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LG 뿐 아니라 BOE, AUO도…디스플레이 업계 LCD발 이익 폭락

출처 = BOE

출처 = BOE

강현주 기자 / jjoo@olednet.com

삼성, LG 모두 2016년 1분기 TV 등 세트 사업은 순항했지만 디스플레이 부문은 우울했다. 글로벌 LCD 공급과잉 여파가 컸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LCD 공급과잉을 주도했다고 볼 수 있는 중화권의 주요 LCD 주자들의 실적 역시 암울하다. BOE, AUO 등 글로벌 주요 LCD 패널 업체들도 2016년 1분기 이익이 폭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삼성전자, LG전자 모두 2016년 1분기 영업이익이 개선됐다고 발표했다. 삼성전자는 영업이익 6조6800억원을 기록, 각각 전년동기 대비 12% 증가했다. LG전자도 1분기 연결영업이익 5,052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65.5%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두 회사 모두 TV 사업의 호조를 강조했다.

반면 디스플레이 부문에서는 삼성, LG 모두 타격이 컸다. 삼성디스플레이는 2016년 1분기 270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LG디스플레이는 적자를 기록할 것이라는 예상을 깨고 2016년 1분기에도 395억원의 영업이익 흑자를 달성하긴 했지만 전년동기에 비해서는 무려 94.7% 하락했다.

삼성, LG 뿐 아니라 중화권 디스플레이 주자들도 성적이 크게 떨어졌다.

대형 LCD 양산에 공격적으로 투자해온 BOE는 2016년 1분기 매출이 약 123억위안으로 전년동기 대비 6.7% 상승했다. 1분기 이 회사는 1억 800만위안의 영업이익을 올렸지만 전년동기에 비해서 이익율이 폭락했다. 2015년 1분기 BOE의 매출대비 영업이익률은 8%에 달했지만 올해 1분기는 0.8%에 불과하다.

대만의 AUO 역시 28일 실적발표를 통해 2016년 1분기에 5조5800억 대만달러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BOE, AUO 모두 글로벌 LCD TV 패널 업계에서 출하량 기준 점유율 상위권에 속하며 중화권에서는 5위안에 있다. 특히 BOE는 최근 공격적인 물량공세로 세계 1위인 LG디스플레이를 바짝 따라붙고 있다. 그럼에도 우울한 실적을 기록한 것은 LCD 공급과잉으로 인한 가격폭락과 OLED 확산 등이 요인으로 분석된다.

글로벌 모바일 OLED 최강자인 삼성디스플레이의 경우 삼성전자의 OLED 스마트폰 강세에도 LCD 부문에서 9천억원에 달하는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OLED로 번 돈을 LCD로 갉아먹은 셈이다. LG디스플레이의 경우 TV용 OLED 시장을 리드하고 있는 입장이라 LCD 가격 폭락 타격을 그나마 완충한 것이 적자는 면할 수 있었던 한 요인이라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디스플레이 업계 한 전문가는 “BOE 같은 LCD 대표주자들은 물량공세로 점유율은 늘렸겠지만 이익률에는 타격이 클 것”이라고 했다. 그는 “하지만 LCD라 해도 30인치대 패널들에 비해 50인치대, 60인치대 같은 대형 쪽은 비교적 가격폭락 영향이 적었다”라며 “대형 TV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LCD 업계의 상황도 2분기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삼성전자 권오현 부회장, 삼성디스플레이 대표로 선임

 

SDC 대표로 선임된 권오현 부회장(출처=네이버)

SDC 대표로 선임된 권오현 부회장(출처=네이버)

 

삼성디스플레이는 4월 29일 주주총회 및 이사회를 개최하여 삼성전자 대표이사인 권오현 부회장을 삼성디스플레이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삼성전자 DS부문장을 겸직하고 있는 권오현 부회장이 이번 인사를 통해 삼성디스플레이 대표이사까지 추가로 겸직하게 되면서 부품 양대 축인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사업이 본격적인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메모리와 디스플레이를 두로 경험한 박동건 사장은 삼성전자 DS부문으로 자리를 옮겨 미래사업 준비와 부품 사업의 핵심인 설비 및 제조 경쟁력 강화에 주력할 예정이다.

Samsung, Despite the Favorable TV Sales in Q1, Display Still in Deficit

Source = Samsung Elec.

Samsung Elec. today announced financial results for the first quarter ended March 31, 2016. Samsung’s revenue for the quarter was KRW 49.78 trillion, an increase of 5.7 percent YoY, while operating profit for the quarter was KRW 6.68 trillion, an increase of 12 percent YoY. In the company’s earnings guidance disclosed on April 7, 2016, Samsung estimated first quarter consolidated revenues would reach approximately KRW 49.0 trillion with consolidated operating profit of approximately KRW 6.6 trillion.

The first quarter saw overall earnings growth led by the early launch and successful sales of the flagship Galaxy S7 and S7 edge, improved memory product mix, expanded 14nm supply of System LSI products and increased sales of OLED panels.
Overall earnings of the Display Panel business decreased due to a sharp decline in LCD panel earnings although earnings of OLED panels improved mainly driven by the Galaxy S7. The LCD business experienced temporary yield issues while adopting new process technology as well as TV panel price decline.

The IT & Mobile Communications (IM) Division saw a substantial earnings improvement both YoY and QoQ mainly driven by the early launch of Galaxy S7 and its strong sales and improved cost efficiency through the streamlining of mid-to-low-end smartphone lineups. Although the company had a one-time royalty settlement expense in the quarter, the impact on operating profit was equivalent to less than 1 percent of IM revenue.

The Consumer Electronics (CE) Division achieved significant earnings growth YoY led by expanded sales of premium TV models such as SUHD TV and Curved TV in developed markets, and also a notable sales increase of premium home appliance products in North America.

In the second quarter, the company expects its solid performance to continue led by steady earnings in the Mobile and Semiconductor businesses plus improvement of the CE and Display Panel businesses.

The IM Division is expected to secure solid earnings by expanding sales of the Galaxy S7 along with strong profitability of mid-to-low-end products. The CE Division expects to see improvements as seasonality should improve air conditioner sales, while flagship SUHD TV sales are expected to increase.

The Display Panel segment is expected to see earnings improvement compared to the previous quarter as LCD profitability is forecast to rise on stabilized TV panel yields and improved demand and supply conditions.

For the Display Panel business, OLED earnings are expected to improve due to growth driven by an increase in flexible and high-resolution panels. LCD panel profitability is expected to improve in the second half driven by high valued-added products amid better supply and demand conditions.

For the IM Division, the company expects the sales of flagship products to increase YoY, especially with strong demand for flagship products such as the Galaxy S7 and new model launches in the second half. In addition, the company will continue to manage cost efficiencies by streamlining its smartphone lineups.

For the CE Division, the company will focus on profitability by increasing premium products such as SUHD and Curved TVs. With the Olympics and other global sporting events forecast to drive global demand for large-size TVs, the company expects strong improvements in operating results YoY.

Meanwhile, capital expenditure (CAPEX) for the first quarter was KRW 4.6 trillion, which includes KRW 2.1 trillion for the Semiconductor business and KRW 1.8 trillion for the Display Panel business. The annual plan for CAPEX has not yet been confirmed but is projected to increase slightly compared to last year’s CAPEX based on various business opportunities. CAPEX for the Display Panel segment may increase as the company sees strong market demand for OLED panels. DRAM CAPEX will remain flexible based on supply and demand conditions but is expected to be lower than 2015.

The Display Panel segment posted KRW 6.04 trillion in consolidated revenue and KRW 0.27 trillion in operating loss for the quarter.

In the first quarter, shipments of OLED panels improved from the previous quarter, driven by launches of new high-end smartphone panels and strong demand for smartphones in the mid-to-low-end space. Conversely, the company’s LCD panel shipments decreased, affected by weaker demand during low seasonality.

Looking ahead to the second quarter, for OLED panels, Samsung hopes to actively address demand for new products and expand its customer base, while focusing on improving profitability of LCD panels by increasing shipments of strategic premium products such as UHD and large-size panels.

In 2016, the company expects OLED demand will continue to rise helped largely by growth in the mid-to-low-end smartphone segment while the LCD market will continue to be over supplied. In this market, Samsung hopes to actively address demand for new products, increase sales of value-added products and reinforce its leadership by developing new panel applications.

The IM Division – comprising the Mobile Communications and Networks Businesses – posted KRW 27.60 trillion in consolidated revenue, a 6.6-percent YoY increase, and KRW 3.89 trillion in operating profit for the quarter, a 42-percent YoY increase.

While smartphone and tablet demand saw a slight QoQ decrease due to seasonal effects, overall operating profit for the Division increased. This increase was largely due to the early launch and strong global performance of the flagship Galaxy S7 and S7 edge, as evidenced by robust sell-out figures and low inventory levels compared to their predecessors. A streamlined mid-to-low-end smartphone lineup also contributed to improved profitability.

Looking ahead to the second quarter, while demand for smartphones and tablets is forecast to remain flat due to continued weak seasonality, the worldwide rollout of the latest flagship models as well as an increase in shipments of the mid-to-low-end Galaxy A and J series are expected to help the company maintain robust sales momentum and profit.

As for the year ahead, Samsung anticipates softening demand in the smartphone market and negative growth in the tablet market. The company will reinforce its leadership in the premium smartphone segment on the back of the Galaxy S7 and S7 edge, while continuing to increase volume and improve profitability in the mid-to-low-end segment. In addition, the company will continue to expand the Samsung Pay service to global markets and look into new business opportunities.

For the Networks Business, the company will seek growth through the continued rollout of 4G LTE services in new markets around the world, including Southeast Asia.

The Consumer Electronics Division – encompassing the Visual Display (VD), Digital Appliances (DA), Printing Solutions and Health & Medical Equipment (HME) businesses – posted KRW 10.62 trillion in consolidated revenue and KRW 0.51 trillion in operating profit for the quarter.

In the first quarter, TV market demand decreased YoY due to weak seasonality and economic downturn in emerging markets. Earnings for the VD Business showed significant growth YoY, led by increased sales of premium products such as SUHD and Curved TVs.

For the appliances business, earnings improved compared to the corresponding quarter last year, led by continued growth in the North American market and increased sales of innovative premium products such as Chef Collection refrigerators and the Activewash™ washing machine.

In the second quarter, TV demand is expected to slightly increase riding on sports events such as the Olympics. The company plans to further improve profitability by continuing to focus on the new and improved SUHD TVs with the world’s only cadmium-free Quantum dot display, while also increasing sales of premium products such as UHD TVs and Curved TVs.

Digital appliance demand is expected to rise due to seasonal growth for air conditioners, despite global market uncertainties. Against this backdrop, Samsung aims to increase profitability by expanding sales of innovative premium products such as a newly launched air conditioner and Family Hub Refrigerator. Additionally, the company expects to improve performance by expanding its enterprise business including built-in kitchens and system air conditioners.

삼성, 1분기 TV 판매호조에도 디스플레이는 2700억원 적자

Samsung Elec.이 2016년 1Q 실적을 발표했다. (출처=삼성전자)

강현주 기자 / jjoo@olednet.com

삼성전자( Samsung Elec.)가  2016년 1분기 TV 판매 호조로 CE 사업 이익 개선을 달성한 반면 디스플레이 부문에서는 적자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28일 연결기준으로 매출 49조7800억원, 영업이익 6조6800억원원의 2016년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1분기는 ▲갤럭시S7의 조기 출시와 판매 호조, ▲메모리 고부가 제품 판매 확대, ▲시스템LSI 14nm 공급확대, ▲OLED 판매량 증가, ▲SUHD TV 등 프리미엄가전 판매확대 등을 통해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5.7%, 영업이익은 12% 증가했다.

하지만 디스플레이 사업은 부진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2016년 1분기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12% 하락한 6조400억원이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보다 7900억원 하락한 -2700억원을 기록했다.

CE 부문은 SUHD TV와 커브드(Curved) TV 등 프리미엄 TV 판매 확대와 북미 중심 프리미엄 가전 판매 호조로 판매량이 증가해 전년동기 대비 실적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

하지만 디스플레이의 경우 갤럭시S7 효과 등으로 OLED 실적이 개선됐지만, LCD의 경우, TV 패널 판가 하락과 신공법 적용 과정에서의 일시적인 수율 이슈로 실적이 감소했다.

LCD는 계절적인 비수기 수요 감소와 판매 가격 하락으로 전분기 대비 실적이 악화됐다. 반면 OLED의 경우, 신규 하이엔드용 패널 출시와 중가대 스마트폰 채용 확대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실적이 개선됐다.

이 회사는 2분기에는 OLED 신제품 수요에 적극 대응하는 한편 고객 기반을 확대하고, UHD/초대형 등 프리미엄 LCD 판매를 강화해 실적 개선에 나설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1분기 시설투자에 4조6000억원을 썼으며, 그 중 디스플레이 부문에는 1조8000억원을 지출했다.

2016년 디스플레이 시장은 OLED 패널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지만, LCD 공급 과잉으로 전반적으로 시황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플렉시블/고해상도 패널 증대로 OLED 실적 개선이 전망되며, LCD의 경우 하반기 시장의 수급이 개선되는 가운데,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를 통해 수익성이 좋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는 게 삼성의 설명이다.

 

Galaxy S7 and S7 edge Now Available in Pink Gold

Galaxy S7 and S7 edge Pink Gold(Source : Samsung Elec.)

Samsung Electronics has released Pink Gold editions of the Galaxy S7 and S7 edge, bringing the total of available colors for the devices to five. Debuting in Korea on April 20, the Pink Gold Galaxy S7 and S7 edge will soon be available for customers in select markets.

Pink Gold was chosen as it, like the other colors available for the  S7 and S7 edge, is a natural color that provides a sense of comfort. These hues glitter and shimmer as if illuminated from inside their glass surfaces.

In particular, the refined, skin tone-inspired Pink Gold color scheme is intended to soothe and incorporate a touch of gentleness, radiance and sophistication to the smartphones’ design.

As well as Pink Gold, the S7 and S7 edge are available in a choice of Black Onyx, Gold Platinum, White Pearl and Silver Titanium.

삼성전자, 갤럭시 S7·S7엣지 핑크골드 출시

갤럭시 S7 및 S7엣지 핑크골드(출처: 삼성전자)

강현주 기자 / jjoo@olednet.com

삼성전자가 20일부터 한국 이동통신 3사를 통해 ‘갤럭시 S7 엣지’와 ‘갤럭시 S7’ 핑크골드 모델을 출시한다.

핑크골드 색상의 ‘갤럭시 S7 엣지’와 ‘갤럭시 S7’는 32GB로 출시되며 출고가는 기존과 동일하게 각각 92만 4천원, 83만 6천원이다.

삼성전자는 여성 소비자의 감성에 맞춰 혁신의 아이콘인 ‘갤럭시 S7’에  핑크골드를 추가했으며 이번 핑크 골드 제품 출시를 기념하여 다채로운 마케팅 행사를 마련했다.
삼성전자는 21일까지 롯데월드몰 아트리움에서 뷰티 이커머스 기업인 미미박스(MEMEBOX)와 함께  갤럭시 S7의 방수 기능에서 착안한 워터프루프 메이크업, 핑크골드 색상에서 영감을 얻은 핑크핑크 메이크업 등 다양한 메이크업 클래스를 펼친다.

메이크업 클래스에 초청된 고객 전원에게 미미박스의 핑크 제품으로 구성된 ‘♥7 핑크 럭키 박스’ 가 제공되며, 이 중 일부 박스에 ‘갤럭시 S7’ 핑크골드ㆍ‘기어 S2 클래식’ 로즈골드가 깜짝 선물로 담길 예정이다.
미미박스 홈페이지에서도 ‘♥7 핑크 럭키 박스’ 퀴즈 이벤트를 진행하고, 참여자 대상으로 다양한 럭키 박스를 증정한다.
또한 삼성전자는 23일부터 5월 8일까지 신사동 가로수길 S7 팝업 갤러리에서 ‘♥7 Day & Night with S7’ 사진전을 개최해 20대 여성 소비자들이 ‘갤럭시 S7’ 핑크골드로 전국의 풍경을 담은 사진을 전시할 예정이다.
이번 신제품 출시에 맞춰 라인프렌즈와 협업한 배터리팩과 자폐인의 재능을 발굴하여 사회ㆍ경제적 독립을 지원하는 사회적 기업 오티스타와 협업한 7종류의 케이스도 선보인다.
삼성 디지털프라자 홍대점에서는 갤럭시S7 핑크골드 출시기념으로 홍대 길거리 연주팀을 초청하여 다채로운 공연을 진행하고 사은품을 지급하는 룰렛게임도 진행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봄을 맞아 새롭게 선보이는 ’갤럭시 S7’ 핑크골드 모델은 우아하고 깊이 있는 색상으로 여심을 자극할 것”이라며 “다채로운 이벤트를 통해 이번의 출시한 ‘갤럭시 S7’ 핑크골드를 더욱 많은 고객들이 경험하게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갤럭시 S7’ 핑크골드와 이벤트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www.samsung.com/sec/galaxys7에서 확인할 수 있다.

“CSOT Invests 7,740 Million USD in Gen11 LCD Line Construction”

 

TCL Corporation Which Includes CSOT(Source=TCL)

TCL Corporation Which Includes CSOT(Source=TCL)

 

Hyunjoo Kang / Reporter / jjoo@olednet.com

Chinese media reported that CSOT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is planning to invest $ 7,740 million in constructing Gen11 TFT-LCD panel mass production line.

According to the Chinese media, this company is planning to establish the Gen11 LCD mass production line in factory located in Shenzhen, south of China. The line is for 45 inch and 66 inch large area panel for TV. This mass production that CSOT is newly building is known to produce 3000mm x 3000mm or larger using glass substrate, and cut in 18 different sizes with the highest cutting efficiency of 97%.

Of Chinese panel production companies, CSOT has the second highest market share after BOE. At present, CSOT is operating Gen8.5 mass production line for large area panel and Gen6 LTPS line for small to medium-sized panel in Wuhan area in China. It also intends to establish another small to medium sized OLED panel mass production line for smartphone and tablet in Wuhan this year.

Higher the Generation of the line, it is more advantageous for large area panel production. If BOE completes Gen10.5 line construction, and CSOT Gen11 line, this means China is equipped with superior price competitiveness within large area LCD panel sector such as 60 inch panel for TV. Accordingly, the trend of LCD panel market leadership transference from Korea to China looks to be accelerated.

In fact, Korean key display companies, including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only possess, at maximum Gen8 mass production line manufacturing equipment. Many display experts estimate that due to the supply of LCD pouring out from China, Korean display companies will record deficit in Q1 2016.

UDC, 2015년 OLED 발광재료 매출 11% 하락한 $1억1300만…그래도 1등

출처: UDC

강현주 기자 / jjoo@olednet.com

글로벌 OLED 발광재료 시장 패권을 쥐고 있는 UDC(Universial Display)가 지난 2015년 OLED 발광재료 매출이 전년대비 약 11% 하락했지만 시장 1위는 지켰다.

유비산업리서치의 ‘2016 OLED Emitting Material Report’에 따르면 UDC는 2015년 OLED 발광재료 부문에서 약 1억1300만달러(한화 약 1285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UDC는 2014년에 1억2700만달러(한화 약 1442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세계 1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2015년에도 패권을 사수했다.

UDC는 특히 Dopant 재료 부문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2015년 Dopant 재료 시장은 UDC가 82%를 점했으며 그 외 업체들이 나머지 18%를 나눠가지고 있다. UDC는 인광 특허를 기반으로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에 인광 Red와 Green Dopant를 공급하고 있다.

2015년 글로벌 OLED 발광재료 시장에서 매출액 기준 업체별 순위는 UDC에 이어 Idemitsu Kosan이 2위를 차지했으며 뒤 이어 Novaled, Dow Chem., Samsung SDI 순이다.

Dow Chem.은 지난 2013년에는 OLED 발광 재료 시장 매출 1위였으나 2014년 이후부터 UDC에 주도권을 계속 뺏기고 있는 상황이다.

2016년의 경우 LG디스플레이의 OLED TV 양산라인 가동률, 하반기 양산될 갤럭시 노트 시리즈의 재료구조 등이 OLED 발광재료 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한편 UDC는 오는 5월 5일(현지시간) 2016년 1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CSOT 11세대 LCD 라인 구축에 9조원 투자”

CSOT가 속한 TCL 그룹(출처=TCL)

CSOT가 속한 TCL 그룹(출처=TCL)

강현주 기자 / jjoo@olednet.com

CSOT(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가 11세대 TFT-LCD 패널 양산라인 구축에 77억4천만달러(한화 약 8조9천억원)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중국 언론들이 보도했다.

중국 언론들의 보도에 따르면 CSOT는 중국 남부 선전에 위치한 공장에 11세대 LCD 양산 라인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 라인은 45인치 및 66인치 TV용 대형패널 생산용이다.

CSOT가 신규 규축하게 될 이 양산라인은 유리 기판(glass substrate)을 이용해 3000mm x 3000mm 이상의 패널을 생산하고 18개의 다른 크기로 절단되며 최대 면취율(cutting efficiency)은 97%인 것으로 알려졌다.

CSOT는 중국 패널 생산업체들 중 시장점유율이 BOE에 이어 2위다. CSOT는 현재 대형 패널 생산을 위한 8.5세대 양산라인과 중소형 패널용 6세대 LTPS 라인을 중국 우한 지역에 운영하고 있다.

CSOT는 이 외에도 올해 우한에 스마트폰 및 태블릿을 위한 중소형 OLED 패널용 또 다른 양산라인을 구축할 계획이다.

최근 BOE도 중국 허페이에 10.5세대 LCD 생산라인 구축에 약 7조원 규모의 투자를 시작했다고 국내외 언론들이 보도했다.

세대가 클수록 대형 패널 제작에 유리하다. BOE가 10.5세대 라인 구축을, CSOT가 11세대 라인 구축을 완료하게 되면  TV용 60인치 패널 등 대형 LCD 패널 부문에서 월등한 가격경쟁력을 갖추게 된다는 얘기다.

이에 대형 LCD 패널 시장의 패권이 한국에서 중국으로 넘어가는 추세가 가속화 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등 한국의 주요 디스플레이 업체들은 현재 최대 8세대 양산라인 장비까지만 보유한 상황이다. 한국 디스플레이 업체들은 중국으로부터 쏟아지는 LCD 물량공세에 2016년 1분기 적자를 기록할 것이란 예상이 우세한 상황이다.

 

Samsung Display OLED Equipped iPhone 7S in 2017? Is it Possible?

Samsung Display is Expected to Supply OLED for iPhone(Source: Apple)

Hyunjoo Kang / Reporter / jjoo@olednet.com

On 14 April, one Korean media reported that Samsung Display agreed to supply OLED for Apple’s iPhone, and the forecast that Samsung Display OLED will be used for iPhone 7S (TBA) to be released in 2017 is gaining traction.

According to the Maeil Kyoungjae article published on 14, Samsung Display and Apple signed agreement of OLED supply of 3 trillion KRW worth of 5.5 inch panel a year, with 3 years of supplier right. Subsequently, it is known that Samsung will carry out new investment of total 10 trillion KRW for Gen6 flexible OLED exclusive line A3 factory, and supply 100 million units of OLED panel a year for 3 years from Q2 2017. The majority of the industry estimates that Apple will begin application of this panel from the model to be released in H2 2017.

No official confirmation is Samsung Display’s position. However, it has been widely known within the industry that Samsung Display has agreed to supply OLED for Apple from next year. OLEDNET analyzed whether Samsung Display’s OLED application to the new 2017 iPhone is possible.

UBI Research’s analysis of key Korean OLED manufacturing companies’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public announcements shows that the volume Samsung Display ordered for A3 line expansion is judged to be 30K. Samsung Display’s current A3 line is 15K volume. When the newly ordered 30K volume is established, the total volume becomes 45K.

1K equals 1,000 units of glass substrate per month. If 1 substrate can produce approximately 300 units of panel, 45K A3 line can mass produce 162 million units of OLED panel per year. Global iPhone sales volume is about 200 million units per year. For Samsung Display to supply about half of this volume, approximately 100 million units a year, the 45K line is enough.

The problem is that Samsung Display does not supply OLED to Apple only. UBI Research analyzes that when OLED panels of Galaxy series for Samsung Electronics, Samsung Display’s biggest client, is considered, 45K volume is not enough; at a minimum 60K is required to satisfy the demand of both Samsung Electronics and Apple.

UBI Research’s Choong Hoon Yi forecast that if Samsung Display carries out additional orders regarding A3 line expansion within this year and is equipped with over 60K volume, the company will be able to handle half of iPhone’s annual OLED supply at a minimum. He explained that the 45K could be insufficient to supply OLED for both Galaxy and iPhone series. Yi added that Samsung Display can at least supply a small volume of OLED to Apple, and have them be applied to the early batch of iPhone 7S (TBA) in H2 2017.

삼성디스플레이 OLED 탑재 ‘아이폰 7S’ 2017년 출시? 가능할까?

OLED 탑재 아이폰에 삼성디스플레이가 패널을 공급할 전망이다.(출처=애플)

강현주 기자 / jjoo@olednet.com

14일 한국의 한 언론이 삼성디스플레이와 애플이 OLED를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보도하면서 2017년 출시될 아이폰 7S(가칭)에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가 탑재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해지고 있다.

매일경제의 14일 보도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와 애플이 5.5인치 패널 기준 연간 3조원 규모의 OLED 공급 계약을 체결했으며 삼성이 3년간 공급권을 갖기로 했다.

이에 따라 삼성은 6세대 플렉서블 OLED 전용라인인 A3 공장에 총 10조원 이상의 신규투자를 진행하고 2017 2분기부터 향후 3년간 애플에 연 1억개의 OLED 패널을 공급할 것이라고 알려졌다. 애플은 이 패널을 2017년 하반기 출시될 아이폰 7S부터 적용할 것이라는 게 업계 중론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에 대해 공식적으로 확인된 바 없다는 입장이지만 업계에는 삼성디스플레이와 애플이 내년부터 OLED를 공급하기로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널리 알려졌다.

알려진 것처럼 2017년 아이폰 신제품부터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 적용이 가능할 것인지 분석해봤다.

유비산업리서치가 주요 OLED 장비 업체들의 금융감독원 공시를 분석해 본 결과 삼성디스플레이가 A3 라인확장을 위해 발주한 규모는 30K인 것으로 판단된다. 삼성디스플레이의 현재 A3 라인은 15K 규모다. 새로 발주한 30K 규모의 신규 구축이 완료되면 총 45K가 된다는 얘기다.

1K는 월간 유리기판 1천개가 나온다는 뜻이다. 기판 1개당 300개 가량의 패널이 나온다고 계산하면 45KA3 라인에서는 연간 16200만개의 패널이 양산된다.

전세계 아이폰 판매량은 연간 2억대 수준이다. 삼성디스플레이가 이 물량의 절반가량인 연 1억개의 패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45K 규모의 라인으로 충분하다.

문제는 삼성디스플레이가 아이폰 7S에만 OLED를 공급하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삼성디스플레이의 최대 고객사인 삼성전자의 갤럭시 시리즈용 OLED 패널까지 감안하면 45K 규모로는 부족하며 최소 60K 정도는 돼야 삼성전자와 애플의 물량을 모두 감당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유비산업리서치의 분석이다.

유비산업리서치 이충훈 대표는 삼성디스플레이가 올해 안에 A3라인 확장 관련 추가 발주를 해서 60K 이상의 규모를 갖추게 된다면 아이폰용 OLED 연간 물량의 최소 절반은 감당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충훈 대표는 “45K 규모라면 갤럭시와 아이폰용 OLED를 전부 공급하기엔 부족할 수 있다하지만 삼성디스플레이가 일단 소량만이라도 애플에 OLED를 공급함으로써 2017년 하반기에 아이폰7S(가칭) 초기물량에 적용되게 할 수는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Foxconn’s Large Size Panel Yield, Equal to Samsung·LG within 2016

Foxconn is expected to occupy approximately 22% of 2016 Q4 global large size panel yield(Source : Foxconn)

Hyunjoo Kang / Reporter / jjoo@olednet.com

Foxconn is expected to occupy approximately 22% of 2016 Q4 global large size panel yield, similar to the levels of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Foxconn, recently confirmed to buy 66% of Sharp’s stake for $ 3.5 billion, is estimated to actively invest in improving Sharp’s panel competitiveness against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DigiTimes recently reported their research indicates Sharp’s large size panel yield will occupy 5.3% of global market in Q4 2016. This places the company on the 7th place after Samsung Display, LG Display, Innolux, AUO, BOE, and CSOT.

However, Sharp and Innolux are under Hon Hai Precision (Foxconn Technology). If the Q4 2016 large size panel yield of Sharp and Innolux are combined, the global occupancy is added to 21.9%. This is approximately the same level as Samsung Display (23.7%) and LG Display (22.7%).

Foxconn is analyzed to be investing in Sharp mainly with focus on OLED. According to a recent DigiTimes article, Foxconn is planning to invest approximately US$ 1.8 billion in OLED development.

DigiTimes estimates that Foxconn will actively begin mass production of OLED for smartphone from 2018, and expand the production to large and medium-sized OLED panel for TV, notebook, etc. Foxconn is forecast to begin shipment of OLED for TV from 2021, and annually ship 7,200,000 units of OLED panel for TV in 2025.

Samsung, announced the availability and pricing for New SUHD TVs

Samsung Electronics America, announced the availability and pricing for its 2016 line up, including SUHD TVs.(Source=Samsung Elec.)

Samsung Electronics America, announced the availability and pricing for its 2016 line up, including SUHD TVs.(Source=Samsung Elec.)

Samsung Electronics America, the leader in home entertainment for over 10 years, announced the availability and pricing for its 2016 line up, including an entirely new Flagship model series – the KS9800, bringing a new meaning to Smart TV.

“Samsung has always been about the ultimate experience in Picture Quality. This year is no different. Our new SUHD models provide the brightest, most realistic color and clarity for every viewing environment,” said Dave Das, Senior Vice President, Samsung Electronics America. “What is new this year is our redefined Smart TV experience. We listened to our customers and made enjoying content the easiest it’s ever been”

Whether it’s SUHD, UHD or LED, Samsung delivers the brightest, most stunning picture quality, with richer colors and more dynamic audio than ever before.

Samsung’s SUHD TVs feature the world’s only cadmium-free 10 bit Quantum Dot Display, setting the quality standard of 1,000-nit HDR with the best and most vibrant color and contrast available for true-to-life picture and experience. The Ultra Black feature reduces reflections by absorbing light to help provide for deeper, richer blacks. This year’s Samsung SUHD line up meets the UHD-A’s Premium UHD certification program, which ensures consumers are getting the most premium experience from their UHD TV.

From curved and slim to the new boundless design edge, Samsung offers stunning design with optimum viewing. The new KS9500 features an immersive ‘360’ design that is elegant and looks beautiful from every angle.

Samsung’s 2016 Smart Hub Interface takes simplicity to the next level.  The new Smart Hub Interface eliminates a lengthy setup process by automatically integrating set top boxes from cable providers like Time Warner, Comcast (coming soon), and satellite services such as DIRECTV (coming in June), as well as game consoles. Users can simply plug the STB into any HDMI port, and the TV will recognize the box and provider, as well as automatically set up the remote control to access and control the STB features – not just channel up and down, but DVR controls and other commonly used controls – without the user ever having to program or “teach” the remote. It’s the ultimate in simplicity.

The UBD-K8500 supports backward compatibility, upscaling existing 3D Blu Ray, Blu Ray to near-UHD quality. The player can also handle the next generation of home audio formats, including immersive, object-based sound formats like Dolby Atmos and multi-channel systems.

For 2016, Samsung offers breathtaking design and unparalleled excellence with its new line of TVs, including a series of five Curved SUHD TVs and a series of five UHD TVs that vary in display size from 49” to 88”. Ranging from the popular curved form to the traditional flat-panel, Samsung provides consumers with sleek appeal, the most exceptional picture quality and smartest TVs.

The Samsung KS9800 SUHD TV will be available in early June in a 65” model for $4,499, and an 88” model for $19,999. A 78” model will be available in early May for $9,999.

The Samsung KS9500 Curved SUHD TV is available now in a 55” model for $2,499 and a 65” model for $3,699. A 78” model will be available in early June for $7,999.

Samsung’s KS9000 4K SUHD TV is available now in a 55” model for $2,299, and a 65” model for $3,499. A 75” model will be available in early June for $6,499.

Samsung’s KS8500 4K SUHD Curved TV is now available now in a 55” model for $1,999 and 65” model for $2,999. A 49” model will be available in May for $1,699.

The Samsung KS8000 is now available in a 55” model for $1, 799, and in a 65” model for $2,799. Starting in May, it will be available in a 49” model for $1,499, and a 60” model for $2,299.

삼성, 뉴욕 마케팅 센터에 2세대 퀀텀닷 SUHD TV 등 출시

삼성전자가 뉴욕 마케팅 센터에 2세대 퀀텀닷TV 등을 출시했다.(출처=삼성전자)

삼성전자가 뉴욕 마케팅 센터에 2세대 퀀텀닷 SUHD TV 등을 출시했다.(출처=삼성전자)

강현주 기자 / jjoo@olednet.com

삼성전자가 미국 뉴욕에 위치한 ‘삼성 뉴욕 마케팅센터’에 2세대 퀀텀닷 SUHD TV를 비롯한 홈엔터테인먼트 제품을 대거 출시, 북미 시장 공략에 나섰다고 14일 발표했다.

삼성전자는 올해 신제품 SUHD TV 전 라인업 뿐 아니라 UHD 블루레이 플레이어, 돌비 ‘애트모스’ 기술을 탑재한 사운드 바 등 홈 엔터테인먼트 신제품들을 출시했다.

삼성전자는 행사장을 거실, 침실, 서재 등 집안 곳곳의 생활 공간으로 꾸며 SUHD TV의 화질, 쉬워진 삼성 스마트TV 사용자경험(UX)을 마치 집에서 사용하는 것처럼 체험해 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올해 SUHD TV 신제품은 지난해보다 진화된 2세대 퀀텀닷 기술로 색상 표현이 25% 더 정확해져 자연색 그대로 표현하고, 전 제품에 1000니트(nit) 밝기의 HDR(High Dynamic Range)이 적용됐다.

TV 리모컨 하나로 TV와 TV에 연결된 케이블TV, IPTV, 인터넷 기반 동영상 서비스 등의 셋톱박스, 홈시어터,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 콘솔 등 다양한 주변 기기들을 간편하게 제어하는 사용자경험(UX)이 참석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는 게 삼성전자의 설명이다.

터널 모양의 벽과 천정에서는 삼성전자가 세계 TV 시장 1위에 오르기까지 거쳐온 노력의 역사를 보여주는 영상으로 채웠다.

삼성전자는 2세대 퀀텀닷 디스플레이 SUHD TV를 북미시장에 성공적으로 출시해 11년 연속 세계 TV 시장 1위 수성의 초석을 다진다는 계획이다.

시장조사기관 NPD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북미 평판 TV시장에서 금액 기준 37%의 점유율로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또한 지난해 북미 UHD TV시장에서는 52.7%의 압도적인 시장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다.

삼성전자 미국법인 데이브 다스 상무는 “퀀텀닷 디스플레이가 선사하는 최고의 화질로 소비자들에게 TV의 새로운 가치를 제시하고 미국 TV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며, “미국 소비자들에게 계속해서 사랑 받는 프리미엄 TV 브랜드가 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폭스콘 대형 패널 생산량, 올해 삼성·LG와 맞먹는다”

출처=Foxconn

강현주 기자 / jjoo@olednet.com

폭스콘(Foxconn)이 오는 2016년 4분기 전세계 대형 패널 생산량의 약 22%를 차지,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와 거의 비슷한 수준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최근 샤프 지분의 66%를 약 4조원에 인수하기로 한 폭스콘은 앞으로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에 맞서 샤프의 패널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데 적극적으로 투자할 것으로 예상된다.

디지타임즈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폭스콘은 앞으로 약 2조원을 OLED 개발에, 약 6천300억원을 TFD-LCD 개발에 투자할 계획이다.

이 매체는 자사 리서치 자료를 인용해 샤프의 대형 패널 생산량은 2016년 4분기 전세계 5.3%의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이노룩스, AUO, BOE, CSOT에 이어 7위다.

하지만 샤프와 이노룩스는 폭스콘그룹 하에 있다. 샤프와 이노룩스의 2016년 4분기 대형 패널 생산량을 합치면 전세계 21.9%의 점유율이 된다. 이는 삼성디스플레이(23.7%)와 LG디스플레이(22.7%)의 수치에 맞먹는 수준이다.

한편 Foxconn은 앞으로 주로 OLED에 초점을 두고 샤프에 투자할 것으로 보인다. 디지타임즈에 따르면 폭스콘은 오는 2018년부터 스마트폰용 OLED 양산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고 이후 TV, 노트북 등 대형 및 중형 OLED 패널 생산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폭스콘은 오는 2021년부터 TV용 OLED 출하를 시작하고 2025년에는 연간 720만장의 TV용 OLED 패널을 출하할 것으로 전망된다.

 

 

 

 

 

 

A Window that Turns into a Billboard…Samsung Display’s CTO “AMOLED, to Open New Era?”

 Hyunjoo Kang / Reporter / jjoo@olednet.com

SDC’s CTO Sungchul Kim During Keynote Speech at FineTech Japan 2016

 

Samsung Display’s CTO, Sungchul Kim, displayed infinite potential of AMOLED’s new market creation ability, and emphasized that panel, manufacturing equipment, materials, and communication sectors need to grow together. He also suggested new life through AMOLED and technologies required for this.

On April 6, during the Technical Conference of FineTech Japan (April 6-8), Kim gave a keynote speech on the new market creating AMOLED’s next generation application and key technology.

As the market that AMOLED will newly open, Kim suggested mobile device, TV, VR and AR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automotive, PID (public information display), etc. According to Kim, these applications will be actualized through various forms of AMOLED such as foldable, rollable, stretchable, mirror, and transparent.

Explaining the utilization of mirror and transparent AMOLED, Kim emphasized that what is normally a wall or window can be turned into a PID that shows required information when needed. Kim explained that AMOLED is suitable for VR or AR that allows the user to realistically experience a particular environment or situation by combining the imaginary and reality. He added that when foldable and rollable displays are applied to mobile device, IT device, TV, etc., large screens can be produced while the device is small, and space utilization and mobility can be increased. Regarding automotive AMOLED, Kim explained that it will provide required information without disrupting driving, as well as improving the design of the vehicle.

Additionally, Kim suggested key technology required for actualization of each application. In the case of a window display, a technology that can simultaneously produce flexibility and hardness is required, and for automotive AMOLED, the technology for blue materials of phosphorescent materials needs to be improved. For transparent display that actualizes PID, transparency of each layer, substrate heat resistance, etc. have to be achieved.

Kim explained that in future, new life which is smart and connected through AMOLED will open. He further emphasized that for this to happen panel, manufacturing equipment, materials, and communication sectors need to grow together.

FineTech Japan 2016 (April 6-8) is a display technology related exhibition held in Tokyo Big Sight. The 26th annual event is participated by approximately 260 companies including Samsung Display, BOE, and Japan Display.

평소엔 창문, 때론 광고판…삼성디스플레이 김성철 부사장 “AMOLED, 새 시대 열려면?”

강현주 기자 / jjoo@olednet.com

’26회 Fintech Japan’ 컨퍼런스에서 기조연설 중인 SDC 김성철 부사장(도쿄=OLEDNET)

삼성디스플레이(SDC)의 최고기술책임자인 김성철 부사장이 AMOLED의 새 시장 창조에 대한 무한한 가능성을 과시하며 “패널, 장비, 재료, 통신 분야의 동반성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AMOLED가 가져다 줄 신세계의 모습과 이를 위해 필요한 기술들이 무엇인지 제시했다.

SDC의 김성철 부사장은  4월 6일 오전, 도쿄 ‘파인테크 재팬 2016’의 테크니컬 컨퍼런스에서 ‘새 시장을 창조하는 AMOLED의 차세대 애플리케이션과 핵심기술’이라는 제목으로 기조연설을 했다.

김 부사장은 AMOLED가 새롭게 열게 될 시장으로 모바일, TV, 가상현실(VR) 및 증강현실(AR), 자동차, PID(Public Information Display) 등의 분야를 제시했다. Foldable, Rollable, Stretchable 및 미러, 투명 AMOLED 등을 통해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이 구현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김 부사장은 미러, 투명 AMOLED의 활용성을 설명하며 “평소에는 그냥 벽이나 창문으로서 제 기능을 하던 것들이 필요 시 원하는 정보를 제공해주는 PID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AMOLED는 현실이미지에 가상이미지를 결합, 특정 환경이나 상황을 실제환경처럼 느끼게 해주는 VR 또는 AR 적합하다”며 “모바일, IT 기기, TV 등에 Foldable, Rollable 디스플레이를 적용하면 기기는 작게, 화면은 크게 구현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과 이동성을 높여줄 것”이라고 했다.

차량용 AMOLED에 대해서는 “운전에 방해되지 않으면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줄 뿐 아니라 자동차의 디자인도 아름답게 만들어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성철 SDC 부사장은 각 애플리케이션 구현을 위한 핵심기술도 제시했다. 윈도우 디스플레이의 경우 유연성과 경도(flexibility & hardness)를 동시에 구현하는 기술이 필요하며 자동차용 AMOLED는 인광재료 중 Blue 재료의 기술 보완이 필요하다. PID를 구현하는 투명디스플레이의 경우 각 층별 투명도, 기판의 내열성 등을 확보해야 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김성철 SDC 부사장은 “AMOLED를 통해 스마트하고 연결된(connected) 미래의 새로운 삶을 열게 될 것”이라며 “이를 위해서는 패널, 장비, 재료, 통신 부문의 동반성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파인테크 재팬 2016’은 4월 6일부터 8일까지 도쿄 빅사이트에서 진행된 디스플레이 기술 관련 전시회다. 올해로 26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에서는 SDC, LGD, BOE, JDI, JOLED 등 약 260여 업체가 참여한다.

Foxconn to Actively Mass Produce phone OLED in 2018…7.2mn for TV in 2025

Hyunjoo Kang /Reporter / jjoo@olednet.com

Foxconn Headquarters, Source: Foxconn

With the forecast of gradually bolstered investment in OLED by Foxconn that recently bought Sharp for $ 3.5 bill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is company could actively mass produce OLED panel for smartphone from 2018.

DigiTimes recently reported their research indicates that Foxconn will actively mass produce OLED panels for smartphone from 2018 and increase the OLED panel mass production in stages.

According to DigiTimes, Foxconn is planning to first mass produce small size OLED panel for smartphone and then begin medium size OLED for tablet, notebook, and TV. In 2021, It is expected to release 3 million units of OLED panel for tablet and notebook, and increase it to 10.4 million units in 2025. Hence, Foxconn is expected to occupy a quite significant amount of market share in future OLED panel market.

IT is estimated to begin releasing OLED panel for TV in 2021. It’s OLED shipment for TV in 2021 is expected to be 252,000 units, but it is estimated to gradually increase to record 7.2 million units per year in 2025.

 

◆ “IGZO Technology to be Applied to OLED”

 

In a recent press conference regarding the Sharp takeover, Hon Hai’s Chairman Terry Gou said that IGZO, which is LCD (liquid crystal display) technology of Japan’s Sharp, is better than OLED, Korea’s newest display technology. He further revealed that future Sharp display will utilize IGZO technology for approximately 60% of the panel and OLED for 40%.

IGZO (indium gallium zinc oxide) display is Sharp’s LCD. IGZO is known to have superior picture quality in comparison to the general LCD, with less power consumption. It is used in the majority of smartphone and tablet PC such as iPad.

As Foxconn’s Sharp is IGZO technology’s leading company, DigiTimes estimates that IT will apply the IGZO backplane technology on OLED panel.

UBI Research, an OLED specializing market research company, explained that as Sharp’s small size LCD process is LTPS based, and can be transformed to OLED line, it will be easier for Foxconn to achieve OLED mass production ability through Sharp. He added that this added Foxconn to the lineup of Samsung Display, LG Display, and Japan Display as the likely supplier for iPhone OLED panel for Apple. Furthermore, he analyzed that although Foxconn and Japan Display are both latecomers in OLED sector, Foxconn is in a more favorable position due to its solid relationship with Apple.

“폭스콘, 2018년 스마트폰 OLED 출격…2025년 TV용 720만장”

강현주기자 / jjoo@olednet.com

폭스콘 본사(출처=폭스콘)

최근 샤프를 4조원에 인수하기로 한 홍하이 그룹의 폭스콘이 점차 OLED 투자를 강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 회사가 오는 2018년부터 스마트폰용 OLED 패널을 본격적으로 양산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디지타임스는 최근 자사 리서치 자료를 인용해 “폭스콘은 오는 2018년 스마트폰용 OLED 패널을 본격적으로 양산할 것이며 단계적으로 OLED 패널 양산을 늘려갈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 매체에 따르면 폭스콘은 스마트폰용 소형 OLED 패널을 가장 먼저 양산하다가 향후에는 태블릿, 노트북, TV 등을 위한 중형 사이즈의 OLED 출하를 시작할 예정이다. 오는 2021년 폭스콘은 태블릿, 노트북용 OLED 패널을 연간 300만장 출하하고 2025년에는 1040만장으로 늘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폭스콘은 향후 OLED 패널 시장에서 상당한 점유율을 차지하게 될 전망이다.

폭스콘이 TV용 OLED를 출하하기 시작하는 시기는 오는 2021년으로 전망된다. 2021년 폭스콘의 TV용 OLED 출하량은 25만2천장이지만 점차 늘어나 2025년에는 연간 720만장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그조 기술 OLED에 적용할 것”

최근 홍하이 그룹의 궈타이밍 회장은 샤프 인수 관련 기자회견에서 “일본 샤프의 LCD(액정디스플레이) 기술인 ‘이그조’가 한국의 최신 디스플레이 기술인 OLED보다 낫다”며 “앞으로 샤프 디스플레이의 60%는 이그조, 40% 정도는 OLED 기술을 활용하게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그조는 샤프의 LCD로 인듐, 갈륨, 아연, 산소의 영어 첫 글자를 딴 말이다. 이그조는 일반 LCD에 비해 화질이 좋고 소비 전력은 적다고 평가되며 아이패드 등 다수의 스마트폰·태블릿PC에 사용된다.

폭스콘이 인수한 샤프가 LCD 기술인 ‘이그조(IGZO)’ 선두업체인 만큼, 폭스콘은 이그조 백패널 기술을 OLED 패널에 적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디지타임스는 내다봤다.

한편 OLED 전문 시장조사 업체인 유비산업리서치 관계자는 “샤프의 소형 LCD 공정은 LTPS 기반이라 OLED 라인으로 전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폭스콘이 샤프를 통해 OLED 양산 능력을 갖추기 수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에 따라 향후 애플에 아이폰용 OLED 패널을 공급할 유력한 업체로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재팬디스플레이와 함께 폭스콘도 물망에 오르게 됐다”며 “같은 OLED 후발주자라 해도 폭스콘이 그동안 애플의 핵심 협력사였다는 면에서 재팬디스플레이보다 유리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2015 OLED Emitting Materials Market, Dow Chem and LG Chem in Slump…Why?

Hyunjoo Kang / Reporter /jjoo@olednet.com

 

 

In the midst of UDC`s domination of 2015 global materials market, with Japanese Idemitsu Kosan`s rapid growth and slump of emitting materials companied, there has been changes to the enviroment.

According to [2016 OLED Emitting Materials Annual Report] to be published by UBI Research in mid-April, the 2015 global emitting materials market recorded approximately a 17% growth compared to 2014

 

 

UDC’s revenue decreased from previous year, but remained at the top, the same as 2014. UDC was closely followed by Idemitsu Kosan despite its fourth place in 2014.

Such growth of Idemitsu Kosan is mainly due to its supply expansion in regards to Korean companies such as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In 2015, Idemitsu Kosan began actively supplying Samsung Display with blue materials. Together with the increase in Idemitsu Kosan’s client LG Display’s OLED panel for TV mass production line’s operation rate, Idemitsu Kosan’s supply increased.

 

2015 Global OLED Emitting Materials Market Ranking
Source: UBI Research, 2016 OLED Emitting Materials Annual Report

◆ Samsung Display to Determine Up and Down of Companies

On the other hand, some OLED emitting materials companies that ranked high until 2014 showed poor performance. Dow Chem., that reached the second place in 2014 after UDC in revenue, fell to the fourth place in 2015 due to a big sales decrease. The third and fifth companies in 2014, LG Chem and Duksan Neolux respectively, fell below fifth place in 2015 due to the same reason.

Dow Chem. and Duksan Neolux are analyzed have recorded sales decrease in comparison to 2014 due to the supply chain changes of Samsung Display. In the case of LG Chem, the sales fell as the Samsung Display’s supply volume decreased.

However, Samsung SDI recorded sales increase, and entered within the top 5 in 2015. This company’s performance improved as it supplied Samsung Display with green host.

The company that recorded greatest growth is a Germany company Novaled that Samsung SDI, then Cheil Industries, took over. This company recorded approximately 150% revenue increase compared to previous year, and reached the third place in 2015 following UDC and Idemitsu Kosan. With the increase in OLED panel for TV mass production line’s operation rate, Novaled’s revenue greatly increased.

UBI Research estimated that in 2016, LG Display’s OLED TV mass production line operation rate and Galaxy Note series’ material structure, to be mass produced in the second half, will greatly affect revenue of OLED emitting materials companies.

2015년 발광재료 시장, 이데미츠 코산 등 약진·LG 등 부진

2015년 글로벌 OLED Material 시장. 출처=유비산업리서치 ‘2016 OLED 발광 재료 보고서’

 

강현주 기자 / jjoo@olednet.com

2015년 전세계 발광재료 시장은 UDC가 패권을 사수한 가운데, 일본 업체인 Idemitsu Kosan의 눈부신 성장, 일부 한국 발광재료 업체들의 부진 등으로 지각변동이 있었다.

유비산업리서치(UBI Research)가 이달 중순 발간할 예정인 ‘2016 OLED 발광재료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세계 발광재료 시장 매출액은 전년 대비 약 17%의 성장을 기록했다.

UDC는 다소 매출이 하락했지만 2014년에 이어 1위를 지켰다. 뒤이어 지난해 4위에 그쳤던 Idemitsu Kosan2015년에는 매출 성장을 달성해 2위에 등극, UDC를 바짝 쫓았다.

Idemitsu Kosan의 이 같은 성장은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등 한국 기업들에 대한 공급을 확대한 것이 주요인이다. Idemitsu Kosan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삼성디스플레이에 블루 재료를 공급하기 시작했다. 이와 함께 Idemitsu Kosan의 고객사인 LG디스플레이의 TVOLED 패널 양산라인의 가동률이 증가함에 따라 Idemitsu Kosan의 공급이 늘어났다.

2015년 글로벌 OLED Material 시장 업체별 순위(출처=유비산업리서치 ‘2016 OLED 발광재료 보고서’)

◆삼성디스플레이가 업체들 희비 좌우

반면 2014년까지 높은 순위들을 차지했던 몇몇 업체들은 저조한 기록했다. 2014UDC에 이어 매출액 점유율 2위였던 Dow Chem.은 전년대비 큰 폭의 매출 하락으로 2015년에는 4위에 그쳤다. 20143위였던 LG Chem.5위였던 Duksan Neolux도 역시 전년대비 매출 하락으로 2015년에는 5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Dow Chem. Duksan NeoluxSamsung Display supply chain 변경에 영향을 받아 매출액이 2014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LG Chem.의 경우 Samsung Display의 공급량 감소 때문에 매출이 줄었다.

Samsung SDI5위권 안에 진입했다. 이 업체는 Samsung Display에 그린 호스트를 공급하면서 실적이 개선됐다.

가장 큰 폭의 성장을 기록한 업체는 Samsung SDI에서 제일모직시절 인수한 독일 업체 Novaled. 이 업체는 전년대비 약 150%의 매출 성장을 달성하며 2015UDC, Idemitsu Kosan에 이어 단숨에 3위에 등극했다. TV OLED panel 양산라인의 가동률이 증가하면서 Novaled는 매출액이 큰폭으로 상승했다.

유비산업리서치 관계자는 “2016년에는 LG Display OLED TV 양산라인 가동률과 하반기 양산될 Galaxy Note series의 재료 구조에 따라 발광재료업체들의 매출액에 큰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Foxconn’s Takeover of Sharp, Who is the Biggest Casualty?

 

Hyunjoo Kang / Reporter / jjoo@olednet.com

 

Sharp_Head_Office(Source : Wikipedia)

Sharp_Head_Office(Source : Wikipedia)

Following Foxconn’s takeover of Sharp, which company will end up suffering the most?

On March 30, Taiwan’s Hon Hai’s Foxconn agreed to buy Sharp for about $ 3.5 billion. With this decision, there is much focus on how it will affect the global display market.

 

Korean companies leading the global display market such as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as well as key display companies in Japan, China, and Taiwan are keenly interested in this takeover.

 

Some experts analyze that, out of these companies, the one being most threatened by this takeover will be Japan Display.

 

◆ Japan Display, May Not be Able to Retain OLED Supply for iPhone

 

As it became known that iPhone will replace the LCD panel with OLED for future iPhone, it is expected to create a great business within the OLED market. 3 companies, Samsung Display, LG Display, and Japan Display, have been considered as the most likely supplier for iPhone’s OLED panel.

 

Some media have reported that Samsung Display and Apple have already signed OLED supply agreement, and LG Display and Japan Display are known to be having a heated competition to become the secondary supplier.

 

However, this Foxconn’s takeover of Sharp could break the big 3. Of these, experts estimate that Japan Display is most likely to be pushed out.

 

iPhone’s largest LCD panel supplier is LG Display, with over 50%. Following this, Samsung Display and Japan’s Sharp are the second and third LCD panel supplier for iPhone but the order has not been confirmed.

 

As it became known that Apple will utilize OLED, Japan Display with investment plans for OLED mass production line rose as the possible panel supplier for Apple. Rather than Sharp, Japan Display became a strong candidate for OLED supplier for iPhone along with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However, it all changed when Foxconn bought Sharp. Sharp does not have OLED line for mobile device at the moment, but its small device LCD line is LTPS based that could be transformed to OLED. Foxconn, expected to invest in OLED sector, is likely to turn Sharp’s small device LCD line into OLED line.

 

Furthermore, Foxconn is Apple’s key production collaborator. Worse, even Foxconn’s newly bought Sharp is one of Apple’s panel suppliers. Excluding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with verified OLED technology prowess, Apple could choose Foxconn with closer connections rather than Japan Display as an OLED supplier.

 

One display industry expert explained that Foxconn could push out Japan Display regarding iPhone OLED supplier issue, and even if that does not happen, it will have very narrow standing. He added that although compared to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Foxconn and Japan Display are both latecomers in OLED sector, Foxconn is in a more favorable position due to its solid relationship with Apple.

Foxconn Takes Over Sharp…what will happen to Samsung·LG?

Hyunjoo Kang / Reporter / jjoo@olednet.com

Foxconn Decided to Buy Sharp for Approx. $ 3.5 billion, Source: Foxconn

 

On March 30, 2016, Taiwan’s Hon Hai’s Foxconn agreed to buy Sharp for about $ 3.5 billion. With this decision, there is much focus on how it will affect Korean display and set companies including Samsung and LG.

 

Foxconn, primarily an electronics contractor manufacturer, became responsible for Apple’s iPhone production and continued its growth. The fact that through this takeover Foxconn now possesses display mass production ability can greatly affect Korean companies that are currently leading the display and set market.

 

◆ Competition with Samsung·LG for iPhone Panel Supply Intensifies

 

A possible scenario for future includes Foxconn becoming a strong competitor for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in smartphone OLED sector for Apple’s iPhone.

 

Although Sharp is a company that produces LCD, it is estimated that Foxconn will invest in Sharp to mass produce OLED.

 

Apple is expected to release OLED equipped iPhone from 2017, and it is known that Samsung Display, strong in OLED, have agreed to supply the initial volume. As Apple has been close with LG in supply and demand of display, some believe that LG Display will become the biggest supplier in future.

 

However, if Apple’s key collaborator Foxconn begins to produce OLED, it could become a strong rival for Samsung and LG.

Sharp Headquarters, Source: Wikipedia

Sharp Headquarters, Source: Wikipedia

 

◆ Suggestion of Foxconn’s Own Brand Set Production Prospect

Foxconn, despite being a contract manufacturer, became widely known with great growth. As such, the company could branch out into producing sets under their own brand name. Furthermore, with the display mass production now possible with the Sharp takeover, this scenario is gaining traction. According to market experts, Foxconn is now able to expand its smartphone and TV set business. As Chinese set companies are rapidly growing to threaten Korean companies, the prospect of Foxconn’s set business cannot be ignored.

 

One display expert explained that as a key collaborator of Apple, Foxconn can successfully enter the smartphone panel market. He further analyzed that with Foxconn’s expertise in set production, their own brand set release is not too much to expect, and that this will be easier with the takeover of Sharp.

폭스콘 샤프 인수…삼성·LG에 어떤 영향?

강현주 기자 / jjoo@olednet.com

폭스콘이 4조원에 샤프를 인수하기로 결정했다.(출처=폭스콘)

2016년 3월 30일, 대만 혼하이 그룹의 폭스콘(Foxconn)이 디스플레이 생산업체 샤프를 4조원에 인수하기로결정함에 따라 삼성, LG를 비롯한 국내 디스플레이 및 세트 업체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가 주목된다.

지금까지 폭스콘의 주 사업은 스마트폰 외주 생산이었다. 특히 애플의 아이폰 생산을 맡게 되면서 괄목할만한 성장을 거듭하며 세계의 이목을 끌어왔다.

그런 폭스콘이 샤프인수를 통해 디스플레이 자체 생산 능력을 갖추게 됐다는 것은, 디스플레이 및 세트 시장을 주도하는 한국 기업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어떤 시나리오들이 있을지 분석해 봤다.

◆”삼성·LG와 아이폰 OLED 공급 경쟁 심화”

샤프를 얻은 폭스콘은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애플 아이폰용 OLED 공급을 두고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와 막대한 경쟁자가 될 것이라는 시나리오가 가능하다.

현재 샤프는 LCD 생산업체다. 하지만 폭스콘은 스마트폰용 OLED 생산을 위해 투자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폭스콘은 향후 샤프가 OLED 양산라인을 갖추도록 투자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샤프의 소형 LCD 양산라인은 LTPS 기반이라 OLED 라인으로 전환이 가능하다.

오는 2017년부터 애플이 OLED 탑재 아이폰을 출시할 전망이며 OLED 강자인 삼성디스플레이가 1차 물량 공급 계약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애플의 공급처 다각화 전략에 따라 점차 LG디스플레이 등도 아이폰용 OLED를 공급할 공산이 크다. 지금까지의 여정을 본다면 애플은 디스플레이 수급에 있어서 LG와의 관계가 가장 긴밀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LG디스플레이가 최대 OLED 공급처가 될 것이라는 견해도 나왔었다.

하지만 애플의 핵심 협력사였던 폭스콘이 샤프를 통해 OLED를 생산하게 된다면 이는 향후 아이폰 디스플레이 공급자 자리를 두고 삼성, LG에게 강력한 라이벌이 생길 수 있다는 얘기다.

일본 샤프 본사(출처=위키피디아)

일본 샤프 본사(출처=위키피디아)

◆폭스콘의 자체 브랜드 세트 생산 가능성 제기

폭스콘은 지금까지 주로 외주 생산 업체로 인식됐지만, 성장을 거듭해 규모가 커지고 전세계에 ‘폭스콘’이라는 이름을 널리 알리는 데 성공했다. 이 때문에 남의 제품 생산을 넘어 자체 브랜드 세트 출시를 꿈꿀 수 있다는 견해도 나온다.

심지어 이제 샤프를 통해 디스플레이 양산이 가능해짐에 따라 이 같은 시나리오가 더 힘을 받는다. 증권가 등 시장 전문가들에 따르면 샤프 인수로 인해 폭스콘은 LCD 패널의 수직계열화 구축으로 스마트폰 및 TV 세트사업 확대가 가능하다.

세계 시장에서 높아진 ‘폭스콘’이라는 브랜드를 내세워 세트 업체로 거듭날 수 있다는 얘기다. 가뜩이나 중화권 세트 업체들이 세계 시장에서 삼성, LG 등 한국 기업들에게 위협이 될 정도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폭스콘의 세트 사업 가능성은 무시할 일이 아니다.

디스플레이 업계 한 전문가는 “폭스콘은 애플의 핵심 협력사였다는 강점을 무기로 스마트폰용 패널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할 가능성이 크다”며 “세트 생산에 있어서도 오랜 노하우와 기술력을 갖췄기 때문에 자체 세트 출시는 무리가 아니며 샤프로 인해 디스플레이 양산까지 가능해진다면 더욱 수월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Blossoming April… Hurt by LCD, Heal with OLED

Hyunjoo Kang / Reporter / jjoo@olednet.com

Flexible OLED from LGD(CES 2016)

From April, the display industry is estimated to start mending the damage carried out by LCD with OLED.

 

In Q1 2016, Korean display industry suffered due to oversupply of Chinese LCD panels. Market experts believe that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will announce large Q1 deficit in April due to LCD.

 

However, the display market is expected to actively improve its performance from April.

 

Dong-won Kim, analyst with Hyundai Securities, estimated that great increase in profit is expected from Q2 2016 due to the increase in OLED operation rate and yield improvement. Also because of profitability improvement effect following LCD panel’s price rebound, the deficit will decrease.

 

LG Display’s performance in OLED sector is expected to noticeably improve. Over 90% of LG Display’s total mass production line is LCD at present. Hence, the fall of LCD price in Q1 is expected to have hit hard and OLED business is also showing deficit.

OLED TV from LG(CES 2016)

◆ After Harsh Q1, Warm Breeze of OLED… Spring for Equipment Industry Too

 

However, this will change from Q2. Analyst Hyeoncheol So of Shinhan Investment forecast that LG Display’s OLED TV sales volume and revenue in Q2 2016 will increase by 144% and 106% respectively. He added that the business deficit of OLED TV sector will greatly decrease.

 

LG Display is anticipating that the deficit will turn to profit in H2 2017, with the business profit of up to 1 trillion KRW in 2017, an increase of 115%.

 

Samsung Display, whose LCD and OLED ratio is 50:50, is expected to show 900,000 million KRW in deficit in LCD sector this first quarter. However, this is estimated to be compensated to some degree by the profit in OLED.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are actively carrying out investment in OLED panel mass production line in Q1. As well as the investment in turning the existing LCD line to OLED, investment in new OLED line establishment is actively being carried out.

 

As such, with the optimistic outlook on OLED within the display market, flexible OLED manufacturing equipment companies such as Tera Semicon, Viatron Technologies, and Dong A Eltek had been discussed as the favorites of securities companies. In fact, Samsung Display’s flexible OLED manufacturing equipment related key collaborator AP Systems showed remarkable growth recording 12,100 million KRW in business profit last year.

 

UBI Research forecast that Korean companies will strengthen their dominance with their 2016 AMOLED shipment’s 95% occupancy of the global market. As OLED is becoming stronger in the TV, smartphone, and VR market, this will become a huge growth engine for global panel companies such as Samsung and LG.

 

꽃피는 4월…LCD가 남긴 상처, OLED로 치유

강현주 기자 / jjoo@olednet.com

OLEDNET이 다녀온 CES 2016에 전시된 LGD의 플렉서블 OLED

오는 4월부터 디스플레이 업계는 LCD가 후비고 간 상처를 OLED를 통해 회복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2016년 1분기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는 중국발 LCD 공급과잉 후폭풍에 시달렸다. 실제로 오는 4월 실적을 발표할 예정인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는 올 1분기 LCD로 인해 큰폭의 적자를 기록할 것이라고 시장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하지만 디스플레이 시장은 4월부터 본격적으로 실적개선을 누릴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증권 김동원 연구원은 “2016년 2분기부터 OLED 가동률 상승 및 수율 개선 등으로 큰 폭의 이익증가가 예상되며 LCD 패널의 가격반등에 따른 수익성 개선 효과로 적자도 축소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3월 현재 OLED를 장착한 갤럭시 S7 판매가 기대치를 웃돌고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의 OLED 패널 주문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따라 삼성디스플레이의 평면 OLED 양산라인인 A2 라인, 플렉서블 OLED 라인인 A3라인이 풀가동 중이다.

특히 LG디스플레이의 OLED 부문 실적이 눈에 띄게 개선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LG디스플레이는 현재 전체 양산라인 중 LCD의 비중이 90% 이상이다. 이에 따라 올 1분기에 LCD 가격 폭락으로 인한 타격이 심할 것으로 보이는 데다가 OLED 사업에서도 적자를 내고 있다. 하지만 2분기부터는 달라진다.

OLEDNET이 다녀온 CES 2016에 전시된 LG의 OLED TV

◆혹독한 1분기 지나 OLED 훈풍…장비 업계도 ‘봄날’

신한금융투자의 소현철 연구원은 “2016년 2분기 LG디스플레이 OLED TV 판매량과 매출액은 수율과 생산능력의 증가로 지난해보다 각각 144%, 106% 늘어날 것”이라며 “올해 OLED TV 부문의 영업적자도 큰 폭으로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LG디스플레이는 2017년 하반기에는 흑자 전환이 기대되는 상황이며 2017년 영업이익은 115% 증가한 1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LCD와 OLED 비중이 각각 50%씩인 삼성디스플레이는 올 1분기 LCD 부문에서 9천억원의 적자가 전망된다. 하지만 OLED 부문에서 흑자를 거둬 다소 완충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는 올해 1분기 OLED 패널 양산라인 투자에 본격적으로 들어간 상태다. 기존 LCD 라인을 OLED 라인으로 전환 투자하는 것은 물론 OLED라인 신규 증설 투자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 시장에 ‘OLED 훈풍’이 예고됨에 따라 AP시스템, 테라세미콘, 비아트론, 동아엘텍 등 플렉서블 OLED 장비업체들이 증권가 선호주로 물망에 오르기도 했다.

실제로 삼성디스플레이의 Flexible OLED 장비 관련 주요 협력사인 AP시스템은 지난해 영업이익 121억원을 달성하는 등 눈에 띄는 성장세를 그리고 있다.

유비산업리서치 관계자는 “2016년 한국의 AMOLED 출하량은 전세계 시장 95%를 장악할 만큼 국내 업체들의 패권이 확고해진다”며 “TV, 스마트폰, VR 시장에서 OLED가 점점 대세가 되고 있어 이는 삼성, LG 등 글로벌 패널 업체들에게 큰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Can’t Cope Because of LCD”… Samsung·LG, in Despair over Large Deficit

Hyunjoo Kang / OLEDNET / jjoo@olednet.com

 

<CES 2016 Exhibition. Many Chinese Companies’ LCD TV Were Present.>

Due to the oversupply of LCD panel in global display market, the opinion that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will also not be able to avoid large amount of deficit is becoming stronger.

 

As of March 28, according to market experts including securities industry,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will both face sizable deficit in LCD sector this quarter.

 

For Samsung Display, Q1 LCD sector is expected to record up to 900,000 million KRW. The company is estimated to reduce the overall display industry deficit with the OLED profit of approximately 400,000 million – 500,000 million KRW. Consequently, Samsung Display is to record approximately 400,000 million – 500,000 million KRW of deficit in Q1 2016.

 

LG Display, whose over 90% of the current production line is for LCD, is estimated to be hit more directly. LG Display has been showing profit in LCD until 2015, but is expected to turn to deficit in Q1 2016. LG Display has been showing deficit in OLED, and market experts are also expecting more deficit in Q1 2016.

 

◆ Unlike Samsung and LG’s High Quality, China Floods Cheaper LCD

The main reasons that display industry is having difficulty include oversupply of Chinese LCD, and overall market depression. Chinese companies’ affordable LCD supply, backed by active support of Chinese government, is damaging Korean companies.

 

Particularly, companies such as BOE, which greatly improved productivity with much assistance from Chinese government including corporate tax exemption, have been pressuring Samsung, LG, and others in the global LCD market. As the Chinese companies are still aggressively investing in LCD facilities, the LCD oversupply is analyzed to continue until 2018.

 

Accordingly, the majority of the industry believe that both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will carry out LCD production line restructuring. In a recent conference hosted by information company IHS, senior analyst Jeong Du Kang revealed that LG Display could restructure Gumi’s P2, 3, 4 production lines, and added that some thinks L6 production could stop following the same of L5 production line last year.

 

As expected, both companies do not officially comment on these forecast. However, most of the industry players believe that the production line changes of the 2 companies are inevitable.

 

One display expert explained that “unlike Samsung and LG which do not accept even small faults, Chinese companies are pouring out products with slightly lesser quality armed with lower price, and will dominate the mainstream market”.

 

He also estimated that as Samsung and LG are nearing the situation where they have to give up LCD, the speed of which OLED will settle as the main player within the global display market will increase.

“LCD 때문에 못살아”…삼성·LG, 대형 적자 ‘울상’

강현주 기자 / jjoo@olednet.com

OLEDNET이 다녀온 CES 2016 전시장. 중국 업체들의 LCD TV 다수가 전시됐다.

전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에 LCD 패널 공급과잉으로 인해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도 올해 1분기 큰 폭의 적자를 면치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해지고 있다.

28일 증권가 등 시장 전문가들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모두 올 1분기 LCD 부문에서 큰 적자가 예상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경우 1분기 LCD 부문에서 9천억원에 달하는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 회사는 OLED 부문에서는 4천억~5천억원 가량의 흑자를 달성, 덕분에 전체 디스플레이 사업 적자 폭을 그나마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결국 삼성디스플레이는 올해 1분기 약 4천억~5천억원에 달하는 적자를 기록할 것이라는 얘기다.

현재 LCD가 생산라인의 9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는 LG디스플레이는 더욱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이 회사는 지난 2015년까지 LCD 부문에서 흑자를 기록하다가 2016년 1분기 적자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된다. LG디스플레이는 그동안 OLED 부문에서도 적자를 기록해 왔으며 이번 올해 1분기에도 역시 적자일 것으로 시장 전문가들은 관측하고 있다.

◆”완벽 품질의 삼성, LG와 달리 중국은 저가 LCD 쏟아내”

이처럼 디스플레이 업계가 LCD로 인해 울상을 짓는 주 요인은 중국발 LCD 공급 과잉, 전반적인 시장 침체 등이다. 특히 LCD 산업을 적극 지원하는 중국 정부를 등에 업은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들의 저렴한 LCD 물량 공세가 국내 업체들에게 타격을 입히고 있다.

특히 중국 정부로부터 법인세 감면 등 막대한 혜택을 입고 생산력을 크게 향상한 BOE 등이 뛰어난 가격 경쟁력으로 삼성, LG 등을 전세계 LCD 시장에서 위협해왔다. 중국 업체들은 여전히 공격적으로 LCD 설비 투자를 하고 있어 LCD 공급 과잉 현상은 오는 2018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모두 LCD 생산라인 구조조정을 단행할 것이라는 게 업계 중론이다. 최근 시장조사업체 IHS가 개최한 한 컨퍼런스에서 강정두 책임 연구원은 “LG디스플레이는 구미의 P2, 3, 4 생산라인의 구조조정이 있을 수 있으며 지난해 L5 생산라인 가동 중지에 이어 L6 가동 중지설도 나온다”고 말했다.

물론 두 회사 모두 이 같은 관측에 대해서는 공식적으로 “노코멘트”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업계관계자들은 두 회사의 생산라인 변화는 불가피할 것이라 보고 있다.

디스플레이 업계 한 전문가는 “아주 작은 결함도 용납하지 않는 삼성, LG와는 달리 중국 업체들은 다소 완벽한 품질이 아니더라도 낮은 가격을 무기로 물량을 쏟아내고 있어 보급형 시장을 장악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삼성, LG가 결국 LCD를 놔야 하는 상황이 가까워지는 만큼 OLED가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 주역으로 자리잡는 속도가 점점 빨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Samsung, Even if OLED TV is Released, Different from LG

Hyunjoo Kang / Reporter / jjoo@olednet.com

<LG Elec. is Introducing OLED TV in CES 2016>

 

Within the TV market, there is an opinion that even Samsung Electronics which believes it is not yet the time for OLED panel cannot continue to insist on LCD. Experts estimate that even if it is the same OLED TV, Samsung Elec. will differentiate the actualization method from competitors’ including LG Electronics. One of the possibilities suggested is Samsung’s selection of ink-jet printed OLED TV panel.

 

Hyun-Suk Kim, Samsung Elec. Visual Display department’s vice president, who recently announced new LCD based SUHD TV mentioned that OLED TV is premature and also needs technological improvements.

 

However, it looks to be difficult for Samsung to insist on LCD TV only in the long term. China is threatening Korean companies in LCD panel market with superior price competitiveness; there is too much risk for Korean display companies such as Samsung Display to invest further in LCD production line. Although Samsung Elec. is not receiving panel supply exclusively from Samsung Display, Samsung Display is the biggest supplier. Therefore, Samsung Display’s LCD investment reduction is also expected to affect Samsung Elec.’s TV business.

 

Furthermore, Samsung Elec. is in the position of having to emphasize OLED’s superior picture quality over LCD in smartphone business, but highlight the opposite in TV. This is also an issue that needs to be tackled.

 

Despite these issues, Samsung cannot easily start on OLED TV as several problems such as price competitiveness have not been solved.

 

<Hyun-Suk Kim, Samsung Elec.’s Vice President, is Introducing New SUHD TV>

 

◆ Ink-jet Printing, Can it Solve OLED for TV Price Issue?

 

According to Dong-won Kim, analyst with Hyundai Securities, Samsung Display, with Samsung Elec. as the biggest client, has unfavorable structure for reducing production cost as 65 inch OLED TV panel production efficiency is low in Gen8 line.

 

Kim estimated that Samsung Display will apply solution process ink-jet printing technology to OLED TV with 2018 mass production targe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hen producing OLED TV panel, WRGB OLED method, which uses evaporation method, can only reduce production cost by certain amount as the material usage efficiency is low. On the other hand, ink-jet printing RGB technology finely deposits ink in liquid form and can reduce materials cost. Additionally, RGB OLED has fewer organic layers compared to WRGB OLED and processes can be decreased.

 

For these reasons, some believe that Samsung will select ink-jet printing method rather than evaporation for OLED TV in future. There is also a view that LG Display, which is currently using evaporation method, will also actively consider producing ink-jet printed OLED TV panel in the long term.

 

A display expert explained that although ink-jet printing processes are simpler than evaporation method, that does not necessarily mean materials cost is always cheaper. The ink-jet printing technology is not yet perfect, and particularly for blue the efficiency issue has not yet been solved.

 

He added that Samsung Elec. has strong tendency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competitors such as LG, and even if Samsung Elec. releases OLED TV, it is likely that ink-jet printing, which is different from LG, will be the preferred method.

“삼성, OLED TV 낸다 해도 LG와는 다르게”

강현주 기자/jjoo@olednet.com

CES 2016에서 LG전자가 OLED TV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OLEDNET이 다녀온 CES 2016에서 LG전자가 OLED TV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TV 시장에서 OLED 패널은 아직 아니라는 삼성전자도 끝까지 LCD를 고집할 수는 없을 것이라는 견해가 적잖이 나오고 있다. 단 같은 OLED TV라도 ‘구현 방식’에 있어서 LG 등 경쟁사와의 차별력을 분명히 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본다. 하나의 가능성으로 삼성이 잉크젯 프린팅 방식의 OLED TV 패널을 선택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최근 LCD 기반 2세대 SUHD TV 신제품을 발표한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VD) 사업부 김현석 사장은 “OLED TV는 시기상조며 기술보완도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삼성이 LCD TV만 고수하긴 어려워 보인다. 중국이 LCD 패널 시장에서 뛰어난 가격 경쟁력으로 한국 업체들을 위협하는 상황이라 삼성디스플레이 등 한국의 디스플레이 기업이 더 이상 LCD 생산라인에 투자 하기에는 리스크가 크다. 삼성전자가 반드시 삼성디스플레이(SDC)로부터만 패널을 공급받는 것은 아니지만 SDC가 최대 공급처인 것은 사실이다. 이에 따라 SDC의 LCD 투자 축소는 삼성전자의 TV 사업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사업에서는 OLED가 LCD보다 화질이 뛰어남을 강조하면서 TV 사업에서는 그 반대를 주장해야 하는 상황이라 이 역시 타계해야 할 문제다.

그럼에도 삼성이 섣불리 OLED TV 분야에 시동을 걸기 힘든 이유는 가격 경쟁력 등의 문제가 미해결이기 때문이다.

삼성전자 김현석 사장이 SUHD TV 신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삼성전자 김현석 사장이 SUHD TV 신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잉크젯 프린팅, TV용 OLED 가격문제 해결사 될까?

현대증권의 김동원 연구원에 따르면 삼성전자를 최대 고객사로 두고 있는 삼성디스플레이의 경우 8세대 라인에서 65인치 OLED TV 패널 생산효율이 낮아 원가를 낮추는 데 불리한 구조다.

김 연구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삼성디스플레이가 2018년 양산 목표로 용액공정의 잉크젯 프린팅 기술을 OLED TV에 적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TV용 OLED 패널을 생산하는 데 있어서 증착공정을 사용하는 화이트(WRGB OLED) 방식은 재료 사용 효율이 낮아 원가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다. 반면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RGB) 기술은 용액 형태의 잉크를 노즐을 통해 미세 분사하기 때문에 재료비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RGB OLED는 WRGB OLED에 비해 적층되는 유기물 층 수가 적어 공정 단축이 가능하다.

이에 삼성이 향후 OLED TV에 증착방식이 아닌 잉크젯 프린팅 방식을 선택할 것이라는 시나리오가 나온다. 일각에서는 현재 증착 방식을 이용하는 LG디스플레이 역시 장기적으로 잉크젯 프린팅 방식의 TV용 OLED 패널 생산을 적극 검토할 것이라 보고 있다.

디스플레이 업계 한 전문가는 “증착 방식에 비해 잉크젯 방식이 공정 과정이 간단하다는 점은 있지만 재료 자체 비용이 무조건 더 저렴하다는 보장은 없다”며 “또 잉크젯 프린팅 방식의 기술력이 아직은 완벽하지 않으며 특히 블루(blue) 부분에서의 비효율이 해결되지 않은 상태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하지만 그동안 삼성전자의 행적들을 돌아보면 LG같은 경쟁사와 똑같지 않게 함으로써 차별력을 분명히 하려는 경향이 강한만큼 OLED TV를 출시한다 해도 LG와 다른 잉크젯 방식을  선호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덧붙였다.

Why is ‘Cadmium-free’ Significant? Samsung’s Quantum Dot SUHD TV

Hyunjoo Kang / jjoo@olednet.com

 

<Samsung Elec. Released 2nd Generation Quantum Dot TV. Source: Samsung Elec.>

On the subject of Samsung Electronics’ 2nd generation quantum dot display equipped SUHD TV product, recently released in Korea, display experts consider the actualization of 1,000 nit without cadmium as the key strength.

 

In 2015, Samsung Elec. first launched quantum dot SUHD TV under the name nanocrystal technology. Each quantum dot of nanosize, 10,000 times narrower than a human hair, actualizes accurate color.

 

According to Samsung Elec., the 2nd generation quantum dot technology to produce this new product, an improvement over last year’s. The company emphasized that compared to the previous product, the price was reduced and brightness was improved. HDR (high dynamic range) with 1,000 nit maximum was applied to the new product.

 

The 1,000 nit brightness is the standard figure of premium image produced in Hollywood, US. If this figure is high, screen’s bright and dark areas can be experienced fully even in bright environment such as a living room area.

 

Although not applied to all models of Samsung’s 1st generation quantum dot SUHD TV, 1,000 nit brightness was applied to the majority of the models; that 1,000 nit brightness was applied to the new product is not worth much attention by itself.

 

<Samsung Elec.’s 1st Generation Quantum Dot TV vs. Other Display in CES 2015>

 

◆Hazardous Heavy Metal Cadmium, Why Difficult to Remove?

 

Quantum dot film includes cadmium. As cadmium is a hazardous heavy metal, cadmium including quantum dot film cannot be environmentally friendly. Cadmium use in Europe is limited.

 

However, without cadmium, the quantum dot film’s optical efficiency is reduced. In order to make up for this, LED chips have to be applied which increases the price as well as the energy consumption. An alternative method to avoid this is development of additional quantum dot materials that increase efficiency.

 

For these reasons, some Chinese companies that produce quantum dot display equipped products select to use cadmium, overlooking the environmental issues. Samsung Elec. also emphasized that it is the only company that utilizes environmentally friendly cadmium-free quantum dot materials.

 

Through quantum dot materials’ efficiency and color mapping algorithm improvement, Samsung actualized 1,000 nit brightness without resorting to cadmium and without increase in power consumption. Color accuracy, which is a quantum dot display trait, was also improved by 25%.

 

Samsung Elec. is planning to release 14 models of SUHD TV, from 49 inch to 88 inch, in Korea. This is over 30% increase compared to last year. The price also was reduced by 900,000 KRW compared to the previous version. The new products,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s, cost around 6 million KRW for 65 inch, and 4 million KRW for 55 inch.

A comment from a display expert is, “the new product has 1,000 nit brightness is not significant by itself, and color accuracy improvement also is not of much attention as it is an existing quantum dot trait”. However, he also put another comment from his analysis, “1,000 nit brightness was actualized without using cadmium and without decreasing energy efficiency is worth noting”.

‘카드뮴 Free’가 의미 있는 이유?…삼성 퀀텀닷 SUHD TV

강현주 기자/jjoo@olednet.com

삼성전자가 2세대 퀀텀닷 TV를 출시했다. (출처=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최근 국내 출시한 ‘2세대 퀀텀닷’ 디스플레이 탑재 SUHD TV 신제품에 대해 디스플레이 전문가들은 이 제품의 핵심 강점으로 ‘카드뮴 없는 1000니트 구현’을 꼽는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5년 ‘나노 크리스탈 기술’이라는 명칭을 앞세워 퀀텀닷 SUHD TV를 첫 출시한 바 있다. 퀀텀닷 기술은 머리카락 굵기의 수만분의 1인 나노 크기의 퀀텀닷 입자 하나 하나가정확한 색을 표현해준다.

올해 신제품은 작년 제품보다 성능을 향상시킨 2세대 퀀텀닷 기술을 채용했다는 게 삼성전자의 설명이다. 전작보다 가격은 낮추고 밝기는 개선했다고 이 회사는 강조한다.

특히 이번 신제품은 전 모델에 최대 1000니트(nit) 밝기의 HDR(High Dynamic Range)을 채용했다.

1000니트 밝기는 미국 할리우드 영화사에서 제작한 프리미엄 영상의 표준이 되는 수치다. 이 수치가 높으면 거실처럼 밝은 장소에서도 화면의 밝고 어두운 부분을 세밀하게 감상할 수 있다.

삼성의 1세대 퀀텀닷 SUHD TV의 경우 전모델 적용은 아니지만 1000니트가 적용된 다수의 모델들이 있었던 만큼, 이번 신제품에 적용된 1000니트라는 수치 자체가 괄목할만한 것은 아니다.

OLEDNET이 다녀온 CES 2015에서 삼성전자가 발표한 1세대 퀀텀닷 TV. 타 디스플레이와의 비교 전시.

◆유해 중금속 카드뮴, 왜 빼기 힘든가?

카드뮴은 퀀텀닷 필름 내 포함된 성분이다. 카드뮴은 유해성이 있는 중금속이기 때문에 카드뮴이 포함된 퀀텀닷 필름은 친환경적이라 할 수 없다. 실제로 유럽에서는 카드뮴 사용을 규제한다.

하지만 카드뮴을 제거할 시 필름의 광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다수의 LED 칩을 탑재해야 하는데 그럴 경우 가격이 높아지며 전력 소모도 증가한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효율을 높여주는 퀀텀닷 재료를 추가적으로 개발하는 방법이 있다.

이 때문에 퀀텀닷 디스플레이 탑재 제품을 생산하는 일부 중국 업체들은 친환경성을 포기하더라도 카드뮴 탑재를 선택하기도 한다.

삼성전자 관계자도 “카드뮴이 없는 친환경 퀀텀닷 소재를 사용하는 것은 자사가 유일하다”고 강조한다.

이 회사는 퀀텀닷 소재의 효율 향상 및 컬러 맵핑 알고리즘 개선을 통해 카드뮴 없이도 전력 소모량 증가 없이 1000니트의 밝기를 구현했으며 퀀텀닷 디스플레이의 특징인 색상의 정확도 25% 향상 효과도 놓치지 않았다.

한편 삼성전자는 올해 국내시장에서 49형부터 최대 88형까지 SUHD TV 총 14개 모델을 출시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보다 30% 이상 늘린 것이다. 가격도 전작 대비 최대 90만원까지 내렸다. 신제품은 사양에 따라 65형은 600만원대, 55형은 400만원대다.

디스플레이 업계 한 전문가는 이번 삼성전자의 신제품에 대해 “1000니트라는 수치 자체에 큰 의미를 두긴 힘들며, 색상의 정확도 향상 역시 퀀텀닷의 본래 특성이라 주목할만한 사안은 아니다”라며 “단 퀀텀닷 디스플레이의 광효율을 높여주는 카드뮴을 사용하지 않고도 1000니트 밝기를 구현하고 전력효율도 무너뜨리지 않았다는 면은 평가할 만 하다”라고 분석했다.

[Light + Building 2016] OSRAM to Release Automotive OLED Lighting within 2-3 Months

Hyunjoo Kang, Reporter, OLEDNET

 

<OSRAM’s O-ring, OLED Product Applied Automotive Rear Lamp>

 

During the Lighting + Building 2016 exhibition (March 13-18) held in Frankfurt, Germany, OSRAM revealed that OLED rear lamp equipped cars will be on the road within 2-3 months.

OSRAM exhibited O-ring, OLED product applied to automotive rear lamp at this exhibition, and OLEDNET could see the fruit of OSRAM’s steady automotive lighting product development.

 

 

<General OLED Lighting Concept Suggested by OSRAM>

The OSRAM representative at the exhibition explained that OSRAM will continue their focus on automotive lighting and develop products but at the right moment, will enter the general lighting market. The representative added that although only the basic concept of the general lighting is present for now, further development will be carried out in future.

[Light and Building 2016] OSRAM “자동차용 OLED 조명 2~3개월 내 출시”

강현주 기자/OLEDNET

자동차 rear lamp에 적용된 OSRAM의 OLED (O-ring)

3월 13일부터 18일까지 6일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개최된 ‘Light and Building 2016’ 전시장에서 OSRAM 관계자는 “OLED rear lamp를 탑재한 자동차를 빠르면 2 ~ 3 개월 이내에 도로에서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OLEDNET이 다녀온 이번 전시회에서 OSRAM이 자동차용 rear lamp에 적용된 OLED 제품(O-ring)을 전시하였다. 그 동안 꾸준히 자동차용 조명 제품 개발에 매진해온 OSRAM의 결실을 보게 된 셈이다.

OSRAM이 제시한 OLED 일반 조명의 concept

전시장에서 만난 OSRAM의 관계자는 “OSRAM은 지속적으로 자동차용 조명에 더 집중하여 제품을 개발할 예정이지만, 적당한 시기에 일반 조명시장에도 뛰어들 것”이라며 “현재는 일반 조명에 대해서는 기본적인 콘셉트 정도만을 그려놓은 상태이지만, 추후 일반 가정용 조명 제품의 개발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Light+building 2016 LGD OLED Lighting

LG Display is showcasing its latest advanced OLED light products and solutions at Light+Building 2016

[Light building 2016] Osram OLED Rear Lamp

오스람이  독일에서 열린 Light+Building 2016에서 OLED rear lamp를 전시하고 있다.

[Light building 2016] Osram OLED Rear Lamp

Osram is showcasing its OLED rear lamp for cars at Light+Building 2016.

[Light building 2016] Osram OLED Rear Lamp

Osram is showcasing its OLED rear lamp for cars at Light+Building 2016

[Light+building 2016] LGD OLED Lighting

LG Display is showcasing its latest advanced OLED light products and solutions at Light+Building 2016

2016, Korea Seizes AMOLED Market…95% of Global Market

2016-2020 Global AMOLED Panel Market Shipment [1 Million] (source : UBI Research)

This year, Korea is expected to secure overwhelming leadership position within the global AMOLED panel market with 95% market share.

According to 2016 OLED Display Annual Report, recently published by UBI Research, approximately 270 million units of AMOLED panel are to be produced from Korea in 2016, approximately 95% of the global shipment.

For AMOLED panel market revenue, Korea is estimated to occupy 96% of the total market in 2016 with US$ 14,218 million. Korea is expected to maintain approximately over 70% of the market share until 2020, and lead the global market for several more years.

This is analyzed to be due to active response by Korean display companies against AMOLED application expansion by influential global smartphone companies.

Samsung Electronics is forecast to sell over 47 million units of AMOLED panel equipped Galaxy series in 2016. The projection that Apple will also apply AMOLED panel to future iPhone series for product differentiation is gaining traction.

Several companies, including LG Display and Samsung Display, are carrying out active investment for AMOLED panel mass production line from H1 2016.

Other than Korea, China is showing rapid movement within the global AMOLED market. China is estimated to produce approximately 11 million units of AMOLED panel in 2016, and occupy approximately 4% of the global shipment, marking the second place after Korea’s 95%. China is estimated to increase the market share each year and reduce the gap with Korea; in 2020, China is expected to hold 24% of global AMOLED panel shipment in 2020.

China’s AMOLED panel market revenue is also forecast to show significant growth with approximately US$ 500 million in 2016 to US$ 13,700 million in 2020, a 20% of the total market.

2016 OLED Display Annual Report forecasts that the global AMOLED market is to record approximately US$ 15,000 million in 2016, and grow to approximately US$ 70,000 million in 2020.

 

[2nd OLED KOREA Conference] Samsung Display, Future Display’s Virtue is Design Freedom

Insun Hwang, Samsung Display’s principal engineer of the Frontier Technology Team, announced that as the display market is expanding, the key factor for positive outlook for future display is ‘design freedom’.

 

At the 2nd OLED KOREA Conference (Feb 24-25) hosted by UBI Research, Hwang gave a keynote presentation.

 

During the presentation, Hwang announced that the mobile overtook TV as the medium that people use to access daily media. According to the presentation materials, the mobile usage is increasing each year, while the TV usage is decreasing. Also as the mobile usage of people under 50 is higher than that of TV, Hwang forecast that the number of people using mobile to access information will increase. He added that if the display panel price falls down, the number of the display panels will become higher than the number of users and forecast positive future for the display market.

 

Hwang particularly mentioned that AMOLED applied products will increase as it emits less harmful blue light and is human friendly, giving smartwatch and VR as the current examples. He estimated that the smartwatch market can expand through differentiated strategy with new functions and designs. Additionally, as an issue that needs to be solved, he mentioned that the resolution of VR fall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display is short. High resolution is the key in VR, and Hwang explained that approximately 2,000 ppi is required for suitable realism. He also forecast that the automotive display will lead the display field and the future market. He further explained that as OLED can actualize the curvature and transparency, it is appropriate for automotive display.

 

However, Hwang also mentioned OLED’s lack in technology. Pointing out that technology for plastic window, flexible touch, encapsulation, and backplane falls short of what the market requires for flexible display and design freedom, Hwang described the need for OLED technology development.

 

Hwang estimated many flexible display equipped smart products in future, and concluded that display’s design freedom will be the most important issue.

[2nd OLED Korea Conference] Samsung Display, 미래의 디스플레이 덕목, 디자인 프리덤

Samsung Display의 황인선 수석연구원이 앞으로의 디스플레이 시장이 더 커지면서 긍정적인 전망과 미래의 디스플레이가 가져야 할 키팩터는 디자인 프리덤이라고 발표했다.

황인선 수석연구원은 지난 24일부터 이틀 간 유비산업리서치가 개최한 ‘The 2nd OLED Korea Conference’에서 키노트 발표를 했다.

황인선 수석연구원은 개인이 매일 미디어를 접하는 비중이 2015년에 모바일이 TV를 앞섰다고 발표했다. 발표 자료에 따르면, 매년 모바일의 사용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고, TV는 하락하는 모양을 하고 있다. 또한 10대와 20, 30, 40대까지는 TV보다 모바일을 사용하는 비율이 높아서 앞으로 정보를 모바일로 접하는 사람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황 수석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격이 떨어지면 디스플레이가 사람 수에 비해 사용되는 패널의 수가 많아질 것이라고 말하며 디스플레이 시장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황 수석은 AMOLED가 유해성 블루라이트가 적어 인간 친화적이기 때문에 앞으로 적용된 제품들이 늘어날 것이며,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발표했다. 현재 적용되고 있는 제품으로 스마트워치와 VR을 예로 들었다. 스마트워치는 시계와 다른 차별화된 전략으로 새로운 기능을 탑재하고 새로운 디자인을 통해 시장이 확대될 수 있을 거라고 말했다. 또한 VR은 디스플레이를 접하는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해상도가 떨어진다는 점을 해결해야할 과제로 꼽았다. 황인선 수석은 ‘VR은 고해상도가 핵심이며, 2000ppi 정도 되어야 현장감을 잘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추가로 황인선 수석은 차량용 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 전장을 이끌 것이라며 차량용 디스플레이가 미래의 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전망했다. 황 연구원은 OLED가 곡면과 투명이 가능하여 차량용 디스플레이로 적합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OLED의 기술적인 부분이 미흡하다는 점을 언급했다. 특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즉 디자인 프리덤을 위해서 플라스틱 윈도우, 플렉서블 터치, encapsulation, 백플레인 기술이 아직 시장에서 요구할 만한 수준이 아니다라고 말하며 OLED 기술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 했다.

황인선 수석은 미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탑재하고 스마트라는 단어를 입은 제품들이 많이 나올 것이며, 이를 위해서 디스플레이의 디자인 프리덤이 가장 중요할 것이라고 말하며 키노트 발표를 마쳤다.

 

[MWC 2016] 모바일 기기 시장, 대세는 AMOLED로 기울어가고 있다.

디스플레이 시장의 강자로 군림하던 LCD가 mobile 기기용 display시장에서 AMOLED로의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MWC 2016에서 AMOLED panel이 적용된 제품을 전시한 업체는 Samsung Display와 화웨이등 총 11개 업체로 MWC 2015에 비해 2배 증가하였으며 제품 수는 25개로 전년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작년 MWC 2015에서는 전시된 10개 제품 중 삼성전자에서 전시한 제품이 6종이었지만 올해는 삼성전자에서 신규로 전시한 제품이 3종으로 삼성전자를 제외하고 계산한다면 MWC 2016에 전시된 AMOLED panel이 적용된 set수는 전년도에 비해 4배가 상승한 수치이다.

이처럼 빠른 속도로 LCD에서 AMOLED 로의 전환이 진행되고 있는 이유로는 set업체들의 AMOLED에 대한 장점 인지도가 커져가고 있음과 동시에 AMOLED panel의 가격이 장비의 감가상각이 끝나감에 따라 LCD와 동등한 가격대로 내려갔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Lenovo와 화웨이에서는 QHD, WQHD 해상도의 하이엔드 model에 적용되는 AMOLED panel을 적용한 제품도 공개하며 보급형뿐만 아니라 하이엔드 제품에도 AMOLED panel에 대한 수요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OLED Frontier Forum’s 3rd Section Panel Discussion Summary

The 3rd section of the 1st OLED Frontier Forum (Jan 28), OLED’s Future, held a panel discussion with government, industry, and academia experts discussing OLED industry development strategy, such as next generation technology development, convergent areas, and personnel training, and future forecast. OLEDNET summarized the answers that each expert gave to the questions of the panel chair (Professor Changhee Lee, Seoul National University).

 

Jun-hyung Souk (Professor, Sungkyunkwan University)

For SDC mobile, as the OLED depreciation is ending the OLED production cost is becoming almost the same as LCD. If OLED related experts stay within Korean industry as well as the technology, Korea can continue to lead for 4-5 years. In order to achieve the continued leadership, differentiation through flexible R2R has to be carried out, as well as the materials and encapsulation technology development.

 

 

Sung-Chul Kim (CTO, SDC)

As a-Si is an existing technology, there is no room for further advancement. Sharp’s difficulty in panel business is due to lack of technology research on the panel. Because one technology can only be used for approximately 7 months, diverse technology development is required.

 

 

In-byeong Kang (CTO, LGD)

Fast organizations cannot but win. Therefore, rapid change to OLED from LCD is needed. As difficult is the technology, cooperation between academia and industry is needed. Now is the time when this cooperation for next generation technology development is more in demand. LGD is putting in much effort for OLED profitability.

 

 

Sung-Jin Kim (Vice President, Toray Advanced Materials Korea)

Cooperation between materials and manufacturing equipment companies is important in solution process materials development. Particularly, how to control dry process is an important issue. Also, Kim expects the current solution process materials development to show tangible results in 3-5 years.

 

 

Junyeob Lee (Professor, Sungkyunkwan University)

Solution process is favorable for materials optimization. From the initial concentration on polymer materials, recently small molecule materials focused soluble materials development is being carried out, and how to implement common layer is an issue. Emitting layer is using the small molecule materials that are being used as evaporation materials. The difference is the higher cost as the solvent is used. Also, as there is an issue (formulation problem) when used in large area, solution is required.

 

 

Kyoung-Soo Kim (Vice President, Korea Display Industry Association)

Expert acquirement is a key issue. Through upgraded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nd academia, and industries, cooperation between panel,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aterials has to progress into a positive cycle. Also the open platform regarding new OLED application is needed.

 

 

Young-Ho Park (PD, 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Flexible display competitiveness acquirement is a big concern. Programs for challenging R&D, and high added value product/technology development, and R&D infra establishment (highly cost-effective R&D) have to be considered.

 

Sung-Chul Kim, Samsung Display’s CTO, What is Needed for OLED To Enter New Areas?

Sung-Chul Kim, Samsung Display’s CTO, at the 1st OLED Frontier Forum (Jan 28) gave a presentation ‘AMOLED Technical Issue and Future’ and discussed OLED technological issues of the past and present.

 

Kim pointed out the fact that glass substrate is not always necessary for OLED as the most different factor compared to LCD, and emphasized flexible OLED where plastic substrate is used. Kim reported that flexible OLED issues include window’s durability and coating, touch panel’s electrode materials and flexibility, reduction of number of encapsulation layers and flexibility, and backplane’s low stress structure and OTFT application. He revealed that developing spherical stretchable display, which the user can zoom in, is also included in the product roadmap.

 

Regarding transparent/mirror display, Kim announced that this is the direction that OLED should head toward and added that layout design development suitable for different application areas is needed. Specifically, the transparent display should be developed to increase the transmittance area and decrease the TFT area, and the mirror display to optimize the ratio between the total reflection and half-reflection areas.

 

Additionally, in order to produce high resolution OLED, Kim mentioned that innovation in terms of pixel operation and backplane structure is needed. He emphasized compensation circuit and that whether high resolution display can be manufactured cheaply and using simple structure is the key.

 

Kim discussed wall display, IoT, educational display, etc. as the new applications which will become important in future. Particularly, mentioning the automotive display area, Kim explained that for OLED to enter these new areas, plastic materials suitable for each applications and technology that can correctly process this are required. In order for this type of research development to be carried out smoothly, Kim added that cooperation between the academia and industry is necessary.

 

OLED Frontier Forum 제 3부 panel discussion 요약

제 1회 OLED Frontier Forum의 제 3부 ‘OLED 미래’에서는 정부, 업계, 학계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차세대 기술개발, 융복합 분야, 인력양성 등 OLED 산업 발전 전략과 미래 전망에 대한 패널 토론이 진행되었다. OLEDnet에서는 사회자(이창희 교수, 서울대)의 질문에 대한 각 분야별 전문가들의 답변 내용을 요약하였다.

 

석준형 교수 (성균관대)

SDC Mobile의 경우 OLED의 감가상각이 끝나가기 때문에 OLED의 원가는 LCD와 거의 같아지고 있다. OLED관련 전문 인력만 빼앗기지 않으면 4~5년은 한국이 주도해나갈 수 있다.(Black Box화 전략) 지속적인 주도권 확보를 위해 flexible R2R로 차별화를 해야하며, 이와 더불어 소재와 encapsulation쪽 기술개발 필요하다.

 

김성철 CTO (SDC CTO)

a-Si는 기술적 차별성이 없다. Sharp의 panel 사업이 어려움을 겪은 이유는 panel에 대한 기술연구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가지 기술로는 7개월 밖에 못 가기 때문에 다양한 기술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강인병 CTO (LGD CTO)

빠른 조직이 이길수 밖에 없다. 따라서 LCD에서 OLED로의 빠른 전환이 필요하다. 기술이 어려운만큼 산학연의 협력이 필요하며, 차세대 기술개발에 대한 산학연의 협력이 더욱 필요한 시점이다. LGD는 OLED 흑자를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

 

김성진 전무(도레이 첨단 소재)

소재 업체와 장비 업체의 협력이 용액공정 재료 개발 시 중요하며 특히 Dry process를 어떻게 control을 할 것이냐가 중요한 이슈이다. 또한 현재의 용액공정 재료 개발은 3 ~ 5년 정도면 가시적인 결과를 볼 수 있으리라 판단한다.

 

이준엽 교수 (성균괸대)

용액공정이 재료 최적화에 유리하다. 초기 고분자 위주에서 최근에는 저분자 위주의 soluble 재료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공통층을 어떻게 가져가느냐에 대한 이슈가 있다. 발광층은 현재 증착 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저분자 재료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차이점은 용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격 측면에서 현재는 비싸다는 이슈가 있으며, 또한 대형화 시 문제점(formulation 문제)이 있어 이에 대한 해결이 필요하다.

 

김경수 부회장(디스플레이 산업 협회)

전문인력 확보가 관건이며, 산학연 or 기업간 협력을 upgrade 시켜 panel-장비-소재간의 협력이선순환관계로 발전되어야 한다. 또한 새로운 OLED 응용분야에 대한 open platform이 필요하다.

 

박영호 PD(한국 산업기술평가 관리원)

Flexible 디스플레이 경쟁력 확보에 대한 고민이 크다. 도전적 R&D를 위한 program과 고부가가치의 상품/기술 개발, R&D infra 구축(가성비 높은 R&D)에 대해 깊은 고민을 해야 한다.

삼성디스플레이 김성철 CTO, 신규 분야에 OLED가 진출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는?

제1회 OLED Frontier Forum에서 삼성디스플레이의 김성철 CTO는 ‘AMOLED Technical Issue and Future’라는 제목으로 OLED의 과거와 현재의 기술적인 이슈에 대해 점검하는 시간을 가졌다.

김성철 CTO는 OLED가 LCD에 비해 가장 차별화되는 점으로 꼭 glass 기판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꼽으며, plastic 기판이 적용되는 flexible OLED에 대해 강조하였다. 김성철 CTO는 “플렉시블 OLED에 대한 이슈로 window의 내구성과 코팅, 터치패널의 전극 재료와 flexibility, encapsulation의 layer수 감소와 flexibility, backplane의 저stress 구조와 OTFT 적용이 있다.”고 발표하며 사용자가 관심있어 하는 부분을 확대하여 볼 수 있도록 구 형태의 stretchable 디스플레이를 개발하는 것까지 제품 로드맵이 되어 있다고 밝혔다.

김성철 CTO는 투명/거울 디스플레이와 관련해서는 앞으로 OLED가 발전해 나아가야 할 길이라고 밝히며 각 응용 분야에 알맞은 layout design 개발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하였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과부가 높아지고 TFT 면적이 낮아지는 방향으로, 거울 디스플레이는 전반사와 반반사 부분의 비율을 최적화하는 방향으로 개발되어야 한다.”고 발표했다.

또한 고해상도 OLED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pixel 구동과 backplane 구조 측면에서 혁신이 필요하며, 특히 보상회로를 강조하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저렴하고 단순한 구조로 만들 수 있는가’가 핵심이라고 밝혔다.

미래에 중요하게 될 새로운 application으로 김성철 CTO는 wall 디스플레이, IoT, 교육용 디스플레이 등이 있다고 발표했다. 특히 차량용 디스플레이 분야를 언급하면서 OLED가 이런 신규 분야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각 application에 알맞은 플라스틱 재료와 이를 제대로 가공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 개발이 원할히 진행되기 위해서는 산학연 연계가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CES 2016]Samsung Transfomable TV

Samsung은 두 개의 패널을 이용해 여러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구현이 가능하도록 전시하였으며 미래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제시했다

[CES 2016]Samsung Modular Display

Samsung은 여러 개의 패널들을 움직이면서 다양한 크기의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modular display를 전시하였다.

[CES 2016]Samsung Mirror Display

Samsung은 반사율이 높은 mirror display를 전시하면서 사람들의 이목을 끌었다.

Can Transparent OLED Be OLED Industry’s New Growth Engine?

According to Transparent OLED Display Report 2016, published by UBI Research, large area transparent AMOLED market is expected to record approximately US$ 5,300 million by 2020.

 

UBI Research revealed that “transparent OLED, with its high transmittance, is likely to be applied to transparent advertisement display such as showcases that has to properly actualize what is behind the display. Also, as the viewing angle is wide and color gamut and visibility are high, it will be widely used as transportation display such as automotive”. Furthermore, UBI Research added that as it is easy to produce flexible product and can be utilized in diverse applications that will be newly designed, market potential is very high.

 

Transparent display is a display that can recognize/process/communicate information via optically transparent display using transparent electronic device. This is a device that is ordinarily transparent as glass and functions as monitor or TV as needed. As the area where the information is shown is transparent and objects behind the display can be seen, spatial/visual limitation can be overcome and diverse application and expansion of existing display market can be anticipated. Particularly, transparent OLED’s transmittance is approximately twice as high as transparent LCD (using the recently release panel), and simple to bend. As such, key panel companies are inclined to actively develop transparent OLED.

 

In 2015, Samsung Display revealed world’s first 55 inch FHD transparent OLED with 45% transmittance and plan to mass produce from 2016. LG Display is also developing transparent OLED through project titled “60 inch or larger UD level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with transmittance of 40% or higher” that began in 2012. China’s BOE presented 9.55 inch transparent flexible OLED panel with 30% transmittance in SID 2015 and is actively carrying out research.

 

From these companies’ transparent OLED development, transparent OLED is anticipated to play a big role in future display market expansion.

Large Area AMOLED Market Forecast

Looking Ahead to 2016 OLED Industry through Keywords

  1. Flexible AMOLED Investment

In 2016, flexible AMOLED mass production line investment is expected to be actively carried out by Samsung Display, LG Display, BOE, and Japan Display. For Samsung Display to apply flexible AMOLED panel to the new Galaxy model, the mass production line investment is necessary. If they supply flexible AMOLED panel to Apple, volume of the flexible AMOLED mass production to be invested in 2016 is estimated to be grow significantly. LG Display also is expected to actively carry out flexible AMOLED line manufacturing equipment order for Gumi’s P6 line, as well as additional flexible AMOLED mass production line investment following Apple’s demand. BOE is estimated to seriously begin orders for Chengdu’s Gen6 45K flexible AMOLED mass production line.

 

  1. P10

With the announcement of new factory establishment and 1.84 billion KRW investment for part of facilities in Q4 2015, as the first step of the investment, LG Display began site construction for P10 line factory that can produce large area panel. However, the investment direction has not yet been decided. P10 could be directed to only producing large area LCD panel, large area OLED panel, small-to-medium size OLED panel, or large area and small-to-medium size OLED panel simultaneously. China’s Gen8 LCD facilities investment is quite advanced and BOE’s Gen10.5 LCD line investment has also been confirmed. As such how much LG Display’s large area LCD can bring profit has to be carefully considered. Additionally, with the increase of OLED TV consumption and the supply of OLED panel to Apple practically confirmed, OLED investment is essential. P10, Gen11 line, is the world’s largest factory site, and depending on the investment direction in 2016, it is estimated to affect OLED market’s opening time.

 

  1. Chinese OLED

Everdisplay is supplying AMOLED panel to some several Chinese set companies, and Visionox is also expected to actively supply AMOLED panel from 2016. As such, most of Chinese OLED panel companies’ OLED mass production preparation is anticipated to conclude in 2016. Accordingly, second investment by companies including Everdisplay, Visionox, and Tianma is analyzed to be possible and serious movement by China’s OLED industry could occur.

 

  1. Evaporation Equipment

Flexible AMOLED mass production line investment by Samsung Display, LG Display, Japan Display, and BOE, and other Chinese OLED panel companies’ additional installation are expected to be actively carried out from 2016. Amidst this, order of evaporation equipment, OLED production’s essential component, is expected to be an issue.

 

Evaporation equipment currently being used in mass production is mostly Japanese Canon Tokki’s. As this evaporation equipment has been verified in mass production, it is estimated that most companies, including Samsung Display, LG Display, BOE, and JDI, will want to order Canon Tokki’s evaporation equipment. However, as the production capa. of Canon Tokki’s evaporation equipment is limited, the issue is expected to be which panel company will be able to order early. At the same time, this could be a new opportunity for Korean evaporation equipment companies.

 

  1. Samsung OLED TV

At present, the TV industry trend is moving to OLED from LCD. Accordingly, Samsung Display is continuing research to resume their large area OLED for TV panel business. It is analyzed that Samsung Display possesses RGB OLED technology that uses SMS evaporation method, white OLED, and solution process OLED technology. However, as each technology has its drawbacks, they are carefully considering future directions. First, RGB OLED technology is estimated to lack Gen8 mother glass substrate evaporation equipment at present. Solution process OLED method has low material performance. For white OLED, as the key patents are owned by LG Display, technology that avoids these has to be first developed. Therefore, much attention is focused on which technology Samsung Display will use and invest in production line to enter the TV market.

투명 OLED, OLED 산업의 신 성장동력 될까?

유비산업리서치에서 발간한 2016 투명 OLED 보고서에 따르면 대면적 투명 AMOLED 시장은 2020년까지 약US$ 5,300 million의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유비산업리서치는 “ 투명 OLED는 투과도가 높아 뒷면의 사물을 제대로 표현해야만하는 showcase와 같은 광고용 투명 display에 적용될 가능성이 높으며, 또한 시야각이 넓고 색 구현력과 시인성이 높아 automotive등 transportation용 display로도 널리 사용될 것”이라 밝혔다. 또한 flexible 구현이 용이하여 앞으로 새롭게 등장할 다양한 application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시장 잠재력이 매우 높다고 밝혔다.

투명 display는 투명전자소자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투명한 형태의 display를 통해 정보 인식/정보처리/정보전달의 기능을 가진 display로 평상시에는 유리처럼 투명한 상태로 있다가 필요에 따라서, 모니터, TV처럼 활용이 가능한 장치이다.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이 투명하여 display의 뒤에 위치한 사물이 보이기 때문에 공간적/시각적인 제약을 없앨 수 있어 다양한 application에 적용 가능하여 기존 display의 시장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투명 OLED는 투과도가 투명 LCD대비 약 2배 가량 높고(최근 공개된 panel 기준) flexible이 용이하다. 따라서 주요 panel업체에서도 투명 OLED를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추세이다.

Samsung Display는2015년 45% 투과율의 55inch FHD 투명 OLED를 세계 최초로 공개하였으며 2016년부터 양산할 것이라 밝힌바 있으며, LG Display도 2012년부터 시작 된 ”60inch 이상 UD급 투과도 40%이상인 투명 플렉시블 display”에서 투명 OLED를 개발 중에 있다. 중국의 BOE도 SID 2015에서 30% 투과율의 9.55inch 투명 플렉시블 OLED panel을 공개하는 등 적극적으로 개발을 하고 있다.

이러한 panel업체들의 투명 OLED 개발에 힘입어 투명 OLED가 앞으로의 display의 시장 확대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면적 투명 AMOLED 시장 전망

대면적 투명 AMOLED 시장 전망

키워드로 전망하는 2016 OLED 산업

  1. Flexible AMOLED Investment

2016년에는 Samsung Display와 LG Display, BOE, Japan Display의 flexible AMOLED 양산라인에 대한 투자가 본격적으로 이루어 질 것으로 예상된다. Samsung Display는 신규 Galaxy모델에 flexible AMOLED panel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양산라인 투자가 필수적이며, Apple에 flexible AMOLED panel을 공급하게 될 경우 2016년에 투자될 flexible AMOLED 양산라인의 규모는 상당히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LG Display도 구미 P6 line에 flexible AMOLED line 장비 발주가 본격적으로 이루어 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외에 Apple의 요구에 따라 추가적인 flexible AMOLED 양산라인 투자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Japan Display도 Apple의 flexible AMOLED 공급업체 후보로 투자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BOE는 청두의 Gen6 45K flexible AMOLED 양산라인에 대한 발주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으로 전망된다.

 

  1. P10

LG Display가 2015년 4분기에 신규공장 건설과 일부 설비투자에 1조8400억원을 투입한다고 밝히며, 투자의 첫 단계로 대형 패널을 생산할 수 있는 P10 line의 공장 부지 조성을 시작했다. 하지만 아직 투자 방향을 결정하지 않은 상태이다. P10의 투자 방향은 대형 LCD 패널만 생산하거나 대형 OLED 패널을 생산하는 방향, 중소형 OLED 패널만 생산하는 방향, 대형과 중소형 OLED를 동시에 생산하는 방향이 있다. 중국의 8세대 LCD 설비 투자도 상당히 진행되고 있고, BOE의 10.5세대 LCD line도 투자가 결정되어 LG Display의 대형 LCD가 얼마나 수익을 거둘 수 있을지 고심해야한다. 또한 OLED TV의 소비가 늘어나고, Apple에 OLED 패널을 공급하는 것이 거의 기정 사실화 된 상황에서 공급량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OLED 투자도 필수적이다. P10은 11세대 line 크기 공장 부지의 세계 최대 규모로 2016년에 있을 P10의 투자 방향 결정에 따라 OLED 시장의 개화 시기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1. Chinese OLED

Everdisplay는 AMOLED panel을 중국의 일부 set업체에 공급하고 있으며, Visionox도 2016년부터 AMOLED panel을 본격적으로 공급할 것으로 예상되어, 대부분의 중국 OLED panel업체들의 OLED 양산 준비가 2016년에는 마무리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Everdisplay와 Visionox, Tianma등의 2차 투자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어 중국의 OLED 산업도 본격적인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1. 증착 장비

Samsung Display와 LG Display, Japan Display, BOE의 flexible AMOLED 양산 라인 투자와 다른 중국 OLED panel 업체의 추가 증설이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OLED 생산의 핵심 장비인 증착장비 발주가 이슈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양산에 적용중인 증착기는 대부분 일본의 Canon Tokki사의 증착기로 이미 양산라인에서 검증이 되어있기 때문에 Samsung Display와 LG Display, BOE, JDI등 대부분의 업체들에서 Canon Tokki사의 증착기 발주를 원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Canon Tokki사의 증착기 제작 capa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어떤 panel 업체에서 먼저 선점을 할 지가 이슈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동시에 국내 증착장비 업체들의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1. 삼성 OLED TV

현재 TV 산업의 트렌드는 LCD에서 OLED로 이동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삼성디스플레이는 TV용 대형 OLED 패널 사업을 재개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SMS 증착 방식을 사용하는 RGB OLED 기술과 white OLED, solution process OLED 기술을 모두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지만 각 기술 마다 단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할지 고심하고 있다. 먼저, RGB OLED 기술은 아직 Gen8 원장 기판에 증착하기 위한 장비가 아직 확보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Solution process OLED 방식은 재료 성능이 낮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꼽히고 있다. White OLED 방식은 핵심 특허들을 LG디스플레이가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회피하는 기술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삼성디스플레이가 어떤 기술을 적용해 생산 라인에 투자하고 TV 시장에 진입할 것인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Reviewing 2015 OLED Industry through Keywords

  1. OLED TV

OLED TV, first released in Q4 2013, recorded approximately 50,000 units of shipment each in Q1 and 2 this year. The shipment increased to 100,000 units in Q3, more than twice the amount of each quarter in H1 2015. As it is estimated that close to 200,000 units were released in Q4, over 90% of LG Display’s 2015 target is expected to be achieved. This is considered to be showing price competitiveness against other TV as the price of OLED TV fell to 1/2 of the initial price and effectiveness of aggressive marketing emphasizing the advantages of OLED TV compared to newly released LCD TV. In Q3 earnings results announcement, LG Display revealed their plan of 1,000,000 units of OLED TV panel shipment in 2016 and forecast OLED TV’s growth. For the industry, 2015 has been the year that secured foothold for OLED TV’s market expansion.

 

  1. Galaxy S6 Edge

At the time of Galaxy S6 and Galaxy S6 Edge’s release, Samsung Electronics estimated the initial supply to be 50:50. However, Galaxy S6 Edge showed 70% in actual demand and this led to shortage in supply. Samsung Display met the demand by starting flexible AMOLED line operation earlier than scheduled. 2015 proved future market growth potential by opening consumers’ wallets through designs possible only with flexible AMOLED panel.

 

  1. Samsung Display Supply Diversification

During the Q3 earnings announcement, Samsung Display revealed their plan to expand non-Samsung clients by 30%. Accordingly, in Q3, when smartphone market’s growth was expected to slow down, the sales performance improved by 13% compared to its previous quarter through key client’s new product release and expansion of client base. Particularly, the market occupation of AMOLED panel shipped toward China is analyzed to have increased within the global mobile market as Chinese set companies released AMOLED panel equipped smartphones.

 

  1. Apple’s OLED Application

Apple, which has been using LCD panel for all products, first applied flexible AMOLED panel, produced by LG Display, to 2015 smartwatch Apple Watch and drew much attention. In H2, Apple diversified suppliers by using Samsung Display’s flexible AMOLED panel. This move is analyzed to be groundwork for flexible OLED application to smartphone following smartwatch. 2015 has been a year with much interest in when flexible AMOLED panel equipped iPhone will be released.

 

  1. OLED Lighting

Global OLED lighting industry went through a great transformation in 2015. OLEDWorks announced they will acquire key parts of Philips’ OLED lighting business, relevant production facilities, and intellectual property. With this take over, OLEDWorks greatly expanded business through widened product portfolio and simultaneous lighting panel mass production in the US and Germany. LG Chem. transferred OLED lighting business to LG Display. The value of transfer is 1.6 billion KRW, and it is seen to be a strategy to increase competiveness by transferring the business to LG Display with their OLED panel mass production knowledge and to focus on existing materials business. The take over and business transfer of the main players in OLED lighting industry, OLEDWorks and LG Chem., are following their own business strategy. However, following these moves, related investment is expected to be delayed for some time and eyes are on how these will affect the OLED lighting business overall.

 

키워드로 돌아보는 2015 OLED 산업

  1. OLED TV

2013년 4분기부터 출시된 OLED TV는 2015년 1, 2분기에 각 약 5만대가 출하되었고 3분기에 10만대가 출하되면서, 3분기에만 상반기 각 분기별 출하량의 약 두 배 이상을 출하했다. 또한 4분기에도 20만대 가까이 출하한 것으로 예상되어 LG Display의 2015년 목표의 약 90%이상이 달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OLED TV의 가격이 초기 가격의 절반 가량으로 하락하면서 다른 TV와의 가격 경쟁력이 생겼고, 새롭게 출시되는 LCD TV보다 OLED TV의 장점을 부각시키는 공격적인 마케팅이 시장에서 발휘되고 있다는 신호로 보인다. LG Display는 지난 3분기 실적발표회에서 2016년 OLED TV용 패널 출하량을 100만대로 발표하면서 OLED TV의 성장을 예고했다. 업계 관계자들에게 2015년은 OLED TV의 시장 확대의 발판을 마련한 시기였다.

 

  1. Galaxy S6 Edge

Samsung Elec.은 Galaxy S6와 Galaxy S6 Edge를 출시할 당시 초기 물량을 5대5로 예상했었다. 하지만 실제 수요량에서 Galaxy S6 Edge가 70%를 차지하면서 공급 부족 현상이 일어났다. 때문에 Samsung Display에서 flexible용 AMOLED line을 예상 시점보다 앞당겨 가동하여 수요량을 충족시킬 수 있었다. 2015년은 flexible AMOLED 패널로만 구현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 소비자들의 지갑을 열게 하여 앞으로 시장 성장성을 증명해 준 한 해였다.

 

  1. Samsung Display 공급 다변화

Samsung Display는 지난 3분기 실적발표회에서 외부 거래선을 30% 확대할 계획을 밝혔다. 이에 따라 smart phone 시장의 성장 둔화가 예상되었던 3분기에 주요 거래선의 신제품 출시와 공급처 확장을 통해 매출 기준 지난 분기 대비 13% 성장의 실적 개선을 이루었다. 특히 중국향 AMOLED 패널은 중국 set 업체들의 AMOLED 패널을 탑재한 smart phone의 출시가 되면서, 세계 모바일 시장에서 점유율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2015년의 Samsung Display 공급 다변화는 Samsung Display의 실적을 다시 성장세로 올리면서 AMOLED 패널이 모바일 display 시장 규모를 확대할 수 있었다.

 

  1. Apple OLED 적용

지금까지 모든 제품에 LCD 패널을 적용해왔던 Apple이 2015년에 출시된 smart watch제품인 Apple watch에 LG Display의 flexible AMOLED 패널을 처음으로 적용하여 큰 관심을 모았으며, 하반기에는 Samsung Display의 flexible AMOLED 패널도 공급받음으로써 공급업체 다변화를 이루었다.  Smart watch에 이어서 smart phone에도 flexible OLED를 적용하기 위한 포석으로 분석되며, flexible AMOLED 패널이 적용된 iPhone의 출시 시점에 대한 관심이 높았던 한 해였다.

 

  1. OLED Lighting

2015년 전세계 OLED 조명 산업은 큰 변화를 겪었다. OLEDWorks는 Philips의 OLED lighting 핵심 사업부와 관련된 생산시설, 지적 재산권을 인수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인수로 제품 포트폴리오를 넓히고 미국과 독일에서 동시에 조명 패널을 양산하는 등 사업규모를 크게 확장했다. 또한 LG Chem.은 OLED 조명 사업을 LG Display에 양도했다. 양도가액은 1,600억원으로 OLED 패널 양산에 대한 노하우가 풍부한 LG Display에 관련 사업을 이관해 경쟁력을 높이고 기존 소재 사업에 더 집중하겠다는 전략으로 분석된다. OLED 조명 산업의 main player인 LG Chem.과 OLEDWorks의  사업 양도와 인수는 각 사업전략에 따른 것이지만 이에 따라 당분간은 관련된 투자가 지연될 것으로 보이며 이런 움직임들이 OLED 조명 산업 전반에 어떤 영향을 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Korea’s Last PMOLED Company to Fade into History?

NeoView Kolon, a subsidiary merged by Kolon Group in order to foster electronics business in 2001, is known within the industry to close down the PMOLED sector on December 31.

 

NeoView Kolon established factory in Hongseong, South Chungcheong Province of South Korea in 2003 and began PMOLED mass production. At this point, Samsung SMD (the current Samsung Display) and LG Electronics were also mass producing PMOLED. Other PMOLED producing companies included Korea’s Orion, Japan’s Futaba, and Tohoku Pioneer, and China’s Visionox. However, Samsung SMD stopped PMOLED business and sold manufacturing equipment to China’s Truly, and Samsung Display began AMOLED business from 2007. Subsequently, LG Electronics also closed down PMOLED sector and merged OLED related personnel to LG Display and launched AMOLED business. Orion was sold to China’s Changhong.

 

With the active application of AMOLED to Samsung Electronics’ Galaxy series, global PMOLED business began to rapidly shrink, and in order to maintain business, PMOLED companies pushed ahead with OLED lighting panel business.

 

NeoView Kolon entered into the automotive instrument panel business with PMOLED transparent display, but this business was also not easy. Furthermore, as the factory location is Hongseong, deep in the countryside, there was high turnover of employees and difficulty in technology development and recruitment. Despite the investment of over 100,000 million KRW, the company showed continued deficit.

 

NeoView Kolon turned into a financial sinkhole for Kolon Group and worsened the Group’s financial structure, leading to persistent discussion of selling or withdrawal of the business. Recently, Samsung Display is actively pushing forward the transparent AMOLED panel business. As such, transparent display business value for Kolon decreased, and it is estimated that this led to the decision of closing down the business.

한국의 마지막 PMOLED 기업 역사의 뒷길로 사라지나

코오롱 그룹이 전자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2001년 계열사로 합병한 네오뷰 코오롱이 이번달 31일자로 사업을 정리하는 것으로 업계에 알려져 있다.

네오뷰 코오롱은 2003년 충청남도 홍성에 공장을 설립하고 PMOLED를 양산하기 시작하였다. 이 당시만 해도 삼성SMD(현 삼성디스플레이)와 LG전자에서도 PMOLED를 양산하고 있었다. 그 외에 기업들로서는 한국에서는 오리온전기, 일본에서는 Futaba와 Tohoku Pioneer, 중국에서는 Visionox가 PMOLED를 생산하고 있었다. 하지만 삼성SMD가 PMOLED 사업을 정리하며 장비를 중국의 Truly에 매각하고 2007년부터 삼성디스플레이가 AMOLED를 시작하자 LG전자 역시 PMOLED 사업을 정리하고 OLED 관련 인력을 LG디스플레이에 합병하며 AMOLED 사업에 착수하였다. 오리온전기는 중국 Changhong에 매각되었다.

삼성전자 갤럭시에 AMOLED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함에 따라 전세계 PMOLED 사업은 극도로 위축되기 시작하였고, PMOLED 업체들은 사업을 유지하기 위해 PMOLED 기술로 제작 가능한 조명용 OLED 광원 사업을 추진했다.

네오뷰코오롱은 PMOLED로서 투명디스플레이를 만들어 자동차용 계기판 사업에 뛰어 들었으나 이 사업 역시 녹녹치 않았다. 설상가상으로 공장 입지 조건이 홍성이었기 때문에 인력 유출이 빈번히 발생하여 기술 개발과 양산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어 왔으며 천억원 이상의 자금을 투자하였지만 만년 적자에 시달려 왔다.

네오뷰코오롱은 어느덧 코오롱 그룹의 돈 먹는 하마가 되어 그룹 재무 구조를 악화 시키는 문제아가 되어 사업 매각 또는 철수가 계속 거론 되었다. 특히 최근에 삼성디스플레이에서 투명 AMOLED 패널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하자 더 이상 투명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도 사업성이 보이지 않게 되자 사업 중지를 결정하게 된 것으로 추정 된다.

 

[2015 OLED Evaluation Seminar] Can LG Display and Samsung Display Become OLED Market’s Rule Maker?

By Hyun Jun Jang

 

At 2015 OLED Evaluation Seminar (December 4) hosted by UBI Research, UBI Research’s president Choong Hoon Yi gave a talk titled AMOLED Panel Industry Trend and Market Forecast discussing OLED industry until 2015 and forecasting 2016 OLED market.

 

Yi presented 2 issues related to flexible OLED. The first issues he discussed was regarding foldable types in foldable display. Yi explained that in-folding is where display is placed inside and out-folding has display on the outside, and revealed that in-folding type is mainly being developed. He also added that these technologies will be useful in FinTech (financial technology: new form of financial technology using mobile, social network, big data, etc.).

 

According to Yi, another issue for flexible display is film applic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yield of flexible display, film has to replace cover glass. However, this could lead to unpleasant touch sensation and Yi emphasized technology such as polishing has to be applied to improve this to convince the consumers.

 

Regarding the market, Yi estimated that the total global smartphone market will grow to record approximately 2,000 million units until 2020, with Samsung Electronics’ 400 million units. He also estimated that the OLED display proportion of Samsung’s Galaxy series will continue to increase and that most of Galaxy products will have AMOLED panel in 2019. Of this, Yi announced that flexible OLED and rigid OLED are to record approximately 280 million units and 120 million units respectively. He also forecast that the OLED TV market will grow into approximately 11 million units and that materials and equipment companies will rapidly grow.

 

At present, the display market is entering low growth state, and companies are focusing on strengthening the market competitiveness through new technology development and production potential increase. Samsung Display is actively striving to increase OLED panel’s supply for external companies. LG Display announced 1.84 billion KRW investment for world’s largest OLED focused P10 factory and other areas.

 

Yi reported that as flexible OLED evolves, the mobile display resolution competition of the present will disappear, and he estimated that as LTPS-LCD market decreases, the sales of related panel companies, such as BOE, Sharp, JDI, and LGD, will diminish.

 

Yi also told the audience that he is expecting Samsung Electronics to put OLED TV on the market from 2018 and the sales of the companies, Sharp, AUO, and CSOT, that were supplying them with LCD panels will fall. Essentially, he explained that as the OLED market grows, LCD dealing companies’ position will weaken which will lead to the strengthening of OLED panel production and related companies’ position.

 

When asked about the future of Korean display panel companies, Yi replied that when LCD and OLED are competing, set companies decides the market. However, if OLED can unite the market, Yi emphasized that the display panel will be rebranded as Rule Maker and LG Display and Samsung Display will be in its center.

 

 

[2015 OLED 결산 세미나] LG 디스플레이와 삼성 디스플레이, OLED 시장의 ‘Rule Maker’로 거듭날까?

12월 4일 유비산업리서치가 개최한  ‘2015 OLED 결산 세미나’에서 유비산업리서치의 이충훈 대표는 ‘AMOLED 패널 산업 동향과 시장 전망’이라는 강연을 통해 2015년까지의 OLED 산업을 정리하고 2016년 OLED 시장을 전망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대표는 플렉시블 OLED와 관련된 두 가지 이슈를 발표했다. 첫번째 이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로 폴더블의 종류에는 안쪽에 디스플레이가 나오는 인폴딩과 바깥쪽에 디스플레이가 나오는 아웃폴딩 방식이 있다고 밝히며 현재 주력으로 개발하고 있는 방식은 인폴딩 방식이라고 발표했다. 또한 이런 기술들이 앞으로 ‘FinTech(Financial과 technology의 합성어. 모바일, SNS, 빅데이터 등의 첨단 기술을 활용해 기존 금융 기법과 차별화 된 새로운 형태의 금융기술을 의미한다.)’ 에 유용하게 쓰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또 다른 이슈로는 필름 적용이라고 밝혔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수율을 올리기 위해서는 커버글래스를 빼고 대신 필름을 깔아야 하지만 이 경우 터치 촉감이 안 좋아질 수 있기 때문에 촉감을 높이기 위해 폴리싱 등의 기술이 적용되어야지 소비자들의 마음을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시장과 관련해서 이 대표는 2020년까지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이 약 2,000M대까지 성장할 것이며 이 중 삼성전자는 약 400M를 차지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또한 갤럭시 시리즈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중 OLED의 비중은 점점 늘어나 2019년에는 대부분의 galaxy 제품이 AMOLED panel을 탑재할 것 예상했다. 이 중 플렉시블 OLED는 약 280M, rigid OLED는 약 120M가 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OLED TV 시장도 2020년까지 약 1,100만대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어 재료나 장비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현재 디스플레이 시장은 저성장 국면에 접어들고 있어 각 업체들은 신기술 개발과 생산성 증대를 통해 시장 경쟁력 강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삼성 디스플레이는 본격적으로 OLED 패널에 대한 외부 업체 공급 활성화에 나서고 있으며, LG디스플레이는 세계 최대 규모로 OLED 중심의 P10 공장 건설 등에 총 1조 8,400억원 규모의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플렉시블 OLED가 발전할수록 현재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경쟁은 자연스럽게 없어지게 될 것이라고  전망하며, LTPS-LCD 시장이 축소되어 관련 패널 업체인 BOE와 Sharp, JDI, LGD의 매출이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한 삼성전자도 2018년부터 OLED TV 판매를 시작할 것으로 전망하며 삼성전자에 LCD 패널을 공급하던 Sharp와 AUO, CSOT 매출이 줄어들 것이라고 밝혔다. 결론적으로 OLED 시장이 커질수록 기존에 LCD를 취급하던 업체들의 입지가 약화될 것이고 OLED 패널 생산과 관련된 업체들의 입지가 크게 강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디스플레이 패널 업체가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이 대표는 LCD와 OLED가 시장을 주도하였을 때는 set업체들이 시장을 결정지었지만 OLED가 시장을 통합하게 된다면 디스플레이 패널 업체가 ‘Rule Maker’로 거듭날 것이라고 강조하며 그 중심에는 LG 디스플레이와 삼성 디스플레이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Planar Aims for Transparent OLED Product Mass Production in Feb 2016

On November 30 (local time), a US based display production company Planar held an online presentation titled ‘Planar Look Thru OLED Transparent Display Webinar’, discussing transparent display traits and disclosing specifications for products which are estimated to be mass produced from February 2016.

 

Transparent display is defined as a display with see-through screen showing objects behind the display as well as the display contents. Recently, it is receiving much attention as a technology with high potential for diverse applications expanding existing display industry.

 

Planar explained that unlike the existing display, transparent display pixels are separated into transparent and emitting areas with RGB subpixels located in the emitting area. Planar clarified that what is black on general display becomes see-through and white becomes opaque.

 

Transparent display’s performance is decided by several factors such as transmittance, brightness, and color gamut. Regarding this, Planar revealed that the transmittance of transparent display is not fixed but can be affected by ambient light; brighte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higher the transmittance. Additionally, viewers have tendency to perceive the display with higher color gamut as brighter than the actual brightness, and transparent display’s color gamut is therefore an important factor.

 

In early 2015, Planar revealed a 55inch transparent OLED display prototype. At present, Planar is receiving pre-order and aiming for mass production in February 2016. The company also reported basic specifications for the panel: 45% of transmittance, 100% color gamut, and Full HD (1,920×1,080) of resolution. The product also has 5 input sources: 4 HDMI terminals, and 1 display port.

 

During the webinar, Planar explained that 32 touch points using IR (infra-red) touch system installation is an option. Although this is less accurate than touch system using touch film, Planar explained that this was an unavoidable choice in order to increase the transmittance. They also added that they are continuing research for new touch system application.

 

The 55inch panel price starts from under USD 15,000 and Planar is currently receiving pre-order. Although there are many factors that affect transparent OLED’s lifetime, it was measured to be 20,000 hours at LT50. Answering the question on whether it is affected by UV light, Planar explained that it can be UV sensitive and the product was designed to be an indoor installation.

 

It is estimated that the transparent OLED panel used in the Planar’s product released is produced by Samsung Display as it has the same 45% transmittance, 1920×1080 resolution, and 400nit brightness.

 

Planar’s Transparent OLED Display to be Mass Produced  Source: Planar

Planar’s Transparent OLED Display to be Mass Produced Source: Planar

Planar, 투명 OLED 제품 2016년 2월 양산 목표

 

미국의 디스플레이 제조 업체인 Planar는 미 서부 시간 기준 11월 30일 오후 4시부터 진행된 ‘Planar Look Thru OLED Transparent Display Webinar’를 통해 투명 디스플레이의 특징을 논하고 2016년 2월부터 양산 예정에 있는 제품에 대한 정보를 공유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가 나타나는 영역이 투명해 디스플레이의 영상과 뒤의 사물을 함께 볼 수 있는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기존 디스플레이 산업의 범위를 넓히고 다양한 응용 제품을 창출할 수 있는 잠재가치가 매우 큰 기술로 최근 각광받고 있다.

Planar는 “투명 디스플레이는 일반 디스플레이와 달리 픽셀이 투과부와 발광부로 나누어진다.”고 밝히며 RGB 서브 픽셀은 발광부에 위치해 발광한다고 강조하며 일반 디스플레이의 블랙이 투명 디스플레이에서는 투명한 상태가 되며 화이트는 불투명 상태가 되는 차이가 있다고 밝혔다.

투명디스플레이의 성능을 결정짓는 요소들에는 투과율, 휘도, 색재현율 등이 있다. 이와 관련해서 Planar는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과율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외부광의 영향을 받는다고 발표하며 주변 휘도가 높을수록 투과율이 높다고 밝혔다. 또한 사람들이 높은 색재현율을 가진 디스플레이를 볼 때 원래 휘도보다 높게 지각하는 현상이 있다고 밝히며 이런 측면에서 투명디스플레이의 color gamut은 중요한 factor가 된다고 발표했다.

2015년 초 Planar는 55인치 투명 OLED 디스플레이의 시제품을 공개했다. Planar는 이 제품에 대한 예약주문을 받고 있으며 2016년 2월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당 패널의 기본적인 사양도 공개하였으며 45%의 투과율과 NTSC 100%의 색재현율, Full HD(1,920×1,080)의 해상도를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Input source로는 HDMI 단자 4개, display port 1개, 총 5개가 있다.

Planar는 “해당 패널에는 IR(Infra-Red) frame의 32개의 포인트로 동작하는 IR touch 시스템을 옵션으로 장착할 수 있다.”고 발표하며, “Touch film으로 작동하는 touch 시스템보다 정확도는 떨어지지만 투과도를 높이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으며, 새로운 touch 시스템 적용을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55인치 패널의 기본가격은 USD 15,000 미만부터 시작이라고 발표하며 사전예약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수명은 어떻게 되냐는 질문에 “투명 OLED의 수명을 결정하는 요소는 매우 많지만 기본적으로 LT 50에서 20,000시간의 수명을 가지는 것으로 측정되었다.”라고 밝혔으며 태양광에 대한 영향이 있냐는 질문에는 “OLED 물질은 태양광에 약한 특성이 있으며 양산예정에 있는 제품은 기본적으로 실내용으로 개발되었다.”라고 답변했다.

이번에 공개된 Planar의 제품에 사용된 투명 OLED 패널은 삼성디스플레이에서 공개한 투과율 45%, 해상도 1920 x 1080, 밝기 400 nit의 투명 OLED panel과 동일하기 때문에 삼성디스플레이의 투명 OLED panel을 적용한 것으로 예상된다.

양산예정에 있는 Planar의 투명 OLED 디스플레이

양산예정에 있는 Planar의 투명 OLED 디스플레이

유비산업리서치 “2015 OLED 결산 세미나” 개최

LCD에 대한 중국 디스플레이 기업들의 공격적인 투자에 대응하기 위해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는 flexible OLED와 TV용 대형 OLED 패널을 주축으로 OLED 사업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

LG 디스플레이는 ‘OLED 알리기’를 통한 공격적인 마케팅을 지속하고 있으며 삼성 디스플레이는 본격적으로 외부 업체 공급 활성화에 나서고 있다. 애플도 차기 제품에 OLED를 적용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OLED 시장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다가올 2016년의 OLED 사업의 동향과 방향제시를 위해 유비산업리서치(대표 이충훈)는 오는 12월 4일 서울 강남구 HJ컨벤션센터에서 『2015 OLED 결산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유비산업리서치 이충훈 대표이사는 한국기업을 중심으로 한 OLED 산업의 현재 현황을 분석하여 2016년의 OLED 사업 판도를 전망할 예정이다.

LG디스플레이 김정현 단장은 디스플레이 산업 시장 전망과 신시장 창출의 필요성과 미래 성장동력인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미래와 개발 동향에 대해 발표한다.

덕산네오룩스 강성기 전무는 Display의 개발 이력을 살펴보고, AMOLED용 유기재료에 대한 기술 개발에 대한 과거와 현재, 미래를 공유하고 산업계의 SCM및 기타 시장 정보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그 밖에도 △OLED 제조 기술 동향(순천향대학교, 문대규 교수) △OLED용 산화물 TFT 기술 동향(한양대학교, 박진성 교수) △ (고려대학교, 홍문표 교수) 대해 다뤄질 예정이다.

Korea’s Survival Hangs on OLED; Government Support is Urgently Needed

The last 5 years of budget for Korean semiconductor, which is a key industry for the nation, and display related industry’s original technology development expenses was researched and analyzed.

 

Electronic information device sector’s expenses can be categorized into semiconductor, display, LED/lighting, and evaluation maintenance fee.

 
In 2011, 130,000 million KRW was provided as technology development expense, but since then the amount annually decreased. In 2015, the amount was 95,000 million KRW, but in 2016, it is estimated to decrease further 42% and only 55,000 million KRW is expected to be provided.

 

weekly focus 1

 

weekly focus 2

 

weekly focus 3

 

 

Semiconductor funding for 2015 occupies 58% of the total budget with 54,800 million KRW. Although that amount will be reduced to 35,600 million KRW in 2016, it is expected to occupy 65% of the total funding.

 

For display section, the 2015 funding is only 19,500 million KRW, a 21% of the total budge. In 2016, this is estimated to fall to 17%.

 

The government funding for display sector, which is the core of Korean electronic information industry, is around the same level as LED/Lighting sector.

 

The rapid reduction of government funding for display industry is expected to cause much difficulty in future display business.

 

weekly focus 4

 

 

The Korean display panel market that is being maintained by 2 companies,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recorded 62 billion KRW in 2012. However, it fell to 52 billion KRW in 2014, and the market power is gradually weakening. As Chinese companies are becoming more active in LCD market, Korean companies’ price competitiveness is waning in low-priced panel market.

 

If BOE’s Gen10.5 line begins operation in 2018, Korean display companies’ market power is analyzed to rapidly fall in LCD market. In order for the Korean display business to take-off again, now is the time for the government to fund OLED panel which has high added value.

디스플레이 정부 과제 지원 현황

대한민국 핵심 산업인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관련 산업부의 산업원천 기술 개발 사업비의 최근 5년간 예산 현황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전자 정보 디바이스 분야에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LED/광, 평가관리비로 구성되어 있다.

2011년에는 1,300억 원의 기술 개발 사업비 지원이 있었으나 해마다 금액이 감소하여 2015년은 950억이 되었으나 2016년은 2015년 대비 42% 줄은 550억 원에 불과할 예정이다.

 

2015년 반도체분야 지원금액은 총 548억원으로 전체 예산 950억원의 58%를 차지하고 있으며2016년은 356억원으로 줄어드나 전체 지원금액 중 65%를 차지할 예정이다.

디스플레이 분야의 2015년 지원 금액은 195억원으로 21%에 불과하다. 2016년에는17%로하락할예정이다.

한국 전자정보산업의 핵심인 디스플레이 분야의 정부지원금액은 LED/광과 유사하게 유지되고 있다.

디스플레이산업에 대한 정부지원금액이 현격히 줄어들고 있어 차기 디스플레이 사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2사로 유지되고 있는 한국 디스플레이 패널 시장은 2012년 62조원을 형성하였으나 2014년에는 52조원으로 하락하며 점차 시장지배력이 약화되고 있다.

LCD시장에 중국기업들의 진출이 활발해짐에 따라 저가형 패널 시장에서 한국기업들의 가격경쟁력이 약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2018년 BOE의 Gen10.5라인 가동이 시작되면 LCD시장에서는 한국 디스플레이 기업들의 시장지배력이 급격히 하락할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이 다시 도약하기 위해서는 부가가치가 높은 OLED패널 개발에 정부의 지원이 절실한 시점이다.

 

삼성과 LG, OLED의 미래를 공유하다.

10월 27일부터 29일까지 미국 버클리에서 개최되는 OLEDs World Summit의 첫째 날,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는 연이어 발표에 나섰다. 삼성디스플레이의 이창훈 상무와 LG디스플레이의 임주수 OLED 기술전략팀장은 각각 ‘The Future of OLEDs’와 A Future Game Changer’라는 주제로 OLED에 대해 발표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이 상무는 먼저 발표에 나서며 모바일 시장 내에서 삼성디스플레이의 선도적인 역할과 삼성전자의 모바일 디스플레이가 이것을 어떻게 반영하였는지를 강조하였다. 이 상무는 사람의 눈의 구조와 다이아몬드 픽셀 구조 사이의 관계를 통해 일반 RGB픽셀 구조와 다른 삼성디스플레이의 다이아몬드 픽셀 구조를 설명하였다. 사람의 눈은 다른 색상보다 green에 더 민감하다. 다이아몬드 픽셀은 이런 특성을 반영해서 green 서브픽셀을 blue와 red 서브픽셀보다 2배 많도록 배치하여 형성한 픽셀구조다. 다이아몬드 픽셀 구조는 서브픽셀 packing을 최대화하고 PPI를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OLED 디스플레이의 이점에 대하여 이 상무는 삼성전자의 최신 스마트폰의 2가지 기능을 예시로 들었다. 먼저 AMOLED 디스플레이는 각 픽셀의 선택적 제어가 가능하다는 점을 말하며 삼성이 색약자를 돕기 위해 제공하는 Vision Aid라는 기술을 예로 들었다. 또한 OLED의 완벽한 블랙을 낼 수 있는 능력은 Super Dimming이라는 기술에 쓰여 어두운 환경에서 화면의 밝기를 2nit까지 줄일 수 있게 한다고 발표하였다.

LG디스플레이의 임 팀장은 미국의 성인들이 하루에 평균적으로 9시간 40분을 디스플레이를 보는데 쓴다고 밝혔다. 고품질 디스플레이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하며 임 팀장은 삼성의 발표와 마찬가지로 완전한 블랙, 3D효과, 높은 색재현률 등 LCD보다 나은 OLED 디스플레이의 이점들을 발표하였다.

이 부사장과 임 팀장 모두 미래 OLED 디스플레이로 투명이나 거울디스플레이보다 플렉시블(플라스틱)OLED를 좀 더 중점에 두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커버윈도우와 flexible backplane, touch sensor, encapsulation등 핵심 요소들에 대해 발표하였다.

LG디스플레이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디자인 자유도와 이것이 웨어러블과 모바일, 차량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했다. 임팀장은 또한 얼마나 OLED가 유연해질 수 있느냐가 가상현실(VR) 디스플레이 시장에 적용되는데 핵심적인 요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두 명의 발표자들은 OLED 기술과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이 새로운 디스플레이 시장과 혁신에 필요하게 될 것이라고 단언하여 발표를 마쳤다.

삼성디스플레이는 TV에는 LCD 패널을 계속 넣는 대신 투명·미러·플렉서블과 같은 차세대 제품에는 OLED 패널을 적용하는 투 트랙 전략을 고수하고 있으며, LG디스플레이는 중소형 OLED 시장과 OLED TV 패널 시장을 동시에 노리고 있다. 이번 발표를 통해 두 업체 모두 미래 성장동력인 OLED의 기술수준 향상에 집중할 것으로 보이며 특히 단기적으로는 플렉시블 OLED 개발에 중점을 둘 것으로 전망된다.

Samsung to Increase External Transaction by More Than 30%

Samsung Electronics reported a third-quarter earnings through a conference call on October 29 local time. Samsung Display’s Chang Hoon Lee revealed that OLED panel’s production cost can now compete against LCD and the company has plans to increase the external transaction ratio by more than 30% of yield.

The display business department was expected to have a difficult time in Q3 2015 due to the smartphone market’s slowdown of growth and latecomers’ competitiveness increase. However, with the key customer base’s release of new products and increase of new clientele, and secured operation ratio, the performance results improved.

Lee also revealed 2016 strategy of increasing the low-to-medium priced products, expanding the new market, diversifying products, and procuring transaction base. Lee also added that Samsung will prepare to secure new growth power through transparent, mirror, HUD, and automotive display development via technology leadership in areas such as flexible OLED.

It was also announced that the additional installation of OLED line will be decided after examining the market status. A3 line has been in operation since April. Supply competitiveness will be strengthened through complementary investment for existing line.

Samsung Electronics recorded a 6% in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quarter with revenue of USD 47 billion. With the help of currency exchange rate, business profit showed approximately USD455 million compared to the previous quarter with USD 6.7 billion.

Samsung and LG’s Shared Vision for OLED

On the first day of OLEDs World Summit (October 27-29) held in Berkeley, USA,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gave their talks back to back. Samsung Display’s Vice President Chang Hoon Lee and LG Display’s Joo Soo Lim discussed their thoughts on OLED under the titles of ‘The Future of OLEDs’ and ‘A Future Game Changer’ respectively.

Samsung Display’s Lee, who gave his presentation first, reiterated Samsung Display’s leadership position in the mobile market and how Samsung Electronics’ recent mobile display reflects this. Comparing RGB pixel structure and their own diamond pixel structure, Lee drew comparison between human eyes and diamond pixels; due to cell distribution in eyes, humans are more sensitive to green colors and that diamond pixels reflect this by having twice as many green subpixels as blue and red ones. The diamond pixels also maximize the sub-pixel packing and increases the PPI.

Regarding the advantages of OLED display, Lee gave 2 examples using Samsung Electronics’ latest smartphone models. Utilizing the fact that selective control of each pixel is possible in AMOLED displays, Samsung provided Vision Aid to help people with color blindness. OLED’s ability to achieve total black is used in Super Dimming function where screen brightness can be reduced to 2nits to be used in the dark environment.

LG Display’s Lim revealed that an adult in the US spends 9 hours 40 minutes a day on average looking at one form of display or another. Highlighting the need and importance of quality display, Lim also discussed advantages of OLED display over LCD such as total black, 3D effects, and color gamut.

As the future OLED display, Both Lee and Lim placed slightly more emphasis on flexible (plastic) OLED than transparent or mirror display. Samsung Display discussed requirements necessary for a successful flexible display in more depth touching on the need for suitable cover window, flexible touch (sensor), flexible encapsulation, and flexible backplane. On the other hand, LG Display discussed flexible display’s design freedom and its influences on the wearable, mobile, and automotive markets. Lim also placed much importance on how flexible OLED can be used in virtual reality display market. The 2 speakers ended their talks affirming the need for new display market and innovation through OLED technology and new applications.

The presentations given by the 2 apparent leaders in the OLED display industry were remarkably similar with both speakers underlining major points of OLED in broad strokes. The need for solutions for future OLED, whether it be flexible, transparent, or mirror display, through innovation and technological advances is an absolute truth if not maybe too obvious. There also may be some comfort to be had in the shared vision within the OLED community. However, it is also a fact that numerous attendees of the conference commented on the similarities of the 2 presentations and the lack of any surprises.

삼성, OLED 외부 거래선 30% 이상 늘릴 계획

삼성전자 DP사업부의 이창훈 상무는 29일 열린 컨퍼런스콜을 통해 OLED 패널 원가를 LCD와 경쟁할 정도로 확보하여 외부 거래선 비중을 생산량의 30% 이상으로 늘릴 계획을 밝혔다.

DP사업부는 2015년 3분기에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 둔화와 경쟁업체들의 성장으로 어려운 시장으로 예상되었었다. 하지만 주요 거래선의 신제품 출시와 신규 외부 거래선 확장, 가동률 확보를 통해 실적이 개선되었다고 발표했다.

이어 중저가 제품과 신흥 시장의 성장, 제품군 다변화, 고객 기반을 확보하는 2016년 전략도 밝혔다. 추가로 이창훈 상무는 ‘플렉서블 OLED 등의 기술 리더십으로 투명, 미러, HUD, 오토모티브용 디스플레이에 대한 개발로 신성장동력을 확보하도록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OLED 라인 증설에 대해서는 4월부터 A3 라인을 가동하고 있고 시장 상황을 보고 결정하겠다는 계획이다. 또한 기존 라인은 보완 투자를 통해 공급에 대한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답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51조 6,800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하여 전분기대비 6% 상승했다. 영업이익은 환율 효과에 힘입어 7조 3,900억원 규모로 지난 분기보다 약 5,000억원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Samsung Display Expands AMOLED Panel Supply. A Green Light for AMOLED Business?

On October 7, Samsung Electronics announced tentative Q3 performance results. The announced sales figure and operating profit are approximately US$ 46,000 million and US$ 7,000 million each. These figures are an increase of 5.07% from previous quarter’s sales (US$ 44 thousand million) and a 5.8% increase from previous quarter’s operating profit (US$ 6,000 million), much higher numbers than industry’s expectations.

 

Compared to the same period in 2014, operating profit increased by 79.80%, and since last year’s Q4, the rise is continuing for the 4th quarter. The display business department’s much higher figures than expected is considered to be the main reason for this performance increase.

 

The major cause for this positive effects is increase in demand for general class AMOLED panel through Samsung Display’s aggressive procurement of customer base; AMOLED panel is applied to Samsung Electronics’ mid to low priced smartphones and there is great increase in AMOLED panel applied products by set companies of other countries such as China.

 

Due to the increased demand, Samsung Display’s operation rate rose, and it is estimated that this will also greatly affect material companies’ performance improvement.

Samsung Display Shows OLED/LCD Confidence in IMID

In IMID Display 2015 Business Forum (October 14 – 15), Samsung Display Vice President Hak Sun Kim gave a presentation titled ‘New Experience with Large Screen LCD/OLED’ and discussed Samsung Display’s technological points and strategy regarding OLED and LCD.

 

Kim emphasized that in the current large area display panel market LCD and OLED should be approached through different points of view and strategies; LCD requires additional value on top of existing technology and OLED should develop a new market that LCD cannot reach.

 

At present, LCD is catching up to OLED in large area panel through diverse technology development. Kim revealed that the key factors in large area LCD panel are immersion and realism. Immersion can catch up to OLED through curved technology, and realism can be matched through contrast increasing technology.

 

Regarding OLED, Kim mentioned transparent and mirror OLED display, developed by Samsung Display, as examples and stressed that future display’s worth when switched off will become important. Different from LCD, OLED’s transmittance and emitting areas can be separated and increase the transmittance value above that of LCD; when applied to transparent display, adequate transmittance can be achieved. Additionally, when used as mirror display, OLED’s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act independently which makes it more suitable in application compared to LCD where the two act in inverse proportion.

 

In this IMID Display exhibition, Samsung Display presented 55inch ultra-slim UHD curved TV, transparent, and mirror OLED display simultaneously. It is estimated that Samsung Display will continue their 2-track strategy where they reveal both OLED and LCD in different applications. On October 14, Dong-gun Park, CEO of Samsung Display, announced that they will strive to continue leading the market through unrivaled OLED and LCD technology prowess.

삼성디스플레이, IMID에서 OLED/LCD에 대한 자신감 드러내다.

10월 14일 열린 IMID 2015 비즈니스 포럼에서 삼성디스플레이의 김학선 부사장은 ‘New Experience with Large screen LCD/OLED’라는 제목의 강연을 통해 OLED와 LCD 분야에서 축적해온 삼성디스플레이의 기술력에 대한 포인트와 전략에 대하여 발표하였다.

김 부사장은 현재 대면적 디스플레이 패널 시장에서 LCD와 OLED는 다른 관점과 전략을 가지고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LCD는 기존 기술에서 추가적인 가치를 부여해야 하고 OLED는 LCD가 할 수 없는 시장을 개척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된다고 밝혔다.

현재 LCD는 대면적 panel에서 다양한 기술 개발로 OLED의 성능을 따라잡고 있다. 김 부사장은 대면적 LCD panel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몰입감과 현실성이라고 밝히며 몰임감은 커브드 기술을 통해, reality는 명암비를 높이는 기술을 통해 OLED의 기능성을 따라잡을 수 있다고 발표하였다.

OLED와 관련해 김 부사장은 삼성디스플레이에서 개발한 투명, 미러 OLED 디스플레이를 예로 들며 앞으로의 디스플레이는 꺼져있을 때 어떤 가치를 지니느냐가 매우 중요해질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OLED는 LCD와 달리 투과영역과 발광영역이 분리가 가능하여 투과율을 LCD보다 높일 수 있어 투명 디스플레이로 활용했을 때 충분한 투과율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미러 디스플레이로 사용될 때도 OLED는 투과율과 반사율이 독립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투과율과 반사율이 반비례 관계에 있는 LCD보다 적용이 용이하다고 발표하였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번 IMID 전시회에서 55인치 초슬림 UHD 커브드 TV와 투명, 미러 OLED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전시하였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앞으로도 OLED와 LCD 각각을 다른 application에 적용해 시장에 공개하는 2-track 전략을 고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박동건 삼성디스플레이 사장은 14일 IMID 전시회에서 “삼성디스플레이가 보유한 OLED와 LCD에 대한 독보적인 기술력으로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AMOLED panel 공급 확대, AMOLED 산업 청신호?

7일 삼성전자가 3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공시한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51조원, 7조 3,000억원이다. 이는 지난 분기 대비 매출액(48조5,400억원)은 5.07%, 영업이익(6조 9,000억원)은 5.8% 증가한 규모로 업계의 예상실적을 많이 뛰어넘은 수치이다.

지난해 동기 대비해서 영업이익은 무려 79.80%나 증가했으며, 지난해 4사분기부터 4분기 연속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사업 부문이 시장 전망치를 크게 웃도는 수치가 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이번 실적 상승에 주요인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사업의 호조에 큰 영향을 준 요인은 삼성전자에서 출시하는 중저가형 스마트폰 라인에 AMOLED panel이 적용되고 중국 등 다른 국가의 set 업체에서 AMOLED panel을 적용한 제품 출시가 급증하는 등 삼성디스플레이의 공격적인 고객층 확보로 인한 보급형 AMOLED panel 수요량 증가가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이러한 수요량 증가로 삼성디스플레이의 가동률이 증가하였으며, 발광재료 업체들의 실적 개선에도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된다.

[IAA 2015] Audi and Porsche, Propose Future Models of Smart Car

At IAA 2015 (September 17 – 27), Audi and Porsche presented OLED lighting and display equipped vehicles.

 

In the past, Audi has proved OLED technology’s excellence through diverse models and demonstrations, including introduction of ‘swarm’ in 2013 with its 3D OLED car rear lighting panels. At this motor show, Audi revealed Audi e-tron quattro, the first concept car with Matrix OLED technology. As well as the Matrix OLED lighting, interior OLED display was also applied to the concept car. Audi explained that the Matrix OLED lighting, which was applied to the rear lighting, can continuously change lights and does not cast shadow. Full OLED interface was also applied to the car and all functions required in driving can be control by display touch. Audi revealed that they will gradually apply these technology to next generation Audi series.

 

Porsche presented their first four-seat electric sports car Mission E as a concept model. The instrument cluster for this concept car is displayed virtually in OLED. The menu can be activated through buttons on the handle. It can also be automatically activated as the cluster’s eye tracking system can perceive the driver’s attention. The display also follows the seat position and body attitude of the driver in what is known as a parallax effect; the display moves according to the driver’s posture for easier viewing. Porsche revealed that Porsche Car Connect technology will also be applied which will allow the user to control key functions of the vehicle through a smartphone.

 

As OLED using lighting and display are actively applied to smart cars, attention on the automotive OLED is also increasing. At the National Research Development Industry General Workshop, held in July 2015,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each stated their thoughts on display that will be applied to future smart cars.

 

Samsung Display’s executive director Hye Yong Chu asserted that smart is display’s future, including smart car. She also explained that for the actualization of smart technology, other ancillary smart technology, such as eye tracking and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are required.

 

Yoon Sooyoung, LG Display’s vice president, stated that automotive display can be used for CID, dashboard, cluster, and window, and that the development of transparent and flexible technology is necessary.

 

During the keynote session of IMID 2015, Munhyun Kim of Hyundai Motors revealed that OLED panels will mainly be applied to smart car compared to LCD as it can easily be flexible. He also added that the automotive OLED’s percentage within the total OLED market will increase, and anticipated that it will exceed 30% in 2017.

 

 

Porsche Mission E, Porsche Home page

Porsche Mission E, Porsche Home page

[IAA 2015] Audi와 Porsche, 미래의 스마트카의 모델을 제시하다.

17일부터 독일에서 개최된 2015 프랑크푸르트 모터쇼(IAA 2015)에서는 Audi와 Porsche가 OLED 조명과 디스플레이를 도입한 차량을 선보였다.

Audi는 과거 다양한 모델과 시연을 통해 OLED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한 바 있다. 특히 2013년도에는 3차원 입체 OLED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진 ‘SWARM’을 선보이기도 했다. 이번 모터쇼에서 Audi는 매트릭스 OLED 기술이 최초로 적용된 컨셉트카인 ‘Audi e-tron quattro’를 공개하였다. 컨셉트카에는 매트릭스 OLED lighting과 내부 OLED 디스플레이가 적용되었다. 매트릭스 OLED lighting은 후미등에 적용되었으며, Audi 측은 이 기술이 조광을 끊임없이 변화시킬 수 있으며 그림자를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콘셉트카에는 풀 OLED 인터페이스가 적용되어 자동차 운행에 필요한 모든 기능들을 물리적인 버튼 없이 디스플레이 터치로 조작할 수 있다. Audi는 이번 콘셉트카의 기술들을 차세대 Audi 시리즈에 점차적으로 적용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Porsche는 이번 모터쇼에 Porsche 최초의 4인승 전기 스포츠카인 ‘Porsche Mission E’라는 이름의 컨셉트카를 공개하였다. 이 컨셉트카의 클러스터에는 OLED display가 장착되어 가상이미지로 정보가 표시된다. 운전자는 핸들에 장착된 버튼을 조작해 원하는 메뉴를 활성화할 수 있으며 클러스터가 운전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아이트래킹 시스템이 있어 메뉴가 자동으로 활성화되기도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에는 좌석의 형태와 운전자의 자세에 따라 변형되는 패럴랙스 효과도 구현하였다. 운전자의 자세의 높이에 따라 원형 게시판이 반응하여 운전자가 잘 볼 수 있도록 움직인다. Porsche 측은 스마트폰을 통해 차량의 주요 기능 설정이 가능하게 하는 ‘Porsche Car Connect’ 기술도 함께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렇게 OLED를 이용한 조명과 디스플레이가 스마트카에 본격적으로 도입되면서 차량용 OLED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는 2015년 7월에 개최된 디스플레이 국가연구개발사업 총괄 워크샵에서 각각 미래 스마트카에 적용될 디스플레이에 대한 의견을 피력하였다.

삼성디스플레이의 추혜용 전무는 디스플레이의 미래는 스마트라고 밝히면서 스마트카도 그 중 하나라고 발표하였다. 또한 이런 스마트 기술들이 실현되려면 아이트래킹 기술과 음성인식 기술 등 부수적인 스마트 기술들도 뒷받침 되어야 된다고 밝혔다.

LG디스플레이의 윤수영 상무는 차량용 디스플레이는 CID, dash board, cluster, window에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투명과 플렉서블 기술의 발전이 필수적이라고 발표하였다.

8월 19일 IMID 2015의 keynote session에서 현대자동차의 김문현 상무는 LCD 패널보다는 플렉시블 구현이 용이한 OLED 패널이 미래의 스마트카에 주로 적용될 것이라고 밝히며 전체 OLED 시장 중 자동차용 OLED의 비중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2017년에는 30%이상이 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Porsche Mission E, Porsche Home page

Q2 AMOLED Market, the Largest So Far

According to UBI Research’s Weekly OLED Analysis Report, Q2 AMOLED panels recorded the largest shipment and sales so far. With 56 million units, the Q2 shipment increased by 35% in comparison with Q1, and a 19% increase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 US$ 2,800 million was recorded for sales, which is a 65% increase compared to its previous quarter.

 

Last quarter’s AMOLED market growth is due to Samsung Display’s AMOLED panel supply volume for Chinese set companies and increase in LG Display’s flexible OLED panel production for smartwatch.

 

Q2 AMOLED Shipment

Q2 AMOLED Shipment

2사분기 AMOLED 시장, 역대 최대

유비산업리서치의 [Weekly OLED Industry Analysis Report]에 의하면 2사분기 AMOLED 패널 출하량과 매출이 역대 최대 규모인 것으로 나타났다. 2사분기 출하량은 56백만대로서 1사분기 대비 35% 증가하였고, 지난해 동 분기 대비 19% 성장을 달성하였다. 매출액은 28억달러로서 전 분기 대비 65% 성장이다.

지난 분기 AMOLED 시장이 성장한 것은 삼성디스플레이의 중국 세트 업체용 AMOLED 패널 공급량과 LG디스플레이의 스마트 워치용 flexible OLED 패널 생산량 증가에 따른 것이다.

2사분기 AMOLED 출하량

General Class AMOLED Panel Estimated to be Extensively Supplied. How Will it Affect OLED Industry?

Only 2 models of smartphone with the general class AMOLED panel were released in the first 2 quarters of 2015. However, as 5 more models were revealed until August in the third quarter, it is expected that demand for general class AMOLED panel will gradually increase.

 

Currently 7 companies, including Samsung Display, are mass producing or aiming to mass produce small to medium-sized AMOLED panel of rigid type. China’s EDO or Taiwan’s AUO are believed to be producing in small quantity for samples. Other Chinese companies are also aiming to mass produce AMOLED panel but satisfying the current demand is analyzed to be difficult. At present, Samsung Display is the only panel company that can meet the demand for general class AMOLED panel by set companies. There is much interest in whether AMOLED industry can rebound with the Samsung Display’s movement in the second half.

 

It is expected that Samsung Display will increase operation rate of A1 and A2 rigid lines in the second half in order to meet the demand for general class AMOLED panel. Following this, emitting material companies’ sales increase is also anticipated and positively affect management of AMOLED industry’s ecosystem.

 

If the demand for general class AMOLED panel is higher than expected, there are some who believe that additional investment for A3 line could be for hybrid structure that can switch between rigid and flexible rather than flexible exclusive line.

 

There is much focus on how Samsung Display’s mass production and supply plans for general class AMOLED panel will affect the AMOLED industry growth.

 

General Class AMOLED Panel Applied Smartphone Released Until August 2015

보급형 AMOLED panel 공급 본격화 예상, OLED 산업에 미칠 영향은?

2015년 1사분기와 2사분기에 출시된 보급형 AMOLED panel을 적용한 스마트폰은 2종에 불과했지만 3사분기에 들어서며 8월까지 5종이 공개되어 보급형 AMOLED panel에 대한 수요가 점차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rigid type의 중소형 AMOLED panel을 양산 또는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는 업체는 Samsung Display등 7개 업체이다. 중국의 EDO나 대만의 AUO는 샘플수준으로 소량 생산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다른 중국 panel 업체들도 올해 AMOLED panel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당장의 수요를 충족시키기에는 어려울 것으로 분석된다. 보급형 AMOLED panel을 요구하는 set 업체들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panel업체는 현재 Samsung Display가 유일하다. 따라서 하반기 Samsung Display의 움직임에 AMOLED 산업이 다시 한번 탄력을 받을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Samsung Display는 보급형 AMOLED panel의 수요를 맞추기 위해 하반기 A1과 A2 rigid line의 가동률을 끌어 올릴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발광재료 업체들의 재료 매출 증가도 기대되어 AMOLED 산업의 eco-system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보급형 AMOLED panel의 수요가 예상보다 높아질 경우 A3 line에 대한 추가 투자가 flexible 전용이 아닌 rigid와 flexible 전환이 가능한 hybrid 형식으로의 투자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하반기 Samsung Display의 보급형 AMOLED panel 양산과 공급 계획에 따라 AMOLED 산업 성장에 탄력을 줄 수 있을지 기대된다.

2015년 8월까지 출시된 보급형 AMOLED panel이 적용된 스마트폰

 

Minus Growth for H1 OLED Material Market with Mere US$ 564 Million*

According to UBI Research, the 2015 H1 OLED material market recorded approximately US$ 564 million; this is a 14% increase compared to 2014 H2, but a 24% decrease against 2014 H1.

 

Despite reports that Samsung Electronics and LG Electronics are selling much larger volumes of flexible OLED applied Galaxy S6 Edge and OLED TV respectively compared to last year, the OLED material market is gradually stagnating.

 

The main reason for this OLED material market’s downward turn is Samsung Display’s operation level which remained stationary at 50% in H1. This led to stationary material usage compared to the year before. LG Display is producing flexible OLED and large size OLED panel for TV. However, approximately only 100,000 units of OLED panels were sold in H1 and material usage was also lowl. The current capa. is 34K but as the OLED material cost spent in H1 is approximately US$ 36 million, the operation rate is analyzed to be only 30% of the total capa.

 

The OLED material market is decreasing because the supply price is rapidly falling without increase in production volume. OLED material companies are frustrated at the 10-15% price decrease per quarter. At present, as the only clients are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material companies are compelled to reduce the price as the failure to do so could lead toward the termination of business. OLED material companies spend several thousands of millions of dollars annually on development to meet constant improvement demanded by clients. There is much difficulty for OLED material companies as display companies continue with one-sided demands without compensation regarding development cost.

 

For OLED industry to maintain its continued growth, it requires more than success of panel companies. Material companies that play a pivotal part within the industry have to continu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quality materials in order to create a healthy growth cycle. However, display companies are destroying the ecosystem.

 

What OLED material companies currently crave is for Chinese display companies to mass produce OLED panels as soon as possible.

 

* 1 USD = 1,100 KRW

 

OLED Material Market Revenue 2014 H1 – 2015 H1

OLED Material Market Revenue 2014 H1 – 2015 H1

상반기 OLED 발광재료 시장 2600억원에 불과한 마이너스 성장

유비산업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OLED 발광재료 시장 규모는 약 2600억원으로 전 반기대비 14% 상승했지만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했다.

올해에는 삼성전자가 flexible OLED를 탑재한 Galaxy S6 Edge를, LG전자에서는 OLED TV를 작년 보다 수십배 이상 판매하고 있다고 하지만 OLED 재료 시장은 점차 얼어 붙고 있는 실정이다.

OLED 재료 시장이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 선 것은 무엇보다도 OLED 대표 기업인 삼성디스플레이의 상반기 가동율이 50% 수준에 머물러 재료 사용량이 전년 동 반기 대비 늘지 않았기 때문이다. LG디스플레이는 flexible OLED와 TV용 대형 OLED 패널을 생산하고 있지만 상반기 OLED 패널 판매는 약 10만대에 불과하여 재료 소모량 역시 얼마 되지 않는다. 전체 capa는 34K이지만 상반기 구매한 OLED 재료비는 약 400억원 정도에 불과하여 가동율이 전체 capa의 30%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된다.

OLED 재료 시장이 줄어든 이유는 생산량 증가 없이 공급 가격만 심하게 깍이고 있기 때문이다. OLED 재료 업체들은 분기당 10~15% 가격이 인하되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현재로서는 수요 기업이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밖에 없는 실정이기 때문에 가격 인하에 불응하면 거래 자체가 단절될 수 있어 울며 겨자 먹기로 가격을 낮추고 있다. OLED 재료 업체들은 수요 기업들이 성능이 향상된 재료 개발을 끊임없이 요구하고 있어 연간 개발비가 수십억원 이상 소요되고 있지만 디스플레이 업체에서는 개발비에 대한 가격 보전 없이 일방적인 요구만 지속되고 있어 사업에 어려움이 심각하다.

OLED 산업이 지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패널 업체만 살아서는 유지될 수 없다. 산업을 지탱하고 있는 한 축인 재료 업체들이 좋은 재료를 끊임없이 개발하고 생산해야지만 선순환 구조로 산업이 성장할 수 있다. 하지만 디스플레이 업체들은  생태계를 완전히 망가뜨리고 있다.
OLED 재료 업체들이 현재 가장 바라고 있는 것은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들이 하루 속히 OLED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것이다.

반기별 OLED 발광재료 시장 실적 2014H1~2015H1

 

 

How Can Small and Medium-Sized OLED Panel Companies Survive?

With the great increase of interest in flexible OLED from China and Taiwan’s small and medium-sized panel companies, diverse issues related to this are emerging.

 

Recent smartphone trend is moving from high resolution and specs toward diverse designs such as curved or bendable/foldable and flexible display that can differentiate applications. AMOLED flexible display is currently being applied to smartphone and smartwatch. However, only 2 companies,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are supplying these high spec flexible AMOLED panel.

 

Small and medium-sized panel companies do not have the technology to mass produce high performance flexible AMOLED panel and cannot invest in mass production. For these reasons, Chinese and Taiwanese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are aiming for finding new applications where flexible PMOLED or low resolution flexible AMOLED can be applied and make mass production investment. Accordingly, set companies’ interest in flexible OLED applied application is also increasing.

 

Additionally, companies are in agreement that yield of flexible PMOLED that is applied to some smartbands does not meet demand. Taiwan’s wisechip and RiTdisplay, key PMOLED companies, are concentrating on developing flexible PMOLED and flexible OLED lighting. Taiwan’s AUO and Innolux, and China’s Visionox and EDO are also among those that are developing wearable flexible AMOLED.

 

Diverse application development where lower resolution flexible AMOLED, flexible PMOLED, or flexible OLED lighting, instead of expensive high-end smartphone and smartwatch, can be applied is essential. The outcome of this is forecast to greatly affect the growth of small and medium-sized OLED panel companies.

중소형 OLED panel 업체들의 살길은 어디?

중국과 대만의 중소형 panel 업체들의 flexible OLED에 대한 관심이 증폭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다양한 이슈들이 나오고 있다.

최근 스마트폰의 트렌드는 고성능 고해상도의 높은 스펙의 high-end panel에서 curved나 bendable/foldable 등의 디자인과 application을 차별화 시킬 수 있는 flexible display 적용에 업체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flexible display로서 AMOLED가 smart phone과 smart watch에 적용이 되어 출시되고 있지만 이러한 고스펙의 flexible AMOLED panel을 공급하고 있는 업체는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두 업체에 불과하다.

중소형 패널업체 입장에서는 이러한 고성능의 flexible AMOLED panel 양산할 기술이 없을뿐더러 양산에 투자할 여력이 없기에 중국과 대만의 중소형 업체들은 flexible PMOLED나 저해상도의 flexible AMOLED이 적용될 수 있는 신규 application을 발굴하고 양산 투자를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세트업체들의 flexible OLED를 적용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현재 smart band 일부에 적용되는 flexible PMOLED는 생산이 수요에 못 미치고 있다는 것이 업체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대표적인 PMOLED 업체인 대만의 wisechip과 RiTdisplay는 flexible PMOLED와 flexible OLED lighting에 대한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AUO와 Innolux, 중국의 Visionox와 EDO등도 wearable용 flexible AMOLED에 대한 개발을 진행 중이다.

고가의 high-end smart phone과 smart watch가 아닌 저해상도의 flexible AMOLED나 flexible PMOLED, flexible OLED lighting등이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application 발굴이 앞으로 중소형 OLED panel업체들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Analyst Column] LG Display Q2 Earnings Analysis and Signification of Flexible OLED Investment

Dr Choong Hoon Yi, UBI Research Chief Analyst, ubiyi@ubiresearch.co.kr

 

On July 23, LG Display announced its earnings results at LG Twin Towers in Yeouido, South Korea. LG Display reported that their Q2 sales recorded approximately US$ 5,700,000,000 with business profit of approximately US$ 420,000,000.

 

Although sales fell by approximately US$ 260,000,000 (-5%) compared to the previous quarter, it was an increase of US$ 620,000,000 (12%) compared to the year before. Business profit showed approximately US$ 210,000,000 decrease (-34%) QoQ, and YoY US$ 280,000,000 increase (206%).

 

0805 graph1

 

LG Display’s sales and business profit of Y/Yo (green line) showed U shape of trend of growth in previous 5 quarters but this quarter recorded a fall. It is analyzed that the growth could slow down from 2H 2015.

 

The drop of the LG display’s Y/Yo growth in this 2Q is much attributed to smartphone market’s slow down and TV market reduction. It is also estimated the panel price reduction due to Chinese display companies’ aggressive investment is reflected.

 

0805 graph2

 

 

For LG Display to stop the degrowth, mass production of products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competition, is urgently needed, away from LCD panel that is LGD’s current major business.

 

On the day, LG Display’s management announced approx. US$ 900,000,000 investment for Gen6 flexible OLED line in order to lead flexible OLED market. The investment location is Gumi factory. Investment location is Gumi factory with the initial investment of 7.5K. It is expected world’s second flexible OLED exclusive line will established following Samsung Display. It is anticipated that up to 15K will be established for this line.

 

Considering last year’s LG Display’s business profit was approx. US$ 1,100,000,000, the US$ 900,000,000 flexible OLED investment is very large. The investment decision must have been very difficult. However, the reasons for LG Display’s drastic flexible OLED exclusive line investment are because companies that produce LTPS-TFT LCD (LGD’s existing main market) is increasing, and because Samsung Display is already monopolizing rigid OLED market and therefore difficult to secure market share.

 

LG Display’s CFO Kim Sang-don explained that flexible OLED Gen6 line investment was decided at the board of directors meeting on July 22, and was made official on the morning of July 23. Kim added that the decision was reached so that LG Display can lead the OLED business in terms of technology and to occupy initial market in foldable and rollable technologies. He also commented the monthly capa. of the flexible OLED line will be 7.5K.

 

Regarding large area OLED panel, it was emphasized that this year’s panel production target remains to be 600,000 units and 1,500,000 units next year, same as the ones announced during the Q1 earnings results presentation. It was also revealed that 34K, approximately 9K higher than current capa., will be in operation in 2016. Addressing the concern of oversupply of next year’s 1,500,000 units while the OLD TV market is still small, LG Display suggested the solution of increasing the demand by active promotion from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Despite the fall of mid to large size panels’ sales price, from the enlargement of sets and AIT technology applied sales performance, the business profit of approximately US$ 4,000 million was recorded. This is a 34% de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quarter but a 199% increase from the same period in 2014. LG Display estimates that the sales will increase in the third quarter due to seasonal factors and panel’s enlargement trend.

Korean Government, Will It Give Up Its Top Spot in Display Industry?

Recent Samsung Electronics and LG Electronics’ TV and smartphone performance results are causing experts to be concerned over degrowth.

 

The axis that is centering Korean industry is dependent on these 2 companies and Hyundai Motor Company. In the 20th century when technology skills were lacking, Korean government and these 3 companies closely cooperated and coordinated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 cultivation. The low value of KRW invigorated the 3 companies’ export business. Strong government support allowed development of products that could compete against Japanese products occupying the international market. The potential that allowed the companies to overtake Japanese firms that were dominating electronics industry and increase the international market share was based on Korean government’s diverse interest and enthusiastic backing.

 

Japan’s display industry collapsed due to several reasons. Their pride that that latecomers including Korea will not be able to catch up to their technology, the discontinuation of investment by overlooking the need of the 21st century of information for display market, and the disregard of latecomers’ price competitiveness can be attributed to the collapse.

 

Korean display companies gave up on Gen10 investment in LCD business and began localization in China though establishing Gen8 LCD factory in China. However, Chinse display companies, with the backing of their government in large scale, continue to invest despite the deficit.

 

If BOE’s Gen10.5 LCD factory is complete, China will lead the global industry in terms of yield, and overtake Korea through China’s domestic market and price competitiveness. Now there are only 2 years left. It is only a question of time before Korea’s LCD industry falls apart.

 

The only thing that is left for Korean display industry is OLED. As Korean display industry plays an important role in Korean economy, the decline of display industry will have direct impact on employment, export, and domestic market.

 

However, Korean government is currently ignoring display industry. LCD and OLED have been excluded from WTO’s tariff elimination. China, which is rapidly becoming a new contender in display industry, has agreed with the U.S. to exclude LCD and OLED advocating protection of Chinese market and industry, and other countries followed. China is adding 5% tax for 32inch products or larger;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are operating LCD factories in China in order to be exempt. The labor force is moving away from Korea to China. Korea’s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is overlooking the importance of Korea’s display industry.

 

To make matters worse, Korean government has no tax regarding manufacturing equipment. When display companies import expensive manufacturing equipment, no tax is added. Recently, due to a low exchange rate of the yen, Japanese companies’ price competitiveness is 1.5 times higher than several years ago. At a time when Korean manufacturing equipment companies are losing heavily in the competition against Japanese, Korean market is actually giving up the market to Japanese companies.

 

For example, if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have saved 10,000,000 USD on the purchase of manufacturing equipment, the result is Korean companies’ loss of 100,000,000 USD. Although 10,000,000 USD is a large amount of money to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the consequential loss of 100,000,000 USD for Korean manufacturing equipment market is even more immense.

 

The Korean display ecosystem that has been carefully established is being destroyed by its own government.

 

Although Korean government is paying lip service to build strong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in actuality, it is giving small amount of money to large companies and continuing to ignore smaller Korean manufacturing equipment companies. For the future of the smaller Korean manufacturing equipment companies struggling against the weak yen, a system of where they can at the very least survive in domestic market is needed.

 

Job creation for the young engineers requires more consideration for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rather than large companies that can thrive without any help.

 

[Analyst Column] LG Display, 2사분기 실적 분석과 flexible OLED 투자 의미

이충훈 / Chief Analyst

7월 23일, 여의도 LG 트윈타워에서 LG Display의 실적 발표회를 개최하였다. LG Display의 지난 2사분기 매출은 6.71조원이며 영업이익은 0.49조원을 달성했다고 보고했다.

매출은 지난 분기 보다 0.31조원 감소(-5%)하였으나 지난 해 동분기 보다는 0.73조원 증가(12%)한 실적을 달성하였다. 영업 이익에서는 지난 분기 대비 0.25조원 감소(-34%), 지난 해 동 분기 대비 0.33조원 증가(206%)한 수치이다.

LG Display는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지난 5분기 동안 Y/Yo(초록색 선)가 U자 커브의 성장세를 나타내었으나 이번 분기에서는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2015년에는 LG 디스플레이의 성장세가 둔화될 조짐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LG Display의 2사분기 Y/Yo 성장세 꺾임은 성장세를 유지하던 smart phone 시장 성장 둔화와 TV 시장 감소에 의한 요인이 가장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되며 더불어 중국 디스플레이 기업들의 공격적인 투자에 의한 패널 가격 하락이 반영된 결과로 예상 된다.

LG Display가 하락 성장을 멈추기 위해서는 현재 주력 사업인 LCD 패널 위주에서 경쟁 업체들과 차별화할 수 있는 제품의 대량 생산이 시급할 것으로 분석된다.

이날 LG Display의 경영진은 플렉서블 OLED 시장 선도를 위해 1조 500억원 규모의 Gen6 플렉서블 OLED 라인 투자 결정을 공시했다. 투자 위치는 구미 공장이다. 초기 투자는 7.5K로서 삼성디스플레이에 이어 세계 2번째로 flexible OLED 전용 라인이 만들어질 예정이다.  이 라인은 추후 15K까지 증설될 것으로 예상 된다.

LG Display의 지난 해 영업 이익이 약 1.35조원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flexible OLED에 1조원을 투자하는 것은 매우 큰 금액이다. 투자 결정에 매우 어려움이 컸을 것이다. 하지만 LG Display가 flexible OLED 전용 라인 투자를 과감하게 결정한 것은 기존 주력 시장인 LTPS-TFT LCD를 생산하는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미 rigid OLED에서는 삼성디스플레이가 독점 시장을 확보하고 있어 시장 확보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LG Display의 CFO 김상돈 전무는 “Flexible OLED Gen6 line 투자가 어제 이사회에서 결정되었고, 오늘 아침에 공시되었다”라고 말하며 “OLED 사업에서 기술적인 우위를 가져가기 위한 결정이었고 foldable이나 rollable 기술에서도 시장 선점을 할 것이다”라고 투자 결정의 이유를 설명했다. Flexible OLED line은 월 7.5K가 가동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면적 OLED panel 관련해서는 지난 1분기 실적 설명회 때 밝힌 것과 같이 올해 패널 생산 목표는 60만대, 내년 150만대임을 다시 한 번 강조하였다. 또한 2016년에는 현재 가동되는 capa.보다 약 9K 이상인 34K가 운영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아직 OLED TV의 성장이 크지 않아 내년 150만대에 대한 공급 과잉의 우려에 대해서는 올해 하반기부터 적극적인 프로모션 활동을 통해 수요를 늘리겠다는 방안을 제시했다.

한편 LG Display는 중대형 패널의 판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세트의 대면적화와 AIT 기술을 이용한 실적 덕분에 영업이익은 4조 8,800억원을 기록하였다. 이는 전분기 대비 34% 하락한 수치이지만 작년 동분기 대비 199% 오른 수치이다. 3분기 실적에 대해서는 계절적 요인과 패널 대형화 트렌드가 매출 상승에 기인할 것으로 보여진다고 발표했다.

한국 정부, 디스플레이 산업 세계 1위 타이틀 이대로 내어줄 것인가

최근 업계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보도되는 삼성전자와 LG전자의 TV와 smart phone 실적 성장에 대한 기대보다 감소에 대한 우려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한국 산업을 지탱하고 있는 축은 이들 두 회사와 현대자동차를 포함한 3개사에 의존하고 있다. 기술력이 없던 20세기에는 한국 정부와 이들 3개사가 긴밀히 협조하여 제품 개발과 시장 개척에 호흡을 같이 했다. 낮은 원화 가치는 이들 기업들의 수출에 활력을 불어 주었고, 강력한 정부 지원에 의한 제품 개발 역시 일본이 전세계 시장을 차지하던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제품이 나올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가전 왕국으로 불리어져 왔던 일본 기업들을 제치고 세계 시장에서 점유율을 올릴 수 있었던 저력은 한국 정부의 다양한 관심과 적극적인 지원이 밑바탕이 되었다.

일본 디스플레이 산업이 붕괴된 것은 일본 기업들이 한국을 비롯한 후발국들의 기술 추격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자만과 21세기에 다가오는 정보화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장을 간과하여 투자를 중지한 것, 마지막으로는 후발 기업들의 가격 경쟁력을 무시한 것이 이유이다.

한국 디스플레이 기업들 역시 일본 기업들의 전철을 밟아가고 있다. 디스플레이 사업의 특징은 장비를 대형화한 대량 생산에 의해 재료비와 고정비등 제조 단가를 줄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투자 중지는 곧 가격 경쟁력 상실을 의미하게 된다.

한국 디스플레이 기업들은 LCD 사업에서 Gen10 투자를 포기하고 막대한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는 중국에 Gen8 LCD 공장을 설치하고 현지화에 나섰으나 중국 디스플레이 기업들은 적자에도 불구하고 중국 정부의 막대한 지원을 등에 업고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BOE가 추진하고 있는 Gen10.5 LCD 공장이 완공되면 생산량은 중국이 세계 1위로 등극하게 되며, 중국 내수 시장과 가격 경쟁력으로 중국이 한국을 넘어서게 된다. 이제 불과 2년 정도 남았다. 한국 LCD 산업이 붕괴되는 것은 이제 시간 문제이다.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남은 것은 OLED 뿐이다.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은 한국 경제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산업 쇠락은 고용과 수출, 내수 시장에 직격탄을 안겨주게 된다.

하지만 현재 한국 정부는 디스플레이 산업에 대해서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 세계 무역 기구(WTO)가 LCD와 OLED를 관세 철폐 품목에서 제외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신흥 강국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중국이 자국 시장과 산업 보호를 내세워 LCD와 OLED를 제외하기로 미국과 합의하고 다른 국가들이 동조한 것이다. 중국은 32인치 이상의 제품에 대해 5%의 관세를 부가하고 있기 때문에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는 관세를 물지 않기 위해 중국에서 LCD 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한국에서의 고용이 중국으로 옮겨지고 있다. 산업통상부는 한국의 디스플레이 산업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간과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한국 정부는 장비 수입에 대해서 관세를 철폐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업체가 고가의 장비를 해외에서 수입할 때 관세를 폐지해주는 것이다. 최근 엔저로 일본 기업들의 가격 경쟁력은 수년 전에 비해 1.5배 정도 높아져 있다. 한국 장비 업체들은 해외에서 일본 장비 업체와의 경쟁을 통해 막심한 출혈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국내 시장은 오히려 일본 기업들에게 시장을 내주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장비 구입에 100억원을 절약했다고 하면 국내 장비 업체는 1000억원의 시장을 뺏기는 결과를 초래한다.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에 100억원이라는 금액은 큰 금액이자만, 이로 인해 잃어버리는 약 1000억원의 국내 장비 업체들의 시장은 상대적으로는 어마어마한 수치이다.

이제까지 애써 키운 국내 디스플레이 에코 시스템을 한국 정부가 스스로 망가뜨리고 있다.

한국 정부는 말로는 항상 강한 중소 기업을 키우자고 노래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대기업에게 푼돈 안겨주고 한국 중소 장비 업체들의 사업에 대해서는 여전히 뒷짐지고 있다. 엔저와 힘겹게 싸우고 있는 한국 중소 장비 업체들의 미래를 위해서는 최소한 자국 시장에서만은 생존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젊은 엔지니어의 고용 창출을 위해서는 스스로 자생할 수 있는 대기업보다는 중소 장비 업체에 대한 배려에 더욱 노력해야 한다.

A3 Line Operation Capacity Pushes Down Galaxy S6 Edge Price

The price of Galaxy S6 Edge, which initially exceeded approximately US$ 1,200 when released, recorded US$ 739 in second week of July 2015 (source: www.amazon.com). This is more than a 40% decrease in price in about 3 months, and it is analyzed that this is 5% greater price reduction than Galaxy S6, and approximately 13% greater than Galaxy Note 4 Edge.

The period where the decrease is highest is between third and fourth week of April with approximately 23% drop. The biggest reason for this is analyzed to be active operation of A3 line from April. As A3 line began mass producing Galaxy S6 Edge flexible AMOLED panel, the supply shortage issue improved, and yield and productivity increased more than existing flexible AMOLED panel applied to Galaxy Note 4 Edge.

Samsung Display’s current flexible AMOLED panel mass production lines are a section of A2 line and A3 line. It is expected that investment that will convert a part of rigid panel A2 line to flexible will be carried out and the line will be in operation in the second half of 2015. Following this, from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flexible AMOLED panel mass production capacity will further improve and it will become easier to acquire the panels. The industry’s attention is focused on how Samsung Display’s flexible AMOLED line investment will affect the sales of future flexible AMOLED panel applied Galaxy models.

Galaxy S6 Series Price Change Comparison

A3 line의 힘, Galaxy S6 Edge 가격 급하락

출시 초기 약 US$ 1,200을 넘었던 Galaxy S6 Edge의 가격이 7월 2주차 기준 US$ 739로 나타났다. (source : www.amazon.com) 약 3개월동안 40% 이상의 가격하락을 보인 것으로 Galaxy S6보다는 5%, Galaxy Note4 Edge보다는 약 13%가 높은 가격하락을 보인 것으로 분석 됐다.

가격하락폭이 가장 높았던 구간은 4월 3주에서 4주차사이로 약 23%로 가격이 급감하였다. 이러한 가격하락의 가장 큰 요인은 작년 말부터 투자가 이루어진 A3 line이 4월부터 본격 가동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A3 line에서 Galaxy S6 Edge용 flexible AMOLED panel이 양산되면서 공급부족이 해소되기 시작되었고, Galaxy Note4 Edge에 적용된 이전 flexible AMOLED panel보다 수율과 생산성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Samsung Display의 flexible AMOLED panel 양산라인은 A2line 일부와 A3 line이 있으며, 기존 rigid용 A2라인의 일부를 flexible로 전환하는 투자가 진행되어 하반기에 가동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올 하반기부터는 flexible AMOLED panel의 양산능력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예상되며,  flexible AMOLED panel의 물량확보가 더욱 용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Samsung Display의 flexible AMOLED line 투자를 통한 효과가 차기 flexible AMOLED panel이 적용된 Galaxy 모델의 판매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업계의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Galaxy S6 series의 가격 변화 비교

 

China’s Gen10.5 Investment, Korean Display Companies’ Countermeasure?

At the 10th National Research Development Industry General Workshop in Display (8-10 July) in Muju, South Korea, industry-academy experts gathered and held a discussion on the future display strategy under the heading ‘Korean Display Industry Crisis, What is the Solution?’.

 

At the previous keynote speech, vice president of LG Display, Yoon Sooyoung explained that the key points for the third revolution will be design innovation, design freedom differentiated though real image, and picture quality that can closely resemble visual reality. He also added that the third display is OLED that can actualize various advantages such as transparency, flexibility, and high picture quality at once, and considering material/component and mass production technology status, OLED will also be able to achieve competitive prices soon.

 

Samsung Display’s executive director Hye Yong Chu forecast next generation display will be smart display, human friendly, holographic, and disruptive innovation. Particularly she estimated that thorough size and design innovation, flexible display will be able to create new application and market and that flexible OLED will form the core.

 

The shared opinion of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key Korean display companies, at the keynote session was Korean display industry’s need to lead the next generation display market in order to prepare for China’s pursuit and requirement of activ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from industry-academy to achieve this.

 

During the panel discussion that followed the keynote session, many different opinions were suggested regarding Korean display industry status from academy-industry. Of China’s BOE’s Gen10.5 investment, Samsung Display’s Chu disclosed that investment at the right moment was more important than preemptive investment; the focus will be curved and edge display market expansion and widening the technology gap with latecomers, and investment will be carefully considered before making a decision. LG Display’s Yoon also explained that areas where cost innovation are possible are limited even with investment is carried out as the current display market is different from previous ones. He added that Gen10.5 investment has to be deliberated and emphasized that focus should be on how to make OLED competitive.

 

Against the China’s aggressive investment on Gen8 or higher,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s positions are analyzed to be of same opinion of carefully considering investment while pioneering the market maximizing the existing technology prowess.

 

미래 디스플레이 전략 대토론회

 

중국의 10.5세대 투자, 한국 display업체 대응책은?

7월 8일부터 10일까지 무주에서 개최되는 제 10회 디스플레이 총괄 워크샵에서 산학연의 전문가들이 모여 “한국 디스플레이산업의 위기, 그 해법은?”이라는 주제로 미래 디스플레이 전략 대토론회를 가졌다.

앞선 기조연설에서 LG Display 윤수영 상무는 “Display의 세번째 혁명에는 design innovation과 real image로 기존과 차별화된 디자인 자유도와 눈으로 보는 것과 가장 근접하게 표현할 수 있는 화질이 핵심이 될 것”이라며 “제 3의 display는 투명과 flexible, 고화질 등 다양한 장점을 한번에 구현 할 수 있는 OLED이며, 소재/부품과 양산 기술의 진행상황을 고려했을 때 조만간 가격 경쟁력도 갖출 수 있을 것”이라 발표했다.

Samsung Display의 추혜용 전무는 “차세대 display는 smart display, human friendly, Holographic, disruptive innovation등이 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특히 “Flexible display는 size와 design innovation을 통해 새로운 application과 시장을 창출할 수 있으며 flexible OLED가 핵심이 될 것”으로 내다 봤다.

이번 기조연설에서 한국 display 산업의 핵심 업체인 Samsung Display와 LG Display의 공통 의견은 중국의 추격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을 주도 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산학연의 적극적인 참여와 co-work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기조연설에 이어 진행된 패널 토론회에서는 최근 핫 이슈인 산학연의 입장에서 한국 display산업의 현 상황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되었다. 특히 중국 BOE의 10.5세대 투자와 관련하여 Samsung Display의 추전무는 “지금 산업에서는 선제투자보다는 적기투자가 더욱 중요하다며, curved와 edge display의 시장 확대와 후발업체들과의 기술격차를 벌리는 것에 초점을 맞추되 투자는 신중히 결정할 것”이라 밝혔다. LG Display의 윤상무도 “현재 display 시장은 예전시장과 다르기 때문에 투자를 진행한다 해도 cost 혁신을 이룰 수 있는 부분이 제한적이다. Gen10.5에 대한 투자는 신중해야 한다”며 “OLED로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집중할 것”이라 강조하였다.

중국의 8세대 이상의 공격적인 투자에 맞서 한국의 양대 산맥인 Samsung Display와 LG Display의 입장은 투자에는 신중하되 현재 가지고 있는 기술력을 최대한 개발/활용하여 시장을 개척한다는 공통적인 입장으로 풀이된다.

[Expert Talk] Professor Ho Kyoon Chung of Sungkyunkwan University, Talks OLED Lighting’s Future

Professor Ho Kyoon Chung, a chair professor of Sungkyunkwan University who previously held a position of head of Samsung Display research lab, developed products at the OLED display development forefront while in the industry. He is a world renowned OLED expert who is, at present, concentrating on flexible OLED lighting development at university.

 

Professor Chung is developing flexible OLED lighting together with Korean material companies, lighting company, and Germany’s Fraunhofer Society. Chung is pursuing development of flexible OLED lighting that can produce white light via CCL (color change layer) made with fluorescence and QD materials on top of R2R evaporator produced blue emitting material on stainless steel substrate.

 

Chung considered the automotive flexible OLED lighting application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flexible OLED lighting’s success. Most of the companies that are currently developing OLED lighting use multi stack structure as they are aiming for high efficiency device to compete against LED.

 

However, Chung pointed out the condition required for OLED lighting to enter the market is production cost rather than efficiency.

 

Chung emphasized that reducing the OLED lighting production cost is a priority and explained that many lighting companies that he has met wanted lower priced panels as OLED lighting is not used in everyday life even with high OLED lighting efficiency. Chung mentioned that in order to achieve this OLED structure needs to be simple more than anything. The OLED structure that Chung is developing is the simplest structure that uses only the blue layer. Therefore if the development is successful the production and investment cost can be massively reduced.

 

What is Professor Chung’s flexible OLED lighting growth solution?

 

The rear lamp and interior lights of automotive that current vehicle makers are pursuing use batteries, and does not require high efficacy products unlike other lightings. For these reasons, Chung explained that automotive lighting is the best market where OLED lighting with simple structure can be applied, and forecast the best product that can place the lighting following the curved design is flexible OLED lighting.

 

On the other hand, Chung revealed that there are some difficulty in technology before flexible OLED lighting can be commercialized and form a market worth billions of USD. Blue emitting material was named as the most necessary part, an analysis that material’s color purity and efficiency are not quite enough for the blue material to produce white light. The second is encapsulation technology and materials. Chung indicated that the important aspect in attaching the gas barrier to the device is high moisture proof adhesive material and passivation technology. He also stated that speedy equipment is required.

 

Professor Chung concluded that flexible OLED lighting is certain to represent Korean IT industry following display industry, affirming his passion to continue in his effort in making sure flexible OLED lighting grows into an axis of OLED industry. He did not forget to add an entreaty for the materials and equipment companies to press on in their development.

 

 

[인물 탐방] 성균관대학교 정호균 교수가 바라보는 OLED lighting의 미래

삼성디스플레이 연구소장을 역임하고 성균관대학교 석좌교수로서 재직하고 있는 정호균교수는 기업 시절에는 OLED 디스플레이 개발 최전선에서 제품을 개발하였으며, 현재는 학교에서 flexible OLED lighting 개발에 집념하고 있는 OLED 분야의 세계적인 거장이다.

정교수는 한국 재료 업체들과 조명 업체,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소와 함께 flexible OLED lighting을 개발하고 있다. 정교수가 추구하는 flexible OLED lighting은 stainless steel 기판상에 청색 발광재료를 R2R 증착기로서 제작하고 그 상층에 형광체와 QD 재료를 혼합한 CCL(color change layer)로서 백색광을 낼 수 있는 광원을 개발 중에 있다.

정교수가 전망하는 flexible OLED 사업 성공은 자동차용 램프에 채택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뽑고 있다. 현재 OLED lighting을 개발하고 있는 기업들은 LED와 경쟁하기 위해 대부분 고효율 소자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어 multi stack 구조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정교수가 제안하는 OLED lighting이 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필수조건은 효율 보다는 제조 단가라고 지적했다.

정교수가 만나본 많은 조명 업체들은 OLED lighting의 효율이 아무리 높아도 실생활에서는 다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낮은 가격의 광원 제품을 원하고 있어, OLED lighting 단가를 낮추는 노력이 가장 필요함을 강조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OLED 구조가 단순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정교수가 개발하고 있는 OLED 구조는 청색 층만 사용하는 가장 단순한 구조이기 때문에 개발 성공 시에는 제조 단가와 투자비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

정교수가 예상하는 flexible OLED lighting의 성장 솔루션은 무엇일까?

정교수는 현재 자동차 메이커들이 추구하는 tail lamp와 실내등은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 조명과는 달리 고효율 제품을 요구하지 않아 단순 구조의 OLED lighting이 적용될 수 있는 최적의 시장이며, 특히 외부와 내부가 모두 곡선으로 처리되어 있는 디자인을 따라 조명을 배치할 수 있는 최상의 제품은 flexible OLED lighting이라고 예상하였다.

다만 flexible OLED lighting이 상업화되어 수조원대의 시장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아직 기술적으로 해결해야 할 어려움이 있음도 솔직히 언급하였다. 가장 필요한 부분으로서는 청색 발광재료를 꼽았다. 청색 발광재료에서 백색광을 내기 위해서는 재료 자체의 색 순도와 효율이 아직은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두 번째는 봉지 기술과 재료이다. Gas barrier를 소자 상층에 접착시킬 때 중요한 요소는 방습 특성이 높은 접착재료와 passivation 기술임을 언급하였다. 물론 공정 속도가 높은 장비도 필요함을 피력하였다.

정교수는 마지막으로 flexible OLED lighting은 디스플레이 산업에 이어 한국 IT 산업의 꽃이 될 것임을 확신하며 남은 연구 기간 동안 이제까지 쌓아온 모든 노하우를 동원해서 반드시 flexible OLED lighting이 OLED의 한 축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열정을 보였다. 더불어 발광재료를 비롯한 재료 업체들과 장비 업체들이 더욱 분발해 주기 바라는 당부도 잊지 않았다.

Korea, China, and Japan’s OLED TV Alliance to Boost the Market

Korean companies had been leading the OLED TV industry. Before SID 2015 (31 May – 5 June), LG Display and Samsung Display had been the only companies to reveal 4K OLED panels, and until now, LG Electronics has been the only company to sell 4K OLED TV in large quantity. In terms of OLED TV market, despite OLED’s superior characteristics compared to LCD regarding contrast ratio, high viewing angle, fast response time, and thinness, the market share has been limited mostly due to its relative high price. However, this is expected to change soon.

 

LG Electronics has been pushing for OLED TV alliance and corporation with Chinese and Japanese companies. As a result, Chinese and Japanese companies resolved to jump into OLED TV market from the second half of 2015. Japan’s Panasonic and Sony are expected to release OLED TV for the first time later this year. China’s Skyworth, Changhong, Konka, and Hisense are expected begin sales from this fall.

 

Consequently, the number of set companies producing 4K OLED TVs will increase to 7 by the end of 2015. LG Display, the only company that can mass produce OLED panel with 4K resolution, is planning to increase production by 4 times this summer to supply these new to OLED TV set companies.

 

As mentioned above, until SID 2015, LG Display and Samsung Display had been the only companies which showed 4K OLED panels, and with LG Display being the sole company able to mass produce 4K OLED panels. However, in SID 2015, AUO showed their own 4K OLED panel during an author interview session, and CSOT and BOE presented paper on 4K resolution OLED panel. This signifies they possess technology needed for OLED panel production, and with proper investment they can begin mass production.

 

Soon LG Display will no longer be the lone supplier of OLED panels contributing toward increase in shipment of OLED panels and OLED TVs. This will naturally lead to lower cost for consumers and energize OLED TV market.

 

auo1

한국과, 중국, 일본의 OLED TV 동맹, OLED TV 시장 본격 개화

OLED TV 산업은 지금까지 한국 기업들이 이끌어 왔다. 미국 산호세에서 열린 SID 2015 (5/31~6/5) 전까지는 LG디스플레이와 삼성디스플레이가 4K OLED 패널을 공개한 유일한 패널업체였고, 현재까지 OLED TV를 대량으로 판매하는 업체는 LG전자가 유일하다. 그 동안, TV 시장에서는 OLED가 LCD보다 명암비와, 시야각, 응답속도, 두께에 관하여 우월하나 비교적 높은 가격으로 인해 시장점유율이 제한되었다. 하지만, 이제 이는 곧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 동안, LG전자는 OLED TV 동맹으로 중국, 일본 업체들과의 협력을 추진해 왔다. 그 결과 중국과 일본 업체들은 2015년 하반기부터 OLED TV 시장에 뛰어들기로 하였다. 일본의 파나소닉과 소니는 올해 하반기에 OLED TV를 처음으로 출시할 예정이며, 중국의 스카이워스와, 창훙, 콩카, 하이센스는 이번 가을부터 판매를 시작할 계획이다.

결과적으로 2015년 말까지 4K OLED TV를 생산하는 세트업체는 7개로 늘어난다. 4K 해상도의 OLED 패널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유일한 업체인 LG디스플레이는 OLED TV 생산을 시작하는 세트업체들에 공급하기 위해 올 여름 생산량을 4배 증가시킬 예정이다.

위 언급한 내용과 같이, SID 2015까지 4K OLED 패널을 공개한 업체는 LG디스플레이와 삼성디스플레이가 유일했고, 이 두 업체 중 LG디스플레이만이 4K OLED 패널을 대량 생산 할 수 있다. OLED TV를 생산할 세트업체는 늘어나고 있지만 패널 공급업체는 LG디스플레이 한 곳으로서 장기적으로 봤을 때 추가적인 공급업체가 더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SID 2015에서 AUO는 author interview 시간에 4K OLED 패널을 선보였고, CSOT와 BOE는 4K OLED 패널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 이는 AUO와 CSOT, BOE가 OLED 패널 제작에 필요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적절한 시기에 투자가 이루어진다면 대량생산을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앞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OLED TV 수요에 맞춰 LG디스플레이뿐 아니라 후발 업체들 또한 OLED TV용 패널을 양산할 것으로 기대되어 OLED 패널과 OLED TV 출하량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발전은 소비자에게는 낮은 가격으로 연결될 것이고 OLED TV 시장은 활성화 될 것이다.auo1

Apple’s Next iPhone, Can Flexible OLED Be Applied?

Smartphone’s hardware performance has improved as much as possible and can no longer be the differential point within the market. Following this, Samsung’s Galaxy Note 4 Edge and S6 Edge, and LG’s G-flex series are differentiating themselves from existing products through flexible (plastic) AMOLED panel applied new designs and functions. Particularly, Galaxy S6 Edge’s higher than anticipated demand means that the ratio between total Galaxy S6 and S6 Edge demand was expected to be approximately between 8:2 and 7:3, but at present it is estimated to be 5:5. To meet this demand, Samsung Display began actively operating A3 line, and carried out investment to convert A2 rigid line to flexible line.

As interest in flexible OLED is rising within the next generation smartphone market, there is much talk that Apple will also apply flexible OLED to the next product. UBI Research’s Flexible OLED Annual Report, published on 18 June, analyzed Apple’s flexible OLED application potential and forecast scenario.

According to the Flexible OLED Annual Report, other than Samsung Display, LG Display is the only company with the technology to mass produce flexible AMOLED. Japan Display and AUO also possess flexible AMOLED production technology and with investment, mass production is analyzed to be possible. Therefore, for the Apple to apply flexible OLED to the iPhone series to be released in 2017, the Gen 6 flexible AMOLED line investment of LG Display, Japan Display, or AUO has to be carried out within 2015. However, as Japan Display and AUO’s mass production technology has not been verified, depending on the currently mass producing LG Display’s Gen 6 line investment timing the flexible OLED applied iPhone release date will be decided.

As the results of analyzing future model’s ship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iPhone series’ sales progress so far, to meet the demand for Apple’s flexible AMOLED applied model’s shipment in 2020, approximately 170K monthly capa. by Gen 6 (considering operation and yield rate) is needed. Considering the recent trend of 20K capa. per 1 line, 8 or 9 flexible AMOLED line are required, and Apple’s future flexible AMOLED line investment is estimated to be actively carried out.

On the other hand, flexible AMOLED market is forecast to grow at 57% CAGR from 2016, and show approximately US$ 35,000 million revenue in 2020.Flexible AMOLED Panel Market Forecast

Apple의 차기 iPhone, Flexible OLED 적용할 수 있을까?

스마트폰 시장에서 하드웨어성능은 높아질 만큼 높아져 더 이상 차별화 포인트가 될 수 없어졌다. 이에 따라 Samsung의 Galaxy Note4 Edge와 S6 Edge, LG의 G-flex 시리즈는 기존의 flexible(plastic) AMOLED panel을 적용하여 새로운 디자인과 기능으로 기존 제품과 차별화 하고 있다. 특히 Galaxy S6 Edge는 기대보다 높은 수요를 보이고 있어 전체 Galaxy S6와 S6 Edge의 비율을 약 8:2 에서 7:3정도로 예상했었지만 현재는 약 5:5 정도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Samsung Display에서도 물량을 맞추기 위해 A3 line의 본격 가동하고 A2 line의 rigid line을 flexible line으로 전환투자를 진행하였다.

이처럼 차세대 스마트폰 시장에서 flexible OLED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Apple도 차기 제품에 flexible OLED를 적용할 것이라는 소문이 무성하다. 유비산업리서치에서 18일에 발간한 “Flexible OLED Annual Report”에서는 Apple의 flexible OLED 적용 가능성과 예상 시나리오를 분석하였다.

Flexible OLED Annual Report에 따르면, Samsung Display 이외에 flexible AMOLED를 양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가진 업체는 LG Display가 유일하며, Japan Display와 AUO도 flexible AMOLED 제조 기술을 보유하여 투자가 이루어진다면 양산은 가능할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Apple이 2017년에 출시될 iPhone series에 flexible OLED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LG Display와 Japan Display 또는 AUO의 Gen6 flexible AMOLED line 투자가 2015년 안에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았다. 하지만 Japan Display와 AUO의 양산 기술은 검증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 양산을 진행하고 있는 LG Display의 Gen6 line 투자 시점에 따라 flexible OLED가 적용된 iPhone을 볼 시점이 정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iPhone series의 그 동안의 판매 추이를 분석하여 앞으로 출시될 신 모델의 출하량을 분석한 결과, 2020년 Apple의 flexible AMOLED가 적용된 모델들의 출하량을 소화하기 위해서는 Gen6 기준 월 약 170K(가동률과 수율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추세가 1 line당 20K인 것을 감안하면 약 8~9개의 flexible AMOLED line이 필요한 것으로, Apple 향(向)의 flexible AMOLED line 투자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flexible AMOLED 시장은 2016년부터 연평균 57%로 성장하여 2020년에 약 US$ 35,000 million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내다봤다.

Samsung Display Reveals World’s First 55inch Transparent OLED and Mirror OLED Display

Samsung Display showcased their technology with world’s first 55inch transparent OLED and mirror OLED display.

 

In Retail Asia Expo 2015 (9 – 11 June) held in Hong Kong Convention & Exhibition Centre, Samsung Display presented transparent and mirror type OLED in 55inch large size. Retail Asia Expo is Asia’s largest exhibition that showcases retail solutions from international exhibitors. It is the first time that transparent and mirror OLED panels have been presented in this size. This exhibition is significant in that Samsung Display is demonstrating their leadership in innovative display technology.

 

Samsung Display’s transparent OLED showed 45% transmittance, FHD resolution, and 100% NTSC, improved specifications compared to existing commercialized/revealed transparent LCD in terms of transmittance and color gamut. Samsung Display announced that this transparent OLED is able to show clear screen closer to normal glass.

 

In mirror display, higher the reflectance level, lower the sense of anomaly with cloudiness. Mirror OLED showed 75% of reflectance level, which is at least 50% higher reflectance than competitive mirror LCD. This product has minimum 100,000:1 contrast range with response time of under 1ms, compared to LCD’s 4,000:1 and 8ms respectively, and can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Samsung Display also presented transparent and mirror OLED applications. For transparent OLED, Automobile Real Sense Solution was showcased. The display is placed next to cars to provide information, as well as show what the car would look like with or without certain optional extras.

 

Similarly, display called Magic Mirror showed application for mirror OLED. A display that can be used in jewelry stores, consumers can see reflections of themselves wearing the necklace or earrings without having to wear them. It is expected that this technology will be used in fashion and beauty industries.

 

Samsung revealed that using Intel’s RealSense solution, face, motion, and background recognition technology, highly realistic AR (augmented reality) can be actualized. “Samsung has a long legacy of leadership in technology innovation for digital signage, as well as for other applications, and we are now leading the next wave of digital signage advancement with our Mirror and Transparent OLED display solutions,” said Oseung Yang, vice president, Samsung Display Company. “We are very excited to help bring a new interactive dimension to the world of multi-channel shopping through the integration of our newest OLED displays with Intel’s RealSense technology,” he added.

Samsung Display’s 55inch Transparent OLED Display, Source: Samsung Display

삼성디스플레이, 세계 최초 55인치 투명 OLED와 미러(Mirror) OLED 디스플레이 공개

삼성디스플레이가 세계 최초로 55인치 투명 OLED와 미러(Mirror) OLED 디스플레이를 공개하며 기술력을 과시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홍콩 컨벤션센터에서 6월 9일부터 열린 리테일 아시아 엑스포에서 55인치 대형 화면으로 투명 및 미러형 OLED를 선보였다. 리테일 아시아 엑스포는 전세계의 소매유통제품을 전시하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전시회이다. 투명, 미러형 OLED 패널을 55인치 대화면으로 공개된 것은 처음이다. 이번 공개는 삼성디스플레이가 혁신적인 디스플레이 기술을 선도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삼성 디스플레이의 투명 OLED는 45%의 투과율, 풀HD 의 해상도, 100% 색재현력(NTSC 기준)을 갖추었다. 기존에 상용화되거나 공개된 투명 LCD보다 투과율과 색재현력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보여진다. 삼성디스플레이 측은 이번에 선보인 삼성의 투명 OLED는 일반 유리에 가까운 선명한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고 밝혔다.

미러 디스플레이에서 반사율이 높을수록 관찰자는 뿌옇고 답답한 이질감을 덜 느낄 수 있다. 미러 OLED는 75%의 반사율을 갖추었으며, 이는 기존에 있던 미러 LCD보다 50% 가량 우수한 반사율이다. 또한 이 제품은 최소 100,000:1의 명암비와 응답속도 1ms이하로, LCD(4000:1, 8ms) 보다 높은 성능을 구현해 다양한 application으로 적용가능하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패널과 함께 투명과 미러 OLED를 적용한 application들도 공개하였다. 먼저 투명 OLED를 이용하여 ‘오토모바일 리얼센스 솔루션(Automobile Real Sense Solution)’를 전시하였다. 이를 통해 소비자는 실제 자동차를 직접 보면서 제품의 상세한 정보와 기능, 옵션의 탈부착 모습까지 투명 OLED로 확인할 수 있다.

미러 OLED로는 ‘매직 미러(Magic Mirror)’라는 것을 선보였다. 주얼리 매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고객은 ‘매직 미러(Magic Mirror)’를 통해서 다양한 목걸이와 귀걸이 등을 착용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기술은 패션, 뷰티업계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은 투명/미러 OLED에 인텔의 안면/동작인식 및 배경인식 기술인 리얼센스 솔루션를 적용하여 현실감 높은 증강현실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고 밝혔다. 양오승 삼성디스플레이 신사업팀장(상무)은 “삼성의 축적된 OLED기술로 구현한 투명 OLED와 미러 OLED 디스플레이는 우리생활에 획기적인 변화와 편리를 가져올 것” 이라며 “인텔과의 협력을 통해 미래 디스플레이 시장 확대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삼성디스플레이가 공개한 55인치 투명OLED 디스플레이, Source: 삼성디스플레이

 

What is the Next Key Technology in OLED Display?

There is a breath of fresh air of paradigm shift within small-mid size display. Traditional display is turned on by the user’s actions as needed. But, technology, which is able to check information at any time, has been developed and is being applied to the actual product.

LG Display is mass producing world’s first plastic circular OLED. LG Display’s plastic circular OLED panel displays screen in the same resolution without power supply of power management chip via PSM (Power Save Mode). Through this, the panel is turned on for 24 hours a day with only 10~20% of power compared to typical driving mode. PSM is evaluated as innovative circuit design and was applied to G Watch R last year.

A similar function is applied to several other smart phones. Galaxy Note Edge and Galaxy S6 Edge have screen function, ‘Night Watch’. Once the time is set, information such as time, date, weather is displayed on edge screen during that time, Through this, the user can check displayed information at anytime for a period.

Yotadevices, a Russian venture company, announced the second version of Yotaphone2 on 13 May. On the front side of Yotaphone 2 is 5.0 inch AMOLED display, and on the back side is a black and white display with electronic ink (E-ink), so the user can use both sides of the smartphone. The back side of Yotaphone2 is always on; e-ink technology can be used without power if the screen doesn’t change, so user can use back display, without consuming much power. Yotadevices said, “The function of backside display can be set freely. Also, you can save power used for turning on the front screen because you can always check the information set by you.”

‘Always ON’ in a function where the display is always turned on to deliver information. It is difficult to apply to OLED display. This is due to the burn-in phenomenon, which occurs when a particular pixel of the OLED panel is depleted and discolored, maintaining a fixed screen for a long time. To apply the ‘Always ON’ to the OLED, the OLED light-emitting material must be improved or the image-processing technology must be developed to minimize burn-in phenomenon. LG applied the ‘Always ON’ in G watch R by reducing the burn-in phenomenon, using the new image processing technology which moves the screen gradually at regular intervals.

‘Always ON’ is expected to be used primarily in the automotive displays and wearable displays where information should be displayed for a long time, and is forecast to be a key feature of the display in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