of its size ever,” but that “it also gives users quick, easy access to a wealth of superior viewing and productivity features”.

 

The Samsung Galaxy Tab S2 will come in a variety of connectivity, storage and size options: 9.7-inch and 8.0-inch versions with Wi-Fi, or Wi-Fi and LTE, available in 32 or 64GB with MicroSD up to 128GB. It will be available in global markets, starting from August, 2015.

 

Source: UBI Research

Source: UBI Research

삼성전자의 Galaxy Tab S2 출시, 전작과의 차이점은?

7월 20일, 삼성전자가 Galaxy Tab S2 출시를 발표했다. Galaxy Tab S2는 8.0인치와 9.7인치의 2가지 크기의 모델이며 비슷한 크기의 태블릿 제품에서는 가장 얇고, 가벼운 metal frame을 사용하였다고 밝혔다.

Galaxy Tab S2는 8.0인치와 9.7인치 모델은 각각 265g, 389g의 무게와 5.6mm의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삼성디스플레이의 QXGA 해상도의 Super AMOLED 디스플레이가 처음으로 적용된 제품이다.

전작인 Galaxy Tab S와 비교하여 해상도는 2560×1600에서 2048×1536으로 낮아졌으며, 배터리 용량도 각각 4,000mAh와 5,870mAh로 동급 기존 모델 대비 약 18%, 26%씩 줄어들었다. 하지만 두께가 1mm 얇아지고 무게가 감소하여 휴대성을 높였으며, 소비전력(wh)이 낮아져 사용 효율은 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 IT & Mobile의 신종균 CEO는 Galaxy Tab S2가 가장 얇고 가벼운 태블릿이며, 우수한 화질과 기능적인 부분에 대한 접근을 좀 더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제품이라고 설명했다.

Galaxy Tab S2의 주요 사양은 8.0인치와 9.7인치 모델로 나뉘고, Wi-Fi만 되는 기기와 LTE도 되는 기기로 구분이 된다. 3GB의 RAM과 32/64GB 내장메모리와 최대 128GB의 외장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제품은 2015년 8월 중에 세계적으로 출시될 예정이다.

Source : UBI Research

 

OLED Rises to Become Purple Ocean of Existing Lighting Industry

OLED is receiving much attention as the next generation lighting as a greener lighting that can replace existing incandescent and fluorescent lights and reduce energy consumption, as well as lighting that can create new market. According to this trend, many organizations are analyzing OLED lighting industry in diverse directions and presenting the analysis.

At the 5th LED Industrial Forum which was held recently together with LED & OLED Expo 2015, Song Hyokyung, a senior researcher of WIPS, gave a presentation on the topic of OLED lighting industry’s patent trend and market status. She explained that as OLED lighting sector is a new market with a great growth potential, the technology development competition is fierce, and presented SWOT analysis results of Korean businesses.

For Korean OLED lighting industry’s strengths, Song gave examples which included world’s highest quality of OLED, AMOLED development and mass production technology, production ability, and diverse convergence technology solution. As for the opportunity factors, Song suggested application expansion through convergence with flexible technology, and increase in demand as the lighting market expands. On the other hand, Song revealed that the deficiency in original key technology on OLED material and components and the lack of mid to long term strategy regarding new technology development could be a weakness for Korean industry. She also gave China’s pursuit, possess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by leading companies, and appearance of new light sources such as QLED (quantum dot emitting diode) as factors that could pose threat. However, OLED lighting induces warm atmosphere as well as being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a future convergence industry. With these factors, Song concluded that if these weaknesses and threat factors can be overcome, OLED lighting will be able to show higher CAGR than other lighting markets.

UBI Research analyzed OLED lighting industry via STEEP analysis method in OLED Lighting Annual Report, published in May, 2015. UBI Research analyzed that as income increases, interest in interior design light using specialized lighting, other than necessary lighting, increases. Also, in terms of technology, OLED lighting projects in Korea, the US, and Europe are actively being carried out and estimated that the technology development will gain speed through related technology integration.

Economically, UBI Research analyzed that the market entry barrier is not high as the OLED lighting industry is not monopolistic. In terms of environment, incandescent lighting’s carbon production and fluorescent light’s mercury are becoming big concerns. Based on these factors UBI Research forecast that demand for green lighting, such as OLED lighting, will increase. Policy wise, OLED lighting industry clusters were formed and are supported by Korean and Japanese governments. As OLED lighting related projects are also being vigorously carried out OLED lighting industry is expected to become a high growth industry.

Based on both analyses OLED lighting is anticipated to be an industry with much potential for growth. If speedy technology development occurs and demand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lighting increases, it is expected that the OLED lighting share of total lighting market will rapidly increase. UBI Research estimated that total OLED lighting market will grow at CAGR of approx. 70% from 2016, and show US$ 10,000 million revenue in 2025.

 

LG Chem.’s Flexible OLED Lighting, Euroluce 2015

LG Chem.’s Flexible OLED Lighting, Euroluce 2015

 

OLED, 기존 조명 산업의 Purple Ocean으로 부상

OLED 조명은 환경규제와 에너지 절약을 위해 기존의 백열등과 형광등을 대체할 수 있고 새로운 조명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차세대 조명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런 동향에 부합하여 여러 기관에서는 OLED 조명산업을 다양한 방향으로 분석하여 발표하고 있다.

최근 ‘국제 LED & OLED 엑스포 2015’와 함께 열린 제5회 LED산업포럼에서 송효경 윕스 책임연구원은 ‘OLED조명산업의 특허동향과 시장현황’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OLED 조명 분야는 새로운 시장이면서 성장 가능성이 큰 사업이기 때문에 기술 우위를 점하기 위한 기술개발 경쟁이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발표하면서 국내 산업의 SWOT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송연구원은 국내 OLED조명산업의 강점으로 세계 최고의 OLED, AMOLED 개발과 양산기술, 생산능력, 다양한 융합기술에 대한 솔루션을 꼽았다. 또 기회요인으로는 플렉서블 기술과의 융합을 통한 적용분야의 확대, 조명시장이 확대되는데 따른 수요의 증가 등을 제시하였다. 반면 OLED 소재와 부품에 대한 원천핵심기술 부족과 신기술 개발에 대한 중장기 전략 미흡이 약점이 될 수 있다고 밝혔으며, 위협요인으로는 중국의 추격과 선진 기업의 지적재산권 선점, QLED(양자점 발광다이오드)와 같은 새로운 광원의 출현을 꼽았다. 송연구원은 “이러한 약점과 위협요인들이 극복된다면 친환경, 감성, 미래 융합 산업이라는 점에서 OLED 조명은 다른 조명 시장보다 큰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하였다.

유비산업리서치에서 2015년 5월에 발간한 “OLED Lighting Annual Report”에서는 STEEP분석법을 통해 OLED 조명 산업을 분석하였다. 유비산업리서치는 사회적으로 소득이 증가할수록 생활에 꼭 필요한 필수조명 이외의 특수조명을 이용한 인테리어 디자인 조명에 관심이 높아진다고 분석하였다. 또한 기술적으로 한국과 미국 유럽의 OLED lighting project가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관련 기술 집적화를 통해 기술 개발이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경제적으로는 OLED 조명 산업은 독과점 형태를 띄고 있지 않아 시장 진입 장벽이 높지 않다고 분석하였으며 환경적으로는 백열등의 탄소 생성과 형광등의 수은 함유에 대해 환경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어 OLED와 같은 친환경 조명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정책적으로는 한국과 일본 정부에서 OLED 조명 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을 선정하고 지원하고 있으며, 유럽에서도 OLED 조명 관련 프로젝트들이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기 때문에 OLED 조명 산업이 앞으로 고성장 산업으로서 거듭날 것으로 예상하였다.

두 가지의 분석법을 종합해볼 때 OLED 조명은 충분히 성장 가능한 산업으로 전망되며, 빠른 기술 개발과 친환경 조명에 대한 수요의 증가가 이루어진다면 전체 조명 시장에 대한 점유율을 빠른 시간 내에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유비산업리서치에서는 OLED lighting 전체 조명 시장을 2016년부터 연평균 성장률 약 70%로 성장하여 2025년에는 US$ 10,000 million의 시장을 형성 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LG Chem.'s Flexible OLED Lighting, Euroluce 2015

LG Chem.’s Flexible OLED Lighting, Euroluce 2015

 

[Finetech Japan 2015] Mobile Display up to 700 ppi. How about OLED?

At Finetech Japan 2015 (April 6-8), vice president of LG Display, Yoon Sooyoung, forecast the display resolution would evolve to 700ppi UHD for differentiation in technology. Japan Display’s CBO Yoshiyuki Tsukizaki also disclosed that a person can perceive up to 700ppi and estimated that mobile display resolution would therefore develop up to 700ppi.

 

Currently mobile display is being mass produced at QHD (approx. 500ppi), and UHD resolution is known to being actively developed for LCD. It is analyzed that UHD mobile OLED panel development will be a necessity in order to adapt to the trend toward high resolution. OLED is being mass produced in RGB pixel structure where FMM (fine metal mask) is applied. However, as FMM production technology is difficult, QHD AMOLED panel is being mass produced via pentile pixel structure rather than real RBG pixel structure. Therefore, technology for realization of mobile UHD resolution is expected to be a key issue in future.

 

For the mobile UHD AMOLED panel realization, securing shadow mask technology that allows for UHD resolution is important. In Finetech Japan 2015, V-Technology exhibited FHM (fine hybrid mask) technology that can produce 700ppi or higher resolution. V-Technology further revealed that “resolution of up to 738ppi can be produced using laser patterning technology after the formation of polyimide film on top of Ni mask”.

 

Additionally, another method is where white OLED + color filter is applied which uses color filter patterning technology. This is a comparatively easier method for producing high resolution, and JDI is aiming for mass production using WRGB structure. Chinese latecomers are also examining application of white OLED + color filter structure for high resolution AMOLED panel production.

 

The attention of the industry is now focused on how OLED will react and what solution will be generated facing LCD sector that is evolving toward UHD mobile display.

738ppi UHD Resolution FHM, Finetech Japan 2015

By Yu Jin Hong, reporter@olednet.co.kr

[Finetech Japan 2015] 모바일용 display, 700ppi까지 간다. OLED는?


8일 개최된 Finetech Japan 2015 에서 LG Display 윤수영 상무의 keynotes 발표에 따르면 기술 차별화를 위해 Display 해상도는 700ppi UHD로 발전해 나갈 것으로 전망하였다. 또한, Japan Display의 CBO Yoshiyuki Tsukizaki 역시 700ppi까지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해상도로 조사됐으며 이에 따라 모바일 display의 해상도가 700ppi까지 발전할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 모바일 display는 QHD(약 500ppi)의 수준으로 양산되고 있으며, LCD에서는 UHD에 대한 개발도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바일 OLED panel 또한 고해상도화로 향하는 기술 트랜드에 맞춰 UHD로의 개발이 필수적일 것으로 분석된다. OLED는 현재 FMM(fine metal mask)를 적용한 RGB pixel 구조로 양산되고 있다. 하지만 고정세의 FMM 제조 기술이 어렵기 때문에 현재는 real RGB 픽셀구조가 아닌 pentile 픽셀구조를 통해 QHD AMOLED panel이 양산되고 있다. 따라서 모바일 UHD해상도 구현을 위한 기술이 앞으로의 핵심 이슈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모바일 UHD AMOLED panel 구현을 위해서는 UHD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는 shadow mask기술 확보가 중요하다.

이번 Finetech Japan 2015에서는 V-Technology에서 700ppi이상을 구현할 수 있는 FHM(fine hybrid mask)기술을 전시하였다. V-technology 관계자는 “Ni mask위에 polyimide film을 형성한 후 레이져로 patterning하는 기술로 738ppi까지 제조 가능하다”라고 하였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대적으로 고해상도 제조가 쉬운 color filter patterning 기술을 적용한 white OLED + color filter를 적용하는 방법으로 JDI에서는 WRGB 구조로서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 후발업체들도 고해상도 AMOLED panel 제조를 위해 white OLED + color filter 구조 적용을 검토 중에 있다.

앞으로의 모바일용 display 시장에서 에서 UHD 해상도로 진화하는 LCD진영에 맞서 OLED가 어떤 해결책을 내놓을지 업계의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738ppi UHD Resolution FHM, Finetech Japan 2015

By Yu Jin Hong, reporter@olednet.co.kr

 

[FPD China 2015] Tianma, Reveals China’s First FHD OLED Panel’

[FPD China 2015]Tianma, FHD OLED panelA display company Tianma succeeded in developing China’s first OLED panel with FHD resolution. There are several companies that mass produces or is developing AMOLED panel for smart phones.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are in Korea, JDI in Japan, and AUO in Taiwan. In China, the companies include Tianma, Visionox, Truly, and EveryDisplay, as well as BOE. The 4 companies that are mass producing the AMOLED panel are Samsung Display, LG Display, AUO, and EverDisplay. Of these, only Samsung and LG are pass producing FHD AMOLED panel.

 

With LCD panel for mobile, products with resolution of FHD or higher are already being mass produced. However, due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it is difficult to produce OLED panel with FHD resolution or higher. As emitting materials are evaporated via fine metal mask (FMM), obtaining high resolution of high precision FMM is a priority. In order to manufacture high precision FMM, metal plate of 40um or less is needed, and also requires technology that allows for highly accurate process. Only 2 companies, Japan’s DNP and Toppan, can produce high precision FMM, and since they have exclusive contracts with Samsung and LG respectively, they cannot provide FMM. Therefore, JDI employs WOLED structure that does not require FMM for AMOLED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To develop high resolution AMOLED panel, Tianma has been independently developing dual FMM. Although it has not been confirmed what type of FMM was used for the FHD AMOLED revealed in FPD China 2015, they exhibited 5.5inch FHD OLED product with 400ppi resolution.

 

Resolution of FHD or higher can be realized by manufacturing OLED panel itself purely by process, or by another method with pentile technology. Currently it is difficult to produce FHD with the first method and even Samsung and LG are utilizing the pentile technology. As such, it is likely that Tianma’s AMOLED is pentile driven. Pixel structure needs to be analyzed once the product is available on the market.

FHD AMOLED panel from Tianma, FPD China 2015

 

 

 

‘The 1st OLED KOREA Conference ‘ by UBI Research

Conference

The international Business Conference highlighting the present and future outlook of Organic Lighting-Emitting Diode(OLED) is held.

“UBI Research(the president, Choong hoon Yi)” specialized in OLED industry, has announced that “The 1st OLED KOREA Conference” will take a place 2nd of April, 2015 at The Korea Science and Technology Centre(SC Convention) located in Yeoksam-Dong, Gangnam- Gu.

This event’s main agenda is to review the current issue and to figure out the best practice to response it as OLED is becoming more widely used especially in TV, Automotive vehicle, Lighting, Smart phone etc.

Choong hoon Yi, the president of UBI Research will provide a perspective of the future of Flexible OLED as well as the factors why OLED TV will lead the market even though the technology for LCD is still continuously improving.

The attendees and the president, Choong hoon Yi will together have an open discussion about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where the businesses in OLED industry are struggling.

Ki-Yong Lee, the Vice president of Samsung Display will present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AMOLED Display” on this conference.

Xiuqi Huang, the CEO of Visionox R&D Centre and KSFPD will explain the whole process from researching and developing OLED Display to its production.

Also Won Gyun Youn, the team manager of OLED TV Product Planning, LG Display plans a speech about “the commercial possibilities of OLED TV”, and Chung-Seock Kang, the Vide president of KCRP will focus on “the development status of plastic substrate for Flexible Display”.

In addition, the overview of OLED display and lighting industry in Japan(Analysis Atelier Corporation, Dr. Hisashi Hattori), ▲ Gas Transmission-rate measuring system[OMEGATRANS](O-WELL Corporation, Shinya Higashio), ▲the present and prospect of AMOLED(Shanghai Tianma AMOLED Co., Ltd. , Special Assistant to General Manager Alan Huang), ▲Technologies for Efficiency Enhancement in OLED(ETRI, Dr. Jeong-Ik Lee), ▲Hybrid purification technology for OLED(KITECH, Principal Researcher Dr. Tae-Won Kim), ▲Key Technology of 8G In-line Deposition System for OLED TV(YAS, Director Dr. Myung Woon Choi), ▲the competitiveness and market forecast of OLED industry(Samsung Securities, Senior Analyst Jung Hoon Chang), ▲the current status and key issues of Quantum dot LD display technology(Seoul National University, Prof. Changhee Lee), ▲OLED Material development trend and the achievement(Doosan corp, Team Leader Dr. Ta Hyung Kim), ▲nationwide support for OLED R&D and its strategy of the key countries(KIT, Dr. Jeongno Lee) will be covered throughout the conference.

After the conference, there will be “VIP Dinner Gala” hosted by UBI Research where the experts, executives and researchers from a number of business in OLED industry, institutes and academia, shall have a warm place for networking and communication.

UBI Research is planning to hold the international business conference every year and the 1st OLED KOREA Conference will be a start. The registration can be made on the company

OLED KOREA Conference

유비산업리서치, ‘제1회 OLED KOREA Conference’ 개최

OLED KOREA Conference

OLED KOREA Conference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현재와 미래 모습을 볼 수 있는 International Business  Conference가 열린다.

‘OLED 전문 기업’ 유비산업리서치(대표 이충훈)는 4월 2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에 소재한 한국과학기술회관(SC컨벤션)에서 ‘제1회 OLED KOREA Conference‘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OLED가 TV와 자동차, 조명, 스마트폰 등으로 활용 범위와 쓰임새를 갈수록 넓혀가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응하기 위한 과제를 점검해보고 해결책을 찾기 위해 마련됐다.

유비산업리서치 이충훈 대표는 LCD 진영의 지속적인 기술 개발에도 불구하고 OLED TV가 성공할 수 밖에 없는 요소들을 어필하고 Flexible OLED 미래를 조망하고자 한다. 고군분투하고 있는 OLED 산업의 미래에 대하여 참석자들과 이 충훈 대표가 함께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다.

이 자리에서 삼성디스플레이 이기용 상무는 ‘아몰레드’ 디스플레이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해 설명한다.

비전옥스(Visionox)의 Xiuqi Huang 대표는 OLED 디스플레이가 R&D를 거쳐 양산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소개한다.

아울러 LG디스플레이 윤원균 상품 기획 팀장은 ‘OLED TV가 미래 디스플레이로서의 가능성’, 코오롱중앙기술원 강충석 부원장은 ‘플렉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실현을 위한 플라스틱 기판 소재 개발현황’을 주제로 각각 발표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일본 OLED 디스플레이와 조명(Analysis Atelier Corporation, Dr. Hisashi Hattori), ▲Gas Transmission-rate measuring system[OMEGATRANS](O-WELL Corporation, Shinya Higashio), ▲AMOLED의 현재와 전망(Shanghai Tianma AMOLED Co., Ltd. , Special Assistant to General Manager Alan Huang), ▲고효율 OLED 광원기술(ETRI 이 정익 실장), ▲OLED용 Hybrid 정제기술(한국생산기술연구원 김 태원 수석), ▲ 8G In-line OLED 증착기 핵심 기술 (야스 최명운 연구소장), ▲OLED 산업의 경쟁력과 시장 전망(삼성증권 장 정훈 수석),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기술의 현황과 주요 과제(서울대학교 이 창희 교수), ▲OLED 재료 기술개발 동향 및 성능(두산전자 김 태형 OLED 개발팀 팀장), ▲OLED 중심국가 R&D 지원 현황 및 전략(산업기술평가관리원 이 정노 PD)이 국내외 최고 전문가들에 의해 다뤄진다.

유비산업리서치는 본 컨퍼런스 종료 후 별도의 VIP 석식 행사를 통해 OLED 산업계와 학계, 연구소 임원진들과 전문가가 한자리에 모여 OLED 산업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대화를 나눌 수 있는 네트워크 장을 마련한다.

유비산업리서치는 올해 행사를 시작으로 매년 국제 비즈니스 컨퍼런스를 개최할 계획이다. 컨퍼런스 참가신청은 유비산업리서치 홈페이지(www.ubiresearch.co.kr)를 통해 할 수 있다.

[MWC2015] Smart Watch Market, Struggle Expected in Google OS Sector

In MWC2015, various companies, including Samsung Electronics, LG Electronics, Huawei, and Asus, exhibited smart watch. Since 2014, Samsung Elec. and LG Elec. began to sell smart watch, Asus and Huawei are shipping smart watch equipped with rigid AMOLED panel. Apple, a latecomer but also strongest rival, is planning to actively sell smart watch, with LG Display’s plastic OLED, from April.

From the outside, all 5 companies have smart watch with AMOLED, but other than Apple which uses iOS, and Samsung Elec. that uses Tizen, the insides of the other 3 companies are the same. This is because they use Google OS. Hence the software of these 3 companies’ products are similar, and without the smart watch exterior the functions are almost identical. The only differentiations are due to smart watch design. Huawei’s smart watch face design is similar to LG Elec.’s, and the back design practically cannot be distinguished from LG Elec.’s products.

<LG Elec. Smart Watch (left), Huawei Smart Watch (right)>

 

 

 

 

 

<LG Elec. Battery Charger (left), Huawei Battery Charger (right)>

In MWC2015, Google sector showed how difficult it would be for any company to conquer the market.

 

[MWC2015] smart watch 시장, 구글 OS 진영 혼전 예상

이번 MWC2015에서는 삼성전자를 비롯하여 LG전자와 Huawei, Asus 등 다양한 업체들이 smart watch를 전시했다. 2014년부터 삼성전자와 LG전자는 flexible AMOLED를 탑재한 smart watch를 판매하기 시작했으나, Asus와 Huawei는 rigid AMOLED 패널을 탑재한 smart watch를 올해에는 모두 출하한다. 여기에 후발 주자이지만 가장 강력한 경쟁자로 인지되는 Apple 역시 4월부터는 LG디스플레이에서 생산하는 plastic OLED를 사용한 smart watch를 본격적으로 판매할 예정이다.

겉으로 보기에는 이들 5개 업체 모두 AMOLED를 탑재한 smart watch를 판매하지만 iOS를 사용하는 Apple과 타이젠을 사용한 삼성전자를 제외한 3개사는 모두 속이 같다. 구글 OS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까닭에 이들 3개사의 소프트웨어가 비슷하여 smart watch 외관을 제외하면 기능이 거의 같아 보이게 된다. 제품의 차별성은 오로지 smart watch 디자인뿐이다. Huawei의 smart watch는 앞면 컨셉이 LG전자와 유사하 며 뒷면 디자인은 LG전자 제품과 구별이 되지 않을 정도이다.

<(좌)LG전자 smart watch, (우)Huawei smart watch>

 

<(좌)LG전자 충전기, (우)Huawei 충전기>

이번 MWC2015에서 구글 진영은 어느 누구도 시장을 석권하기 어려울 것임을 보여주었다.

[Analyst Column] AMOLED equipped smartphone promotes enlargement of the display on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2015 OLED Display Annual Report” published by UBI Research, it was researched that the 5-inch AMOLED display is the main product for a smartphone.

The report shows almost no fluctuation in the number of AMOLED equipped smartphone manufacturers for the last three years from 2012 to 2014 – 13 (2012), 11 (2013) and 14 (2014) – but the major smartphone display size that these companies sold was set in-between 4-inch and 5-inch.

 

 

Among 31 AMOLED equipped products, there was only one 5-inch smartphone accounting for 3 percent in 2012, but it has increased to 21 percent with 5 products among 21 in 2013, and 19 products in total of 27 forming 70 percent in 2014.

Samsung Electronics strategized the two elements which are not available in iPhone as points of differentiation to compete with the biggest smartphone rival company Apple. The first plan is targeting the color gamut of LCD. The existing LCD can only reproduce approximately 80% of NTSC which is the broadcasting standard. Although it became possible to enjoy TV and movies through a smartphone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re is a difficulty in reproducing the 500nit of TV quality on a smartphone with the brightness of 200nit. The limit in increasing the brightness of a smartphone is in that the power consumption needs to be minimized to use the smartphone for a long time with the battery. In view of that, Samsung Electronics chose the AMOLED panel as a key strategic part meeting the NTSC standard in low power consumption as an alternative for the LCD panel for the consumers to identify more precise colors. It is expected that the demand for AMOLED panel capable of accurately realizing colors of a product will increase further given the latest growth in shopping clothes with smartphones.

The second plan is in the display size. While iPhone focused on a 3-inch small sized smartphone for a better sense of grip to enhance portability, Samsung Electronics was more focused on “a product of better visibility” rather than “a product of better hand grip”. Obviously the early AMOLED panel has low resolution. Therefore, the bigger display was needed to realize high-resolution as it is hard to fix the opening ratio of shadow mask which is used in manufacturing the pixel for AMOLED panel.

Samsung Electronics succeeded in catching up with Apple, the inventer of smartphone, in terms of the color gamut and size of AMOLED display. Now Apple finally abandoned the matter of grip and expanded the display size to 5-inch.

Although Samsung Electronics was a latecomer compared to Apple in the smartphone market, the choice of AMOLED by Samsung Electronics made the Samsung Electronics of today and also prepared the base for the AMOLED to thrive. In addition, the Samsung Electronics’ strategy enabled the smartphone display in the world to develop into a 5-inch “device to see”.

 

Choong-hoon Yi, Chief Analyst/ UBI Research

[Analyst Column] AMOLED 탑재 스마트폰이 모바일용 디스플레이 대형화 주도

유비산업리서치가 발간한 “2015 OLED Display 연간 보고서”에 따르면 AMOLED 탑재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5인치급이 주력 제품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에서 2014년 3년간 AMOLED 탑재 스마트폰 출하 업체 수는 13개사(2012년), 11개사(2013년), 14개사(2014년)로 변동폭이 거의 없으나, 이들 업체들이 판매한 스마트폰의 주력 디스플레이 사이즈는 4인치급에서 5인치급으로 자리 잡았다.

스마트폰 AMOLED 패널 사이즈

2012년에는 AMOLED 탑재 스마트폰 31개 제품 중 5인치급은 3%인 1개에 불과했으나 2013년에는 총 21개중 5개인 24%로 증가하였고, 2014년에는 27개 제품 중 19개가 5인치급이 사용되어 70%로 확대되었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시장 최대 경쟁 업체인 애플과 경쟁하기 위해 iPhone에 없는 2가지 요소를 차별화 포인터로 전략화 시켰다.  첫째는 LCD의 색재현율을 공략한 점이다. 기존 LCD는 색을 표현하는데 있어 방송 기준인 NTSC의 약 80% 정도만 가능하였다. 통신 기술 발달에 의해 스마트폰에서도 방송과 영화를 감상할 수 있게 되었으나 500nit에 달하는 TV의 휘도에 비해 스마트폰은 휘도가 200nit 정도에 불과해 TV에 비해서도 색상 구현이 더욱 어려운 단점이 있다. 스마트폰은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을 위해서는 소비전력을 최소화해야만 하기 때문에 휘도를 올리는데 한계가 있다. 삼성전자는 LCD 패널로서 만든 스마트폰 사용자가 보다 정밀한 색상을 파악할 수 있는 대안으로 낮은 소비전력에서도 NTSC 기준을 충족 시킬 수 있는 AMOLED 패널을 전략 핵심 부품으로 정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으로 의류를 주문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어 상품의 색상을 정확히 표현 해 줄 수 있는 AMOLED 패널 요구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두번째는 디스플레이 사이즈이다. iPhone은 휴대성을 강화하기 위해 그립감이 좋도록 3인치급의소형 스마트폰에 집중하였다. 이에 비해 삼성전자는 스마트폰을 “손에 쥐기 좋은 제품” 보다는 “보기 쉬운 제품”으로 변환시키는 것에 주력하였다. 물론 초기 AMOLED 패널은 해상도가 낮았다. 따라서 AMOLED 패널의 픽셀 제조에 사용되는 shadow mask의 개구율을 고정세로 만들기 어렵기 때문에 고해상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큰 것이 필요하였다.

삼성전자는 AMOLED 디스플레이의 색재현율과 크기로서 스마트폰 원조인 애플을 따라잡는데 성공한 것이다. 이제는 애플마저도 글립감을 버리고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5인치급으로 확대하였다.

비록 삼성전자가 애플에 비해서는 후발 주자로 스마트폰 시장에 뛰어 들었지만 삼성전자의 AMOLED 선택은 오늘의 삼성전자를 만들었고 더불어 AMOLED가 성공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것이다. 또한 삼성전자의 디스플레이 전략은 전세계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5인치급의 “보는 기기”로 진화할 수 있게 만들었다.

 

이충훈 / 수석 애널리스트 / 유비산업리서치 / ubiyi@ubiresearch.co.kr

Samsung Display, to break through crisis with diversification of OLED customer!

Samsung Display is speeding up to be post-Samsung Electronics. The world’s sole OLED panel that Samsung Display manufactures is applied to most of the products by Samsung Electronics’ IM Division. Samsung Display expected to expand the OLED panel market as building the A2 line additionally in 2013 but the Smartphone Galaxy S5 did not measure up to the expectations resulting gradual decrease of factory operation rate a long with the sales.

The diversification of customers is required at this moment in the Samsung Display’s AMOLED panel industry which heavily relies on Samsung Electronics. And the result of those efforts begins to appear in the tablet PC area. In the last month, Dell revealed the tablet PC Venue 8 7000 using the Samsung Display’s 8-inch AMOLED panel (refer to the OLEDNET article posted on November 4), and now Fujitu released the tablet PC ARROW Tab F-03G with 10.5-inch AMOLED panel. (http://www.fmworld.net/product/phone/f-03g/info.html#heading02). Fujitsu is emphasizing the excellent picture quality of the tablet PC with AMOLED panel compared to the product made of LCD.

It has been only half a year since the OLED was applied to the tablet PC and yet, it is anticipated to be applied by a wide range of industries from next year given that global set companies begin to use OLED.

 

 

Samsung Display, to break through crisis with diversification of OLED customer!

Samsung Display is speeding up to be post-Samsung Electronics. The world’s sole OLED panel that Samsung Display manufactures is applied to most of the products by Samsung Electronics’ IM Division. Samsung Display expected to expand the OLED panel market as building the A2 line additionally in 2013 but the Smartphone Galaxy S5 did not measure up to the expectations resulting gradual decrease of factory operation rate a long with the sales. The diversification of customers is required at this moment in the Samsung Display’s AMOLED panel industry which heavily relies on Samsung Electronics. And the result of those efforts begins to appear in the tablet PC area. In the last month, Dell revealed the tablet PC Venue 8 7000 using the Samsung Display’s 8-inch AMOLED panel (refer to the OLEDNET article posted on November 4), and now Fujitu released the tablet PC ARROW Tab F-03G with 10.5-inch AMOLED panel.  (http://www.fmworld.net/product/phone/f-03g/info.html#heading02). Fujitsu is emphasizing the excellent picture quality of the tablet PC with AMOLED panel compared to the product made of LCD. It has been only half a year since the OLED was applied to the tablet PC and yet, it is anticipated to be applied by a wide range of industries from next year given that global set companies begin to use OLED.141219_삼성디스플레이, OLED 패널 고객 다변화로 위기 돌파한다!

OLED displays mounted in Audi’s Prologue Concept Car

Audi’s Prologue Concept car comes with flexible and rigid OLED displays.

 

According to OLED-Info, Prologue concept car with two-door design features one flexible OLED and three rigid OLED displays. The flexible display made by Samsung Display is 8.9 x 5.6 inch in size and has a resolution of 28ppi (2560×1600).

 

Audi is well known for its excellent exterior designs including lamps in the auto industry, and is also the most active auto manufacturer in using OLED lighting panels to produce lamps. 141202_Audi의 Prologue concept car에 장착된 OLED

[Audi Prologue equipped with OLED displays]

141202_Audi의 Prologue concept car에 장착된 OLED_2

[Audi Q7 featuring OLED lighting]

Will Everdisplay be the first small and medium AMOLED panel maker in China?

Everdisplay is expected to start mass-production in the fourth quarter of 2014.

According to OLED info’s interview with the marketing team of Everdisplay, Everdisplay will begin mass production in Q4 of 2014 and be the first AMOLED mass producer in China. An officer of Eerdisplay’s marketing team said, “it focuses on small and medium size display targeting smartphone, wearable device and automotive application and is developing a flexible OLED panel for the next generation production.” It showed that the mass-production will begin soon by releasing pictures of AMOLED panel prototypes in 5 inch (293 ppi), 5.5 inch (267ppi) and 6 inch (244ppi). Currently, Everdisplay plans mass-production in Gen4.5 LTPS line, which is under construction in Shanghai, China and capa. is 15,000 pieces per month based on mother glass.140716_ever

 

<Everdisplay’s 5”(293ppi), 5.5”(267ppi) and 6”(244ppi) AMOLED panel prototype, source : OLED-inf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