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ED Technology, extend the field from automobiles to airline industry.

It is expected that we may be able to meet flights with OLED technology soon.

In existing OLED market, display is applied in mobile field and lighting is applied in indoor lighting field, and it was known several companies seem to be proceeding projects to apply it at either rear lamp or dash board area of the automobile.

However, in IFA 2016 held in Berlin Germany, LG vice president of HE Bongseok Kwon had reporter meeting where he said “we are currently in negotiation with two global airlines to install OLED display at front monitor and window, and the period of application must be discussed for not only seats but also including all parts such as windows.

Especially, several companies including Lumiotech, OSRAM, and LG Inotech already introduced technologies for applying OLED in indoor purposes as well as other fields, and third panel companies are known to be developing technologies for engrafting airline industry, so there is much attention of the outcome of new application.

OLED is designed with thin and light characteristics as well as flexibility where it is good at utilizing space without taking up large volume. Due to its characteristics, the installation is easy without location or space restrictions. So if OLED is applied in window then the flight crew can control the light penetration without having to check the window, and also people will be able to check the flight information they desire through display, and diversify the size and shape of the main display and dashboard.

Aside from these visual effect, it is expected to lower the fuel usage by decreasing the total weight of the flight. According to the contents presented in UK governmental emerging institution CPI (Centre for Process Innovation) in 2014, the fixed fuel usage is expected to decrease by applying OLED due to decreased weight of the flight fuselage and fuel, and the fuel consumed by air-conditioning can also be reduced due to low power consumption and heat, as well as the exhaustion of greenhouse gas is expected to be minimized.

<Concept picture of flight’s interior with CPI’s OLED display applied>

Along with this, OLED related application and its industry is expected to develop continuously. According to 2016 OLED Display Annual Report published by the market research company Ubi industry research, AMOLED market is expected to be worth 14,800 million USD in 2016, and approximately 71,705 million USD in 2020 where the average yearly growth of about 49%. Also, starting from 2019 where companies’ investments actually begin, the profit for OLED lighting will also largely increase which it is expected to reach above 7,500 million USD by 2025. Therefore, it is expected to see various types of applications with OLED display or lighting in the near future.

OLED 기술, 자동차에 이어 항공산업까지 그 영역 확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기술이 접목 된 비행기를 곧 만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존의 OLED 시장에서 display는 모바일 분야에, lighting은 실내조명 분야에 적용 되었고, 몇몇 업체에서는 차량의 rear lamp dash board쪽에 이를 적용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었다.

하지만 국제 가전전시회(IFA) 2016이 열렸던 독일 베를린에서 LG 권봉석 HE사업본부장(부사장)이 기자 간담회를 갖고, “해외 항공사 2곳과 항공기용 정면 모니터와 창문 등에 OLED 디스플레이를 설치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며, 이는 좌석용 뿐만 아니라 창문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적용 시점은 논의해야 할 것이라 말하며 OLED 산업이 본격적으로 확대 되는 것을 밝혔다.

특히나 루미오텍이나 오스람, 그리고 LG이노텍 등을 비롯한 몇몇 업체가 실내용 OLED 실내 조명 및 타 분야에 OLED를 적용하기 위한 기술을 선보이기도 하였으며, 타 패널 업체도 항공 산업 접목을 위해 기술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져 새로운 application 창출에 대한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OLED는 얇고 가벼운 특성과 함께 휘어지도록 설계가 가능하여 큰 부피를 차지하지 않고 공간활용 측면에서 유리하다. 이러한 특성으로 위치나 공간의 제약없이 쉬운 설치가 가능하기에 창문에 OLED가 탑재된다면 투과율 조절을 통해 승무원이 창문을 확인 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빛의 투과를 조절하는 것은 물론, 디스플레이를 통해 승객들이 원하는 비행 정보 등을 확인 할 수 있을 것이며, 중앙 디스플레이와 계기판 등의 크기와 모양을 다양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각적 효과 외에도 비행기의 총 중량을 낮춰 연료 절감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014년 영국 정부 출현기관 프로세스혁신센터(CPI, Centre For Process Innovation)에서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OLED 적용 시 기존 대비 항공기 동체 및 연료 중량이 감소되어 고정적인 연료 소비 절감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측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소비전력과 발열 또한 낮아 냉방으로 소비되는 연료 또한 절감하고 온실가스 배출 또한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CPI의 OLED display가 적용 된 비행기 내부 컨셉 사진>

이와 더불어 OLED 관련 application과 시장도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시장조사업체 유비산업 리서치에서 발간한 2016 OLED Display Annual Report에 따르면, 2016AMOLED 시장이 14,800 million USD 규모로 형성될 것으로 예측하였으며, 2020에는 약 71,705 million USD로 약 49%의 연평균 성장률이 예측하고 있다. 또한 OLED lighting 역시, 업체들의 투자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2019년부터 매출액이 큰 폭으로 증가해 2025년에는 7,500 million USD 이상의 시장이 형성 될 것으로 전망하기에, 앞으로 다양한 형태로 OLED display 혹은 lighting이 접목 된 application을 만나게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Full-Scale War Between Samsung Gear S3 And Apple Watch Series 2

The Apple Watch Series 2 has been officially unveil with iPhone 7 and iPhone 7 so it is expected that the battle between Samsung Gear S3 and the Apple Watch Series 2 can not be avoided even if the official release day of Samsung Gear S3 is undecided.

Apple Watch Series 2 has an improved water resistance rating of 50 meters and includes GPS unit for utiliz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racking movements. Especially, the watch works with Pocketmon Go from Niantic INC which has been very sensational game all over the world. It was announced that the product has four models including Stainless steel, Hermès which Apple produced teaming up with Hermès, and Nike+ which Apple produced teaming up with Nike.

Samsung Gear S3 also includes GPS so it can make various useful functions altitude available for leisure activities and exercising with the sensors for altitude, atmospheric pressure and speed. Samsung Pay function also increases a variety of useful functions. In addition, with saving battery power ability improved, ADO (Always On Display) which is packed so that major alarms are always shown can make the watch is faithful to the original watch function. And the rotating bezel of Samsung Gear S3 attracts public gaze with its sophisticated design presenting the sensitivity traditional watch gave and its intuitive UI built up much better than before.

Both of the smart watches are packing an OLED display which can boast 1,000 Nits peak brightness so it is expected that a great deal of information can be shown on the clear display in bright sunlight. In particular, Apple enhanced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more than doubled than that of the prior product of 450 Nits and Samsung also enhanced the brightness 400 Nits more than that of the prior product.

It has been known that the AMOLED panel for Samsung smart watch is provided by SAMSUNG DISPLAY while Flexible AMOLED panel for Apple Watch Series 2 is supplied by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061912

According to UBI research, the market of Smart Watch AMOLED panel is expected to be worth close to one hundred million in 2020 with average annual growth rate of 14%.

A fabrication of large area OLED TV gets possible by FMM process. DAWONSIS, develops downward deposition method by joule heating.

It is expected that large area OLED panel pixel formation technology, which is possible only using solution based and SMS(Small mask scanning) so far, gets possible using FMM process.

DAWONSIS developed the technology downward deposition method by joule heating, to make mass production of large area display panel possible and to enhance efficiency of material usage more than two times.

Joule heating deposition is the technology that if one induces voltage in conductive film, due to resistance, it can increase surface temperature rapidly only with low energy, so evaporate organic materials films formed on conductive film rapidly only with low energy.

DAWONSIS evaporation technology key concept is followed by:

One forms organic material films on source substrates, and deposits the organic material films on panel positioned at down side whole at a time by using Joule heating.

<Application of organic thin film formation technology>

 

According to DAWONSIS, it is said that

“Compared to point source or linear source, used in conventional deposition process, Joule heating deposition process is very fast deposition rate, more than 100 A/s, due to the use of area source. The efficiency of material usage is about 70~80%, more than two times efficient than conventional method, also downward deposition is applicable to large area FMM process, verification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shadow effect dimension is 4um, which enables high resolution process. Therefore JIES evaporation equipment can be an innovative solution to fabricate large area OLED panel. ”

160912_2

In conventional OLED TV, due to FMM’s deflection, it has had a problem to fabricate it as RGB method. So OLED TV panel on production line, adopts white OLED + color filter method using open mask

In order to make OLED TV by using RGB method, solution process can be also strong candidate.

But lack of efficiency of soluble luminous material and its life time, it cannot be applicable to mass production.

If one adopts the deposition technology that DAWONSIS developed, real RGB structure can be realized in OLED TV panel by using FMM process, since it uses conventional deposition materials as it is, efficiency and life time can be guaranteed. We expect that DAWONSIS’s new deposition technology can make an impact on large area OLED panel fabrication technology.

삼성 기어 S3 vs 애플워치2의 전면전

애플이 7일(현지시간) 아이폰 7과 7플러스와 함께 애플워치2를 공개하며 지난 31일(현지시간) 공개된 삼성의 기어 S3와 전면전을 펼치게 되었다. 기어 S3는 출시일이 미정이지만 애플워치2와의 전면전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애플워치2는 수심 50미터까지 방수가 되는 방수 기능을 강화했고, GPS 유닛이 추가되어 위치 정보 이용 및 운동 추적 기능도 강화되었다. 특히 전세계적으로 돌풍을 이르킨 나이앤틱의 인기 모바일 게임 ‘포켓몬 고’ 앱이 기본 탑재된다.

스테인레스 소재의 애플워치, 에르메스와 함께 만든 ‘애플워치 에르메스’, 나이키와의 협력제품인 ‘애플워치 나이키+’ 등 4종의 애플워치2를 발표했다.

삼성의 기어 S3는 GPS가 탑재되어 고도, 기압, 속도계로 다양한 레저활동과 운동을 할 때 유용한 기능들이 추가되었고, 삼성페이도 추가 탑재됨에 따라 다양한 편의성이 증가 되었다. 또한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며 주요내용을 화면에 표시하는 ‘올웨이즈온디스플레이(AOD)’도 갖춰 시계 본연의 기능에 충실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전통 시계의 감성을 담은 세련된 디자인과 전작보다 더 강화된 회전 베젤의 직관적인 UI로 시선을 모으고 있다.

두 스마트워치 모두 O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하며 1,000 nits 이상의 최대 밝기를 구현하여 밝은 야외에서도 다양한 정보를 선명한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특히 애플워치2는 전작의 450 nits에서 두배 이상, 기어3도 전작대비 400nit 이상 밝기를 강화하였다.

현재 스마트워치용 AMOLED 패널은 삼성전자의 스마트워치용 flexible AMOLED panel은 삼성디스플레이 단독으로 공급하고 있으며, 애플워치2용 flexible AMOLED panel은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에서 공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061912

한편 유비산업리서치에 따르면 스마트워치용 AMOLED 패널 시장은 2020년까지 연평균 약 14%로 성장하여 1억 대 이상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대면적 OLED TV, FMM으로도 가능해진다. 다원시스, 주울 가열 하향식 증착 기술 개발

용액공정과 SMS(Small mask scanning)방식으로만 접근되었던 RGB 방식의 대면적 OLED panel용 화소형성 기술이 FMM으로도 가능해 질 것으로 기대된다.

 

다원시스는 대면적 디스플레이 패널 양산에 적용이 용이하고 재료사용효율을 기존 보다 2배 이상 향상시킨 주울 가열 증착 공정 방식의 하향식 증착 기술을 개발하였다.

 

주울 가열 증착 이란 도전성 박막에 전압을 가하면 저항으로 인하여 짧은 시간 안에 적은 에너지로 표면 온도만 빠르게 높여 도전성 박막 위에 형성된 organic material 막을 적은 에너지로 빠르게 증발 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다원시스에서 개발한 증착 기술 컨셉은 다음과 같다. 소스기판 위에 organic materials 박막을 형성하고 주울 가열을 사용하여 소스기판 표면의 organic materials을 전부 한번에 하부에 위치한 panel로 증착 시키는 방식이다.

160912_1

다원시스 관계자에 따르면 “기존 증착 공정에서 사용하는 point source 나 Linear source에 비해 주울 가열 증착 공정은 Area source를 이용하기 때문에 증착 속도가 약 100 A/s 이상으로 굉장히 빠르다. 또한 재료사용 효율이 70~80%로 기존 증착공정대비 2배 이상 향상되며 하향식 증착으로 대면적에 FMM 방식이 적용 가능하고, 검증 실험 결과 shadow effect dimension이 4 μm 로서 고해상도 구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JIES 증착 장비는 대면적 OLED의 새로운 solution이 될 수 있을 것” 이라고 밝혔다.

160912_2

기존의 대면적 OLED TV는 FMM의 처짐 현상으로 인하여 RGB 방식으로의 제조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따라서 현재 양산중인 OLED TV용 panel은 open mask를 적용한 white OLED + color filter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대면적 OLED TV를 RGB 방식으로 제조하기 위해 solution process도 적극적으로 개발 중이지만 soluble 발광재료의 효율과 수명 이슈로 아직까지 양산에 적용되고 있지 못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다원시스에서 개발한 증착 기술을 적용하면 FMM을 적용한 진정한 RGB 구조의 OLED TV용 panel 제조가 가능해지며, 기존 사용되고 있는 증착 재료를 그대로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효율과 수명도 확보할 수 있다.

이번 다원시스의 새로운 증착 기술이 앞으로의 대면적 OLED panel 제조 기술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기대된다.

[IFA 2016] What is the future of TV imagined by Philips?

Below is the interview of Philips when displaying large scale OLED TV in IFA 2016.

160907_1

160907_2(1)

The future of TV viewed by Philips is OLED TV.
“We really see OLED as the future of TV”

[IFA2016] What is the exhibition concept of Samsung Electronics TV?

Samsung Electronics TV Booth displayed in IFA2016 is very different from before. There are two types of LCD TVs in the market currently: the existing TV using LED BLU, and SUHD TV that uses quantum dot sheet. However, the product that was introduced and occupied a lot of booth exhibition space was the inorganic TV that uses quantum dot display, a product with unclear release date.

160907_1

The conceptual inorganic TV that Samsung Electronics introduced instead of actual TV product is a product that displays far superior performance to OLED TV. As time goes by, the “organic” that represents OLED TV loses its function as a TV due to its rapidly decreasing brightness, whereas “inorganic” does not undergo such changes. If this is true, it is an excellent product that may well be used forever.

160907_2

In another concept exhibition, Samsung Electronics introduced the superior color purity of Inorganic TV.

160907_3

160907_4

160907_5

The light coming from the Organic TV light source has very vague RGB. In contrast, inorganic TV originates from clear RGB. Inorganic creates independent wavelength and intensity even before this light arrives at the color filter, whereas organic still displays a vague light with separated color.
The structure of inorganic TV seen from this is assumed to be a form in which a quantum dot substance is inserted between the screen and the color filter.

Finally, the light of organic, which goes through the color filter, lacks color purity of the three primary colors because it converts two-wavelength light with blue and green-red to three-wavelength.
However, even before arriving at the color filter, the light with superior color purity is emitted outside in inorganic.
If these two exhibitions are true, Samsung Electronics is preparing an incredible next-generation TV.
The problem pointed out by the participants is that this technology has not been born yet, and it is merely a concept. Samsung Electronics has described the unknown world with confidence, which is ironically viewed as if they are utterly unprepared for the future TV.

Moreover, by comparing OLED TV with a TV technology of the future instead of the SUHD TV currently in the market, they have indirectly admitted that OLED TV is better than the SUHD TV that uses quantum dot.

In IFA2016, Samsung Electronics wanted to show that SUHD TV will continue to grow and that OLED TV will disappear eventually. However, they have admitted that they are in an urgent situation in which, due to the superiority of OLED TV to the current SUHD TV, it cannot avoid being compared to the inorganic TV of the future.

Finally, whatever is done to LCD TV, black should be avoided, because it is LCD.

 

 

[IFA2016] Philips가 생각하는 TV의 미래는?

PhilipsIFA2016에서 대규모 OLED TV를 전시하며 인터뷰한 내용을 간단히 소개한다.

160907_1 160907_2(1)

Philips가 보는 TV의 미래는 바로 OLED TV이다.

“We really see OLED as the future of TV”

 

[IFA2016] 삼성전자 TV 전시 컨셉이 뭐지?

IFA2016에서 보인 삼성전자의 TV 부스는 이전과 매우 다른 점이 있다. 현재 시판 중인 LCD TV에는 LED BLU를 사용하는 기존 TVquantum dot sheet를 사용하는 SUHD TV 2종류이다. 그런데 부스 전시 공간 중 매우 넓게 차지하며 소개된 제품은 언제 나올지 알 수 없는 quantum dot display를 사용한다는 inorganic TV이다.

160907_1

심성전자가 실제 TV 제품 대신 소개한 개념적인 inorganic TVOLED TV 보다 월등히 성능이 우수한 제품이다. OLED TV를 나타내는 “organic”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휘도가 급격히 떨어져 TV의 기능을 완전히 상실하지만 “inorganic”은 변화가 거의 없다. 이 내용이 사실이라면 영원히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은 우수한 제품이다.

160907_2

또 다른 개념 전시 내용에서 삼성전자는 Inorganic TV의 색순도가 월등히 우수함을 알렸다.

160907_3160907_4160907_5

Organic TV 광원에서 나오는 빛은 RGB가 아주 애매하다. 이에 비해 inorganic TV는 태생부터가 확실한 RGB로 시작한다. 이 빛이 칼라필터에 도착하기 전에 이미 inorganic은 독립적인 파장과 세기를 형성하였으나 organic은 여전히 색이 분리되지 않는 애매한 빛이다. 여기서 볼 수 있는 inorganic TV 구조는 액정과 칼라필터 사이에 quantum dot 물질이 삽입되는 형태일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칼라필터를 통과한 organic의 빛은 청색과 녹적이 섞여 있는 2파장 빛을 3파장으로 변환 시킨 것이어서 삼원색 색순도가 떨어진다는 것이다. 이에 비해 inorganic은 칼라필터 도달 전보다 훨씬 색순가 뛰어난 빛이 더 강하게 외부로 나가고 있다.

이 두가지 전시 내용이 사실이라면 삼성전자는 정말 엄청난 차세대 TV를 준비하고 있다.

문제는 이 기술은 태어나지도 않았고 엄마 뱃속에도 없는 완전 개념에 불과하다는 것이 전시장 참석자들의 지적이다. 뭐가 나올지 알 수 없는 미지의 세계를 너무 정확히 자신 있게 묘사한 삼성전자에 대해서는 역설적으로 미래 TV에 대한 준비가 전혀 되어 있지 않는 상황으로 보여지고 있다.

더욱이 OLED TV를 현재 시판 중인 SUHD TV와 비교하지 않고 미래의 TV 기술과 비교 함으로서 quantum dot을 사용하는 SUHD TV 보다 OLED TV가 우수하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시인하고 말았다.

삼성전자는 IFA2016에서 SUHD TV가 지속 성장할 것임을 알리고 싶어 했고 OLED TV는 조만간 사라질 것이라고 표현하였으나, 오히려 OLED TV가 현재의 SUHD TV 보다 우수하기 때문에 미래에 만들어질 inorganic TV와 비교하지 않을 수 없는 급박한 상황인 것을 자인해 버렸다.

마지막으로 LCD TV에 무슨 짓을 해도 black은 안된다. LCD이기 때문에

Mass production of AMOLED panel for AUO and VR begins in earnest

It is expected that AUO will begin mass-producing AMOLED panel for VR.

AUO displayed AMOLED panels for 1.2-1.6 inch smart watch, 12.3 inch vehicles, and 3.8 inch VR in Touch Taiwan 2016.

In particular, the AMOLED panel for VR is composed of 2 sets of 3.8 inch, and each AMOLED panel’s resolution is 423 ppi of 1080×1200. Using 2 AMOLED panels, 2K (2160×1200) resolution has been realized.

According to a staff from AUO, “there are plans to intensively mass-produce AMOLED panels for wearables and VRs; and in particular AMOLED panel for VR are being produced and supplied to Razer and OSV. From Q4 2016, mass-production will be initiated in earnest to ship over 100,000 units.”

AUO’s AMOLED panels for VR are being sold as modules to a company called Vitrolight technology. According to Vitrolight technology’s website AUO’s AMOLED panel module for VR is US$240-350 for 1 piece and 2,000 pieces can be supplied per month.

<AMOLED panel of AUO for VR, Vitrolight technology>

 

AUO, VR용 AMOLED panel 본격 양산 시작

AUO에서도 VR AMOLED panel을 본격적으로 양산할 것으로 기대된다.

AUOTouch Taiwan 2016에서 1.2~1.6inch smart watch AMOLED panel12.3inch 차량용 AMOLED panel, 그리고 3.8inch VR AMOLED panel을 전시하였다.

특히 VRAMOLED panel3.8inch 2set로 구성되었으며, AMOLED panel의 해상도는 1080×1200423 ppi이다. 2개의 AMOLED panel을 사용하여 2K 해상도(2160×1200)을 구현하였다.

AUO 관계자는 “Wearable VRAMOLED panel을 집중적으로 양산할 계획이며, 특히 VR AMOLED panel은 일부 생산하여 Razer OSV에 공급하고 있다. 2016Q4부터 본격적으로 양산하여 분기별 100,000대 이상 출하할 예정이다.” 라고 밝혔다.

AUO VR AMOLED panelVitrolight technology라는 업체에서 현재 모듈로 판매중에 있다. Vitrolight technology 홈페이지에 따르면 AUO VR AMOLED panel 모듈 가격은 1 pieceUS$ 240~350으로 월 2,000 pieces까지 공급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AUO의 VR용 AMOLED panel, Vitrolight technology>

[IFA2016]Samsung Electronics states to completely leave OLED TV!

After two and a half years have passed since the CES 2014, where Samsung Electronics expressed that it would need about three more years to develop OLED TV due to its insufficient technology at the time, in IFA 2016t it has strongly emphasized that it will not be engaging in OLED TV business.

Recently, in an interview with a local press, Samsung Electronics stated that there were still problems with the definition of the OLED TV and that it will continue engaging in the TV business with QLED TV within the near future.

In IFA2016, it revealed Samsung Electronics’ thoughts o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TVs.

160905_1

Based on the materials provided at Samsung’s booth, LCT TVs of the past have extended their legacies into LED TVs, and in the future they will evolve into quantum dot TVs that use inorganic materials. Moreover, in the same manner as PDP TVs which have disappeared from the TV market OLED TVs will disappear after having reached the level of curved FHD TV.

Looking at this material, it seems like Samsung Electronics is not paying attention to other LCD TV sets but only LG Electronics’ OLED TVs.

As a matter of fact, it is natural for Samsung Electronics’, the no.1 market leader of TV market, to be disturbed by LG Electronics’ OLED TV which is expanding its market share in the premium TV market. However, at this point where 55-inch and 65-inch UHD OLED TVs are selling well, whether Samsung Electronics’ display contents were legitimate is questionable.

Presenting negative views regarding competitors is acceptable in terms of marketing, but at this display it seemed to be excessive. Also, Samsung Electronics even provided durability comparisons between inorganic TVs (Quantum dot TV) and OLED when inorganic TVs do not even exist.

The main point of the comparison was that the colors of OLED TVs change severely according to the passing of time whereas inorganic TVs do not.

160905_2

Contents from a U.S. consumer report website were still being displayed as follows. In the “best TV 5” of 2015, there are three LG Electronics’ OLED TVs, and no.1 was the 65-inch UHD OLED TV.

The end of OLED TVs is not likely to come as fast as what Samsung Electronics predict. It is just the beginning for OLED TVs.

160905_3
 

[IFA2016] OLED TVs’ position doubles compared to last year

In IFA2016, there were 11 companies that displayed OLED TVs, including LG Electronics. These companies were Vestel, Skyworth, Loewe, Philips, Grundig, Seiki, Metz, Changhong, Panasonic, and Condor, in the order of display scale.

In IFA2016 there were 6 companies, but this time 5 more companies joined the league. This is almost a double growth rate. At this exhibition, 1 company, Haier, did not return to participate and the new participants are Loewe, Philips, Seiki, Metz, and Condor.

Among these participants, Loewe stands out in particular.

Furthermore, in the Loewe OLED TV PR panel it is written as follows. “OLED display thinner than a smartphone” and “The most beautiful OLED TV in the world”.

Philips used the entire space for displaying TVs to present OLED TVs aside from the walls. On the walls there were LCD TVs, but OLED TVs were presented at the center so that participants can view the space three-dimensionally.

Hence, this was a display that showed that LCD TVs will be replaced by OLED TVs.

The most dynamic display of LG Electronics is the Skyworth indeed. It is a car racing game video that informs the high-speed response speed of OLED TV that has been presented since IFA2015. The difference with the previous display was that the products’ OLED panels have all been applied with HDR. They became brighter than last year.

Hisense was company that showed displays, although not selling OLED TVs. So, including Hisense, there were 12 companies in total. In a bid to promote the ULED TV’s superiority, which it is currently selling, Hisense presented a display that compared ULED TV with the OLED TV. The product that has been used in this exhibition was an OLED product from last year. When actually observed, it was darker than the ULED TV. However, at Skyworth, of which the booth was right next to it, the super high-definition OLED TVs are displayed. The booth location was badly selected for Hisense.

[IFA2016] OLED TV 진영 작년에 비해 2배 증가

IFA2016에서 OLED TV를 전시한 업체는 LG전자를 포함해서 11업체이다. OLED TV 전시 규모 순서대로 명기하면 Vestel, Skyworth, Loewe, Philips, Grundig, Seiki, Metz, Changhong, Panasonic, Condor이다,

IFA2015에서는 6업체였으나 이번에는 5업체가 늘어났다. 거의 배가 증가 했다. 이번에 빠진 업체는 Haier 1개 업체이며 새로 합류한 업체들로서는 Loewe, Philips, Seiki, Metz, Condor이다.

이중에서 눈에 띄는 업체는 Loewe이다.

그리고 Loewe OLED TV 홍보 패널에는 다음과 같이 쓰여져 있다. “OLED display thinner than a smartphone” “The most beautiful OLED TV in the world”.

 

Philips에서는 TV 전시 공간 중 벽면을 제외한 곳은 OLED TV 만을 위한 장소로 배려했다. 벽면에는 LCD TV를 전시하였으나 OLED TV는 가운데 공간에서 참가자들이 입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배치 하였다.

PhilipsLCD TV에서 OLED TV로 바뀔 것임을 확연히 드러낸 전시이다.

 

LG전자 다음으로 가장 역동적인 전시는 단연 Skyworth이다. IFA2015부터 OLED TV의 고속 응답속도를 알리는 car racing 게임 영상이다. 이전 전시와 달라진 점은 OLED 패널이 모두 HDR이 적용된 제품이다. 작년에 비해 매우 밝아졌다.

 

OLED TV를 판매하지 않지만 같이 전시한 업체로서는 Hisense가 있다. Hisense도 포함 시키면 12업체가 된다. Hisense는 자사가 판매중인 ULED TV의 우수성을 홍보하기 위해 OLED TV를 비교 전시하였다. 이 전시에 사용된 패널은 작년 OLED 제품이다. 실제로 보면 ULED TV 보다 어둡게 보였다. 하지만 바로 옆 부스인 Skyworth에서는 초고화질의 OLED TV가 전시되어 있다. 부스 장소를 잘 못 잡았다.

[IFA2016] 삼성전자, OLED TV와 완전 결별 선언!

2014CES2014에서 OLED TV는 아직 미흡한 기술이기 때문에 3년 정도의 개발 기간이 더 필요할 것이라는 언급이 있은 후 2년 반 뒤, IFA2016에서 삼성전자가 OLED TV 사업은 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하게 피력했다.

최근 삼성전자는 한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OLED TV는 아직 화질에 문제가 많아 삼성전자는 수년 이내에 QLED TV로서 TV 사업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IFA2016에서 TV의 과거와 현재, 미래가 어떻게 될 것인지 삼성전자의 속내를 공개했다.

160905_1

삼성전자 부스에 공개된 자료에 의하면 과거 LCD TV는 현재 LED TV로서 맥을 있고 있으며, 미래에는 inorganic 재료가 사용되는 quantum dot TV로 진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TV 시장에서 사라진 PDP TV와 마찬가지로 OLED TVcurved FHD TV 수준에서 사라질 것이라고 표시했다.

이 자료로 볼 때 삼성전자는 타 LCD TV 세트 업체는 신경 써지 않고 오로지 LG전자의 OLED TV에만 모든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TV 시장 점유율 1위를 지키고 있는 삼성전자 입장에서는 premium TV 시장에서 세력을 확장하고 있는 LG전자의 OLED TV는 눈에 가시일 수 밖에 없다. 하지만 55인치와 65인치 UHD OLED TV가 잘 팔리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볼 때 삼성전자의 전시 내용은 너무 나간 감이 없지 않다.

경쟁 업체에 대한 네거티브 공세는 마케팅 차원에서 허용 될 수 있지만 이번 전시에서는 도가 지나쳤다. 급기야 삼성전자는 아직 존재 하지도 않는 inorganic TV (Quantum dot TV)OLED의 내구성도 충실하게 비교 전시까지 하였다.

OLED TV는 시간이 지나면 색이 심각하게 변하지만 inorganic TV는 색 변화가 거의 없다는 내용이다.

160905_2

미국의 consumer report 사이트에는 하기와 같은 내용이 아직도 공개되어 있다. 2015“best TV 5”에는 LG전자의 OLED TV3종이나 있으며, 1위는 65인치 UHD OLED TV이다.

OLED TV의 종말이 삼성전자가 생각하는 만큼 빨리 오지는 않을 것 같다. OLED TV는 지금부터 시작이다.

160905_3

[IFA2016] Where Does the Confidence of LG Electronics Come From?

LG Electronics has displayed OLED TV on about half of the entire IFA2016 exhibition’s space, overwhelming the whole area.

160902_1

160902_2

160902_3

160902_4

There is no need for words. You just have to enjoy the exhibition with your eyes.

160902_5

Apart from the image quality, LG promoted its slim product design by the expression “Picture on glass.”
There is no need for words. Exhibition is enough to show why OLED TV is better than LCD TV.

In the previous CES2016, LG Electronics booth was as dark as a movie theater. Presumably, it wanted to show the strength of OLED TV, “black”, well but it could rather be seen as a product that functions properly only in the dark.

CES2016 LG Electronics Booth: The light was as dark as a movie theater

CES2016 LG Electronics Booth: The light was as dark as a movie theater

However, the difference becomes definite when we compare the ceiling light of CES2016 and the light of IFA2016. It became brighter indeed. LG Electronics has changed.

It became confident enough to highlight merits of OLED TV even in a bright area. OLED panel structure of TV produced by LG Display has changed from bicolor structure laminated with three layers of B (blue) and YG (yellow-green) to a three-layers structure that uses B, R, and G to realize three colors. The efficiency and brightness of the colors have become overwhelmingly outstanding.

LG is not the son of darkness anymore. Through the exhibition, it expressed its confidence to have secured the quality to contend with LCD TV.

Of course, it also indicated to continue LCD TV business. It displayed LCD TV, which applied QD technology, in one side so that it’s not compared with numerous OLED TVs. The exhibition of LCD TV, positioned in the corner after losing power, shows that the time is getting closer for competitors to wake up from the illusion that LCD TV will last forever.

160902_7

[IFA2016]The Leading Power of TV in Europe and the Middle East, Interested in OLED TV

OLED TV is rising to be sensational in IFA2016, the largest consumer electronics show in Europe. In the development of the initial OLED TV market, LG Electronics is in the lead followed by Chinese companies. LG Electronics and Samsung Electronics, the two major companies in TV market, simultaneously launched OLED TV in 2013 and led OLED TV market until IFA2014. However, Samsung lost confidence to produce quality OLED TV and completely withdrew from CES in 2015. Since then, it has been focusing only on penetrating LCD TV market grafted on to QD technology.

Recently, Samsung Electronics stated that its OLED TV technology is still unsatisfactory due to the burning problem and thus, it is going to launch QLED TV, which uses QD technology, as the next product after LCD TV as soon as possible. Hence, there were many concerns over contraction of OLED TV market.

However, the on-going exhibition in IFA2016 is dispelling such negative concerns over Samsung OLED TV by the title, to be specific, “LCD TV, not anymore!”

Philips, the leader of consumer electronics in Europe, penetrated IFA2016 exhibition center with its newly developed OLED TV.

20160902_1

20160902_2

Philips planned the exhibition concept very delicately to highlight its OLED TV. First of all, it arranged lots of LCD TVs in three different sides to show that its main product is still LCD TV. It also placed OLED TV vertically in the middle of a space large enough to exhibit dozens of TV and made it to rotate to be displayed and seen well by visitors from any angle. Put differently, it designed the room for people to observe OLED TV in three dimensions. Through space arrangement rather than display of words, Philips declared its intention to change portfolio to OLED TV.

Moreover, the exhibition is designed so that visitors can easily compare superior OLED TV with LCD TV.

20160902_3

At the back of OLED TV, which displays vivid colors and clear contrast range, there is LCD TV where colors run as a result of ghost effect which blur and demolish the boundary of objects in the image. Such problem does not surface when one only sees LCD TV screen. However, it becomes clear when watched together with OLED TV.

Philips exhibited OLED TV in the middle of LCD TV to maximize the superiority of OLED TV.

Vestel, the leading power of TV in the Middle East, has also used the same strategy. It displayed LCD TV on the wall and arranged 12 OLED TVs in the middle, facing one another. By doing so, visitors can watch LCD TV through the back of OLED TV, too.

20160902_4

Futuremore, Vestel displayed the largest OLED TV in the world, made of 9 OLED TVs, at the end of exhibition, and showed that “this is OLED TV!

Although Samsung Electronics will continuously bring up negative concerns over OLED TV, more and more worldwide TV companies are still entering OLED TV market. Now the time is getting nearer for LCD TV to disappear and OLED TV to dominate the premium TV market.

20160902_5

 

 

[IFA2016] LG전자의 자신감 도대체 어디서 오나?

 LG전자가 IFA2016 전시 공간의 약50% OLED TV를 깔아 놓았다. 전시장을 OLED TV로 도배하였다.

160902_1

160902_3

160902_4

말이 필요 없는 전시이다. 그냥 눈으로 즐기기만 하면 된다.

160902_5

화질 뿐만 아니라 디자인 측면에서 유리 한 장 두께임을 “Picture on glass”라는 표현으로 퍼포먼스하였다.

OLED TVLCD TV에 비해 무엇이 좋은지는 더 이상 말이 필요 없다. 그냥 보여주기만 하면 된다.

 

지난 CES2016에서 LG전자 부스는 영화관처럼 어두웠다. OLED TV의 장점인 “black”을 잘 표현하고자 했을 것으로 추정되나 오히려 OLED TV는 어두운 곳에서만 제대로 볼 수 있는 반쪽자리 제품으로 비춰질 수 있었다.

CES2016 LG전자 부스: 조명이 매우 어두워 흡사 영화관 같다

CES2016 LG전자 부스: 조명이 매우 어두워 흡사 영화관 같다

 

하지만 CES2016의 천정 조명과 IFA2016의 조명을 비교해 보면 확연히 차이가 난다. 밝은 세상으로 나왔다. LG전자가 달라졌다.

LG전자가 밝은 공간에서도 OLED TV의 장점을 부각 시킬 수 있는 자신감을 얻은 것이다. LG디스플레이가 생산하는 TVOLED 패널 구조가 B(blue) YG(yellow-green)3층 적층한 2색 구조에서 BR, G을 모두 사용하여 3색을 구현하는 3층 구조로 바꾼 것이다. 색 효율과 밝기가 압도적으로 우수해진 것이다.

이젠 더 이상 어둠의 자식이 아니다. 당당하게 LCD TV와 경쟁할 수 있는 품질이 확보된 것임을 이번 전시를 통해 LG전자는 자신감을 피력하였다.

 

물론 LCD TV 사업은 계속하고 있음도 나타내었다. 수 많은 OLED TV와 비교되지 않게 한 면에 QD 기술을 적용한 LCD TV를 전시하였다. 주역 자리를 내 주고 한 켠에 배치된 조촐한 LCD TV 전시는 아직 LCD TV가 영원할 것이라고 믿고 있는 경쟁 업체들에게 겸손해야 할 시대가 다가오고 있음을 가르쳐주고 있다.

160902_7

[IFA2016] 유럽과 중동의 TV 맹주, OLED TV에 꽂히다

유럽의 최대 가전 제품 전시회인 IFA2016에서 OLED TV가 돌풍을 일으킬 기세다. LG전자가 주도하고 있는 OLED TV 시장에 일부 중국 세트 업체들이 가세하여 초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2013LG전자와 삼성전자가 동시에 OLED TV를 출시하였고 IFA2014까지는 TV 시장의 최대 축인 두 회사가 OLED TV 시장 분위기를 형성하였으나, OLED TV 품질에서 자신을 잃은 삼성전자는 결국 2015CES에서부터 완전히 철수하고 QD 기술이 접목된 LCD TV 시장에만 집중하고 있다.

최근 삼성전자가 OLED TVburning 현상 때문에 아직 기술이 미흡하여 LCD TV의 차기 제품으로서 QD 기술을 사용하는 QLED TV가 될 것임을 언급하고 빠른 시일내에 이 제품을 출시할 것으로 공언함에 따라 OLED TV 시장의 위축을 우려하는 시각이 매우 많았다.

하지만 IFA2016에서는 삼성전자의 OLED TV에 대한 네거티브 공세를 불식시키는 전시가 개최되고있다. 정확히 표현하자면 “LCD TV, 이젠 아니야!”이다.

유럽의 최대 가전 제품 맹주인 PhilipsOLED TV로 옷을 바꿔 입고 IFA2016 전시장을 화려하게 꾸몄다.

20160902_1

20160902_2

PhilipsOLED TV를 부각시키기 위해 매우 세심한 전시 컨셉을 구상하였다. 우선3면에 많은 수의 LCD TV를 배치하여 현재 주력 제품은 아직 LCD TV임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TV를 수십대 이상 전시할 수 있는 넓은 가운데 공간에 OLED TV를 수직으로 배치하고 회전시켜 어느 각도에서도 PhilipsOLED TV가 잘 보여지도록, 또한 잘 볼 수 있도록 고려하였다. OLED TV에 대해서는 입체적으로 제품을 관찰할 수 있는 공간을 배려한 것이다. Philips는 말이 아닌 공간 배치로서 이제부터는 OLED TV로 포트폴리오를 바꿀 것을 선언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번 전시에서는 전시자가 OLED TV의 우수성을 LCD TV와 같이 비교하여 볼 수 있도록 고려하였다.

20160902_3

선명한 색상과 명확한 명암비를 나타내는 OLED TV의 뒷편에 자리 잡은 LCD TVghost 효과로서 색이 번져 보이며 영상 속 사물의 경계면이 또렷하지 않아 사물의 윤곽이 허물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LCD TV만으로 화면을 보면 이러한 LCD TV의 문제점이 나타나지 않으나, OLED TV와 함께 봄으로서 LCD TV의 단점이 명확히 드러나고 있다.

PhilipsOLED TVLCD TV 속에 전시하여 OLED TV의 우수성을 극대화 시켰다.

중동의 TV 맹주인 Vestel에서도 OLED TVLCD TV 사이에 전시하였다. LCD TV를 벽면에 전시하고 55인치와 65인치 OLED TV 12장을 양면으로 가운데 공간에 배치 시켰다. 역시 OLED TV 뒤로 LCD TV를 같이 볼 수 있게 하였다.

20160902_4

더욱이 TV 전시가 끝나는 마지막 공간에는 OLED TV 9장을 타일링한 세계 최대 크기 OLED TV를 전시하여 이게 바로 OLED TV!”로 외치고 있다.

 20160902_5

OLED TV에 대한 삼성전자의 네거티브 공세는 앞으로도 계속되겠지만, 전세계 TV업체들은 하나 둘 점점 OLED TV 진영으로 모이고 있다.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LCD TV는 사라지고 OLED TV가 지배할 시간이 점점 다가오고 있다.

[IFA 2016]Galaxy Gear: Talk about 3 event: How far the smart watch could be evolved

In Berlin where IFA2016 is held, Samsung Electronics hosted the showcase of Gear3, which is a follow-up model of Galaxy Gear on Aug. 31.
Smart watch is equipped with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including a sporty sense, communication and simple healthcare function of checking the heart rate and the amount of exercise. Since Galaxy Gear2 and Apple Watch also had no difference with those characteristics, the prospect of smart watch market did not seem bright.
However, Galaxy Gear3 showed how smart watch could be used in human life in an appearance different from previous ones. It has evolved into a product that could absorb the existing watch market instead of seeking differentiation from the existing watches.

20160901_1

First of all, the appearance has been changed. The case is changed to steel, and it uses Gorilla Glass SR+ in order to prevent impact. Gear is carved in bezel, which was plain and inconvenient in manipulating the display.

20160901_2

It absorbed the appearance of the best sports watch models.
With its expanded width of 1.5 inch, the exterior has been expressly changed compared to the previous model, Galaxy Gear2.

20160901_3

In addition to the exterior change, Galaxy Gear3 has tremendously evolved in its internal software. Firstly, Always on Display function, which is applied to Galaxy S7, is applied. Always on Display is a function that enables you to always check time, and the function is realized by installation of the best flexible OLED only available by Samsung Display. In order to materialize it, it is required to have a display with very low power consumption, the operation technology and a long-life battery.

20160901_4

With a built-in GPS function, it is capable of navigation. You can use the smart watch separately since it is designed to be equipped with Alti/Barometer, Speedometer, LTE and built-in Speaker.
In addition to these, it secured safety by installing Knox, the software security system of Samsung. It also contains Connected Car System, which could be linked with an automobile.
In a comprehensive sense, Galaxy Gear3 to be launched soon is the first product that could be independently used without any smart phone. It has evolved to be a “Digital Convergence” product, which absorbed smart phone, rather than being an accessory product of smart phone.
In this event, Galaxy Note7 appeared in assisting the Galaxy Gear3. I have a very strong and good feeling that Galaxy Gear and Galaxy Note might pioneer a new market which divides up the existing smart phone market.

20160901_5

 

[IFA2016] Galaxy Gear: Talk about 3 event: 스마트 워치의 진화는 어디까지

IFA2016이 개최되는 베를린에서 삼성전자는 Galaxy Gear 후속 모델인 Gear3 공개 행사를 831일 진행했다.

스마트 워치에는 기존 시계와의 차별화 포인터로서 스포티한 감각과 통신, 심박수와 운동량을 체크할 수 있는 간단한 healthcare 기능이 있었다. Galaxy Gear2Apple Watch 역시 이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여 스마트 워치 시장이 밝아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Galaxy Gear3는 이전과 다른 모습으로 스마트 워치가 인간의 생활에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고, 기존 시계와의 차별화를 모색하는 대신 기존 시계 시장을 흡수 할 수 있는 제품으로 진화하였다.

20160901_1

우선 외관 변화이다. 케이스가 스틸로 바뀌었고 충격 방지를 위해 Gorilla Glass SR+를 사용 하였으며, 화면을 조작에 불편했던 밋밋한 베젤에 기어가 각인되었다.

20160901_2

최고급 스포츠 모델 시계 외형을 모두 흡수하였다.

시계 사이즈는 1.5인치로 확대되어 이전 모델인 Galaxy Gear2에 비하면 확연히 외관이 변화하였다.

20160901_3

Galaxy Gear3는 외관 변모와 더불어 내부 소프트 웨어는 엄청나게 진화하였다. 우선 Galaxy S7에 적용되고 있는 Always On Display 기능이다. Always On Display는 항상 시간을 볼 수 있는 기능으로서 삼성디스플레이만이 만들 수 있는 최상의 flexible OLED가 탑재된 것이다. 소비 전력이 매우 낮은 디스플레이와 구동 기술, 장수명 베터리가 있어야만 가능하다.

20160901_4

GPS 기능을 내장하여 네비게이션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고도 측정계(Alti/Barometer)와 속도계(Speedometer), LTE, 내장 스피커가 있어 스마트 워치 단독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설계되었다.

여기에 삼성의 소프트웨어 보안 시스템인 Knox를 탑재하여 안전성을 확보하였고 자동차와 연동되는 Connected Car 시스템도 들어 있다.

종합해서 표현하자면 이번에 출시되는 Galaxy Gear3는 스마트 폰 없이도 단독으로 사용이 가능한 최초의 제품이라는 점이다. 스마트 폰의 부속 제품이라는 변방에서 오히려 스마트 폰을 흡수한 “Digital convergence” 제품으로 진화한 것이다.

이번 행사에 보조 출현한 제품은 Galaxy Note7이다. 어쩌면 Galaxy GearGalaxy Note가 기존 스마트 폰 시장을 나눠 갖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 할 수 있을 것 같은 좋은 예감이 매우 강하게 스치고 지나 간다.

20160901_5

Sunic System Suggests High Resolution 11K AMOLED Panel Solution through Plane Source

Sunic System’s solution for 11K (2,250 ppi) AMOLED production revealed in IMID 2016 held in Jeju ICC, South Korea is receiving much attention.

In the 2nd OLED Korea Conference held earlier this year, Samsung Display’s principal engineer Insun Hwang told the attendees that high resolution is the key in VR, and approximately 2,000 ppi is required for suitable realism. He explained that the resolution of VR fall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display is short and this is an issue that needs to be solved.

The highest resolution of the current AMOLED panel for mobile device is 806 ppi, revealed by Samsung Display in SID 2016. The technology being applied to AMOLED panel mass production is evaporating OLED emitting materials through heat from linear source, and depositing the OLED emitting materials onto substrate through fine metal mask (FMM).

However, during the deposition stage of the OLED emitting materials, due to the distance between the evaporation source and FMM, thickness of FMM, and distance between FMM and substrate, incidence angle (θ) is produced. Due to the incidence angle, shadow distance (SD) is generated. Because of the SD issues, mask thickness and step height that minimize SD have to be decided, and these are the main reasons for the FMM production difficulty.

Shadow Distance Principle, Sunic System IMID 2016

Plane Source Process, Sunic System IMID 2016

Plane Source Process, Sunic System IMID 2016

Plane Source Application, Sunic System IMID 2016

To solve these issues, Sunic System suggested plane source, instead of linear source, and reported that this will become a key technology for high resolution AMOLED panel. Plane source technology deposits OLED emitting materials on metal plate and vertically evaporates the materials through heat after reversing that metal plate. If OLED emitting material shadow angle (Ф) becomes 90, the SD (shadow distance, step height / tanФ) theoretically becomes 0. This means FMM can be designed to be thin and high resolution, allowing for high resolution AMOLED panel production.

Sunic System’s Dr. Chang Hun Hwang explained that plane source can reduce SD figure up to approximately 8 times compared to existing technology, and 11K (2250 ppi) AMOLED panel for VR use becomes possible. Through this 8K (200 ppi) RGB OLED TV panel production becomes possible in large area SMS evaporation technology.

Particularly, if plane source using SMS evaporation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large area, it is also expected to have significant impact on large area OLED panel production technology.

So far, inkjet printing technology applied solution process method has been mainly developed for RGB large area OLED panel production, but soluble OLED emitting materials’ performance fall short of existing evaporation OLED emitting materials. However, if plane source technology is successfully developed and applied, evaporation OLED emitting materials can be used. Accordingly, this could become large size OLED panel production technology that replaces solution process OLED.

Sunic System supplied Gen6 evaporator to LG Display, a first for a Korean manufacturing equipment company, and active mass production is expected to be possible from 2018.

선익시스템, plane source기술로 고해상도 11K AMOLED panel 해법 제시

제주도 ICC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IMID2016에서 선익시스템의 11K(2250 ppi) AMOLED 제조를 위한 솔루션이 화제가 되고 있다.

올해 초 개최된 제 2회 OLED Korea Conference에서 삼성디스플레이의 황인선 수석연구원은 “VR에서는 고해상도가 핵심이며 약 2000ppi 정도 되어야 VR 디바이스에서 현장감을 잘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발표하며, VR에서는 디스플레이를 접하는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해상도가 떨어진다는 점을 해결해야할 과제로 꼽았다.

하지만 현재 mobile 기기용 AMOLED panel의 최고 해상도는 삼성디스플레이가 SID2016에서 공개한 806 ppi가 최고 해상도이다.

현재 AMOLED panel 양산에 적용중인 기술은 선형소스에서 OLED 발광재료를 열로 증발시키고 증발된 OLED 발광재료가 FMM(fine metal mask)를 통과하여 기판에 증착되는 원리이다.

하지만 OLED 발광재료의 증착과정에서 증착 소스와 FMM 사이의 거리와 FMM의 두께, FMM과 기판 사이의 거리로 인하여 OLED 발광재료가 FMM을 통과할 시 입사각(θ)이 생기게 되며, 입사각으로 인하여 SD(shadow distance)가 발생하게 된다. SD이슈로 인해 FMM을 설계시 SD를 최소화 하는 mask의 두께와 step hight를 결정해야 하며 이는 고해상도 FMM 제조를 어렵게 하는 주요 원인이다.

Shadow distance 원리, 선익시스템 IMID2016

Plane Source Process, 선익시스템 IMID2016

Plane source의 적용 application, 선익시스템 IMID2016

Plane source의 적용 application, 선익시스템 IMID2016

선익시스템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linear source가 아닌 plane source를 제안하였으며, 이는 고해상도 AMOLED panel의 핵심 기술이 될 것으로 발표했다. Plane source기술은 metal plate에 OLED 발광재료를 증착하고 뒤집은 후 metal plate에 열을 가함으로써 OLED 발광재료를 수직으로 증착시키는 기술이다. OLED 발광재료 shadow angle(Ф)이 90도가 되면 이론적으로 SD(Shadow distance, step hight / tanФ) 값이 0이 되기 때문에 FMM의 두께를 얇고 고해상도로 설계할 수 있어 고해상도 AMOLED panel 제조가 가능해 진다.

 선익시스템의 황창훈 박사는 “plane source를 이용하면 SD값을 기존대비 약 8배 까지 줄일 수 있어 VR용 11K(2250 ppi) AMOLED panel 구현이 가능해지며, 대면적 SMS 증착기술에서도 8K(200 ppi) RGB OLED TV용 panel 제조가 가능해진다.”라고 설명 하였다.

특히 plane source를 적용한 SMS 증착기술이 대면적에 적용이 가능해지면, 대면적 OLED panel 제조 기술에도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까지는 RGB 방식으로 대면적 OLED panel 제조를 위한 기술로는 inkjet printing을 적용한 solution process이 중점적으로 개발되고 있지만, soluble OLED 발광재료의 성능이 기존 증착용 OLED 발광재료보다 낮은 이슈가 있었다. 하지만 plane source 기술이 성공적으로 개발, 적용가능해 진다면, 증착용 OLED 발광재료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solution process OLED를 대체하는 대면적 OLED Panel제조기술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선익시스템은 LG Display에 국내 장비업체 최초로 Gen6 증착장비를 납품하였으며, 2018년부터 본격적인 양산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Phone when Folded, Tablet when Opened… President of UBI Research ‘Flexible OLED Opens New Digital Convergence’

The president of UBI Research Choong Hoon Yi

Hyunjoo Kang / jjoo@olednet.com

Phone when Folded, Tablet when Opened… President of UBI Research ‘Flexible OLED Opens New Digital Convergence’

Combining smartphone and tablet PC, flexible OLED is expected to be a key player in opening the new digital convergence era.

During the Industrial Forum IMID 2016, held on 23 August in Jeju ICC in South Korea, the president of UBI Research Choong Hoon Yi gave a keynote speech and suggested the changes to the industry that flexible OLED will bring.

Yi discussed diverse applications for flexible OLED and emphasized that digital convergence where tablet PC is absorbed into smartphone will occur. He explained that flexible OLED will open the foldable phone era where the screen can be completely folded, and innovative product which will become a 5 inch smartphone when folded and a tablet PC when opened will be developed.

Yi explained that using the flexible OLED’s characteristics of thinness, lightness, flexibility, and spatial efficiency, it will be widely used. He estimated that not only will flexible OLED be used in automotive screen, lighting, flexible signage, and foldable game device, it will be utilized in diverse areas from wearable products such as smart helmet to smart fashion.

Referencing UBI Research’s analysis, Yi forecast that in 2020, 60% of the total smartphone will be OLED smartphone, and in 2021, 70% of OLED smartphone will be equipped with flexible OLED.

접으면 폰 펼치면 태블릿…UBI 이충훈 대표 “플렉서블 OLED, 새 디지털 컨버전스 열어”

유비산업리서치 이충훈 대표가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강현주 / jjoo@olednet.com

플렉서블 OLED가 스마트폰과 태블릿 PC를 융합시킴으로써 새로운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를 여는 주역이 될 것으로 점쳐진다.

8월 23일, 제주도 ICC 제주에서 개최된 ‘인더스트리얼 포럼’에서 유비산업리서치 이충훈 대표는 기조연설을 통해 플렉서블 OLED가 가져다 줄 산업의 변화를 제시했다.

이충훈 대표는 플렉서블 OLED의 다양한 응용분야들을 살펴보면서 태블릿 PC가 스마트폰에 흡수되는 디지털 컨버전스가 일어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플렉서블 OLED는 화면을 완전히 접을 수 있는 폴더블폰 시대를 열 것”이라며 “접으면 5인치대 스마트폰이 되고 펼치면 태블릿 PC가 되는 혁신적인 제품이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플렉서블 OLED는 얇고 가벼우며 잘 깨지지 않는 특성과 유연하고 공간효율적인 장점을 앞세워 다양하게 활용될 것이라는 게 이충훈 대표의 설명이다.

그는 “플렉서블 OLED는 자동차 스크린 및 조명, 플렉서블 사이니지, 폴더블 게임 기기 뿐 아니라 스마트 헬멧 등 웨어러블 제품에서 스마트 패션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분야에 응용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이 대표는 유비산업리서치의 자료를 인용해 “2020년이면 전체 스마트폰의 60%를 OLED 스마트폰이 차지할 것이며, 2021년에는 OLED 스마트폰 중 70%가 플렉서블 OLED를 탑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Samsung Display Mentions OLED’s BT2020 for First Time, OLED Emitting Materials Companies’ Concern to Increase

Source: Samsung Display Keynote, IMID 2016

Color Coordinates Development Direction for Each Color to Satisfy BT2020, Source: AMOLED Characteristics Analysis Report of Galaxy S Series

Samsung Display’s Dr. Sung-Chul Kim gave a keynote speech during IMID 2016 being held in Jeju ICC in South Korea. He emphasized that AMOLED is the suitable display for the current trend and discussed the issues to be solved for AMOLED.

 

Kim gave several talks this year on similar topics but this is the first time he mentioned BT2020 as AMOLED’s color space. Accordingly, concerns of OLED emitting materials companies are expected to increase.

 

Until now, Kim has been discussing phosphorescent blue materials as the key issue; only OLED phosphorescent materials are red and green, and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hosphorescent blue materials are urgently needed, which will lead to 300% increase in efficiency. However, during this keynote speech, he emphasized BT2020 for the first time with the phosphorescent blue application.

 

BT2020 is color space with red, green, and blue wavelengths of 630nm, 532nm, and 467nm respectively. In CES 2016, it was selected by UHD Alliance as the color space applied to UHD TV.

 

According to AMOLED Characteristics Analysis Report of Galaxy S Series, published by UB Research in May 2016, Galaxy series’ color space needs to meet BT2020. In order to meet this, for u’, red needs to increase, green decrease, and blue to decrease. For v’, red needs to decrease, green to increase, and blue to increase in terms of color coordinate movement.

 

Resolution and color coordinates of mobile device panel tends to follow TV development direction. As UHD Alliance selected BT2020 as the standard, AMOLED panel for mobile that meets this requirement needs to be produced. Accordingly, OLED emitting materials companies’ development focus, which is currently on lifetime and efficiency, is expected to be required to change.

삼성디스플레이, OLED의 BT2020 최초 언급, OLED 발광재료업체 고심 깊어질 듯.

IMID 2016 Keynote Samsung Display 발표

BT 2020을 만족시키기 위한 각 color 별 색좌표 개발 방향, Source: Galaxy S Series의 AMOLED 특성 분석 보고서

제주도 ICC 컨벤션 센터에 열리고 있는 IMID 2016 행사의 keynote session에서 Samsung Display의 김성철 부사장은 디스플레이의 트렌드와 이에 적합한 디스플레이는 AMOLED라고 강조하며 AMOLED가 해결해야 할 이슈에 대해 발표하였다.

김성철 부사장은 올해 여러 번 비슷한 주제로 발표를 가졌지만 이번 발표에서는 AMOLED의 색좌표도 BT2020으로 가야할 것이라 언급하여 OLED 발광재료 업체들의 고심이 깊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까지 김성철 부사장의 발표에서는 OLED 발광재료는 red와 green만 인광이 적용 중이고 blue의 인광 개발과 적용이 시급하며 blue 인광이 적용될 경우 기존 대비 300%의 효율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며, 인광 blue 적용을 핵심 이슈로 발표했었다.

하지만 이번 IMID 2016 keynote에서는 인광 blue 적용과 함께 BT2020에 대해서 최초로 강조했다.

BT2020은 각 color 별 R, G, B의 파장이 630nm, 532nm, 467nm인 색공간으로 CES 2016에서 UHD Alliance에 의해 UHD TV에 적용되는 색공간으로 채택되었다.

유비산업리서치에서 2016년 5월 발간한 ‘Galaxy S Series의 AMOLED 특성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Galaxy 시리즈의 색좌표는 BT2020을 만족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u’의 경우 red에서 증가, green에서 감소, blue에서 감소해야 하며 v’의 경우 red에서 감소, green에서 증가, blue에서 증가하는 방향으로 색좌표의 이동이 되어야한다고 분석했다.

Mobile 기기의 panel의 해상도와 색좌표는 TV의 개발 방향을 따라가는 경향이 있다. UHD Alliance에서 BT2020을 표준으로 채택한 만큼 이를 만족하는 mobile용 AMOLED panel이 만들어지기 위해서 수명과 효율에 중점을 두고 있는 OLED 발광재료업체들의 개발 초점이 바뀌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LG Display ‘POLED, Key Differentiation of Automotive Cluster and CID Design’

LG Display

LG Display’s Automotive Sales and Marketing director Sanghyun Ahn

Hyunjoo Kang / jjoo@olednet.com

LG Display emphasized that the automotive industry can differentiate design through plastic OLED (POLED).

 

During the Industrial Forum IMID 2016 held on 23 August in Jeju ICC of South Korea, LG Display’s Automotive Sales and Marketing director Sanghyun Ahn gave a key note presentation titled ‘Plastic-OLED Market Projection and Application in Automotive Display’, and explained advantages that POLED brings to automotive interior design. In particular, Ahn emphasized that POLED allows design freedom for automotive cluster and CID (center information display).

 

Ahn told the audience that cluster and CID related design differentiation and large size actualization is possible in the automotive market and requires unbreakable panel. POLED allows for integration of CID and cluster, a large size CID, and unconstrained cluster design, and can become a differentiation point in the automotive industry.

 

Compared to LCD, OLED is thinner and superior in contrast ratio, color gamut, and response speed. However, Ahn added that OLED’s lifetime and burn issues remain to be solved. He explained that POLED’s lifetime at 25°C LT80 is expected to increase to 15,000 in 2020 from 10.000 and reliability is estimated to improve from 2016’s 240 hours to 2018’s 500 hours.

 

Ahn revealed that regarding POLED for cluster and CID use LG Display is planning to release 13 inch FHD curved POLED in 2018, and curved and freeform 25 inch POLED in 2019.

LG디스플레이 “POLED, 자동차 클러스터와 CID 디자인 차별화의 핵심”

LG Display

LG디스플레이 안상현 부장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강현주 / jjoo@olednet.com

LG디스플레이가 플라스틱 OLED(POLED)를 통해 자동차 업계가 ‘디자인 차별력’을 가질 수 있다고 강조하고 나섰다.

8월 23일 제주도 제주ICC에서 열린 ‘인더스트리얼 포럼 IMID 2016’에서 LG디스플레이 안상현 부장은 ‘자동차 시장에서의 플라스틱 OLED의 전망과 애플리케이션’이라는 제목의 기조연설을 통해 POLED가 자동차 내부 디자인에 가져다주는 장점들을 설명했다.

POLED는 특히 차량 내 클러스터와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 디자인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고 안 부장은 강조했다.

안상현 부장은 “자동차 시장에서는 클러스터와 CID 관련 디자인 차별화 및 큰 사이즈 구현이 가능하며 깨지지 않는 패널을 필요로 한다”며 “POLED를 통해 CID와 클러스터를 통합하거나, 큰 사이즈의 CID, 자유로운 형태의 클러스터 디자인이 가능해 자동차 업체의 차별화 포인트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OLED는 LCD에 비해 명암비, 색역, 응답속도, 얇은 두께 구현 등은 더 뛰어나다. 하지만 life time과 burn in 부문은 뒤쳐진다는 게 해결과제라는 게 안 부장의 설명이다.

그는 “POLED는 라이프타임이 25도C 환경에서 LT80 기준 10000에서 2020년 15000까지 올라가며, Reliability는 2016년 240hrs에서 2018년 500hrs까지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안 부장은 “LG디스플레이는 클러스터 및 CID용 POLED 관련해 2018년 13인치 FHD 커브드, 2019년 25인치 커브드 및 프리폼의 POLED를 낼 예정”이라고 밝혔다.

Samsung Display Principal Engineer, “VR∙AR will become comparable to 3D TV?”

samsung display

Samsung Display’s R&D Center principal engineer JongSeo Lee

Hyunjoo Kang / jjoo@olednet.com

Samsung Display’s R&D Center principal engineer JongSeo Lee suggested that VR∙AR market is an optimistic one unlike the 3D TV market of the past.

 

During the Industrial Forum held in ICC Jeju of South Korea, Lee gave a presentation titled ‘Introduction of Display Technology for VR/AR’, and mentioned concern from some sectors that the VR∙AR market will walk the same path as the 3D TV market.

 

Lee explained that the 3D TV market did not become vitalized due to the limits on contents production and 3D conversion technology, low quality of 3D display, lack of standards, etc. However, for VR∙AR market, contents and hardware such as Pokemon Go and HoloLens have arried, and many companies are active in this sector. Lee’s explanation is that leading companies including Apple, Microsoft, Intel, and Facebook are actively investing for VR∙AR sector and ecosystem is forming.

 

Using the Goldman Sachs materials, Lee emphasized that VR∙AR market will record USD 85,000 million by 2025. Furthermore, he explained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OLED, suitable for VR and AR, pointing out that transparent OLED is the key solution for AR technology actualization. He explained AR as the digital experience added to the actual physical environment or live screen, and transparent display actualizes this.

 

Compared to LCD, OLED has higher transmittance, and is considered the optimized solution for transparent display. For transparent OLED actualization, Lee told the audience that cathode with high transmittance and low resistance is needed and substrate should be able to withstand heat and be flexible. Metal types can be applied to the transparent area of the transparent display to produce mirror display. With this, AR can be experienced even using the form similar to mirrors. For this Lee added that high reflectance level and high color gamut are required.

삼성디스플레이 수석연구원 “VR·AR이 3DTV처럼 될거라고?”

samsung display

삼성디스플레이 이종서 수석 연구원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강현주 / jjoo@olednet.com

삼성디스플레이의 이종서 수석연구원이“VR·AR 시장은 과거 3DTV 시장과 달리 긍정적이라는 관점을 제시했다.

8월 23일 제주도 제주ICC에서 열린 ‘인더스트리얼 포럼에서 이종서 수석연구원은 ‘VR/AR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술’이라는 제목의 기조연설에서 VR·AR 시장이 과거 3DTV 시장과 비슷한 길을 걸을 것이라는 일각의 우려에 대해 언급했다.

이종서 수석연구원은 “3DTV 시장은 콘텐츠 생산 및 3D 전환 기술의 한계, 3D 디스플레이의 낮은 품질, 표준의 부재 등으로 활성화 되지 못했다”라며 “하지만 VR·AR 시장은 포켓몬고, 홀로렌즈 등 이미 콘텐츠와 하드웨어들이 등장했으며 수많은 업체들이 이 분야에 참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페이스북 등 굴지의 기업들이 VR·AR 분야를 위해 적극 투자하고 있으며 생태계가 형성되고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 연구원은 골드만삭스의 자료를 인용해 “VR·AR 시장은 2025년까지 850억달러 규모를 형성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연구원은 이어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분야에 유용한 OLED의 기술적 특징들을 설명했다. 특히 투명 OLED가 증강현실(AR) 기술 구현을 위한 핵심 솔루션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AR에 대해 “실제 물리적 환경이나 실시간 화면에 더해지는 디지털 경험”이라고 설명하며 “투명디스플레이가 이를 구현해준다”고 말했다.

OLED는 LCD에 비해 투과율이 높아 투명 디스플레이를 만들기 위한 최적의 솔루션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 연구원은 “투명 OLED 구현을 위해서는 높은 투과율 및 낮은 저항의 캐소드(cathode)가 필요하며 기판(substrate)이 열을 잘 견디며 플렉서블이 가능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 영역에 메탈류를 적용, 미러(mirror) 디스플레이로 구현해 거울 같은 형태로도 AR을 즐길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높은 반사율과 고도의 색역(high color gamut)이 필요하다는 게 이종서 수석연구원의 설명이다.

TADF, a Hot Issue in OLED Conferences This Fall… Cynora Emphasizes Technical Skills

TADF is one of hot issues in OLED industry. (Picture Source : CYNORA)

TADF is one of hot issues in OLED industry. (Picture Source : CYNORA)

Hyunjoo Kang / jjoo@olednet.com

Starting with IMID in Jeju, South Korea, numerous OLED conferences are to be held one after another, with TADF (thermally activated delayed fluorescence) technology expected to be a hot issue. The leaders in this sector such as Cynora are planning to actively discuss the technical skills through the events in fall.

 

Due to low efficiency of blue emitting materials, the current OLED equipped products in the market have limits on display’s energy efficiency. As a main solution for this important issue, TADF technology is receiving much attention as the main method for improving blue emitting materials efficiency between key display companies.

 

The importance of TADF technology is expected to be heightened in IMID in Jeju (23-28 August), and SPIE Conference (28 August – 1 September) in San Diego. Cynora, blue emitting materials related TADF technology leading company, is expected to discuss the technology. In May, Cynora announced that they developed deep blue material reaching an EQE of 16.3% (at 100 cd/m2).

 

Furthermore, Korea’s Sungkyunkwan University, Japan’s Kyushu University, and China’s Tsinghua University will share TADF related academic knowledge through coming conferences. Technology to improve OLED application products’ power consumption is expected to be a key topic also in OLED World Summit to be held in San Diego in September.

UBI Research Lowers Forecast of OLED Market for ≥ 55 inch TV by Approx. 20-30%

55inch LG OLED TV

Hyunjoo Kang / jjoo@olednet.com
UBI Research reduced the expected OLED panel shipment for ≥ 55 inch TV in 2016-2020 by approximately 20-30% from the previous forecast. This is with the consideration that ≥ 65 inch TV market is growing.
Earlier this year, UBI Research forecasted that the global shipment of ≥ 55 inch OLED panel will be 1.2 million units in 2016 and grow to 8.1 million units in 2020. However, as the proportion of 65 inch panel mass production increases, the company reduced the forecast by 20-30% to approximately 0.8-0.9 million units in 2016, and around 6 million units in 2020. This is because 65 inch panel has low yield per mother glass.
This figure is based on the LG Display’s large size OLED panel mass production line, E3 and E4 factories in Paju. E3 factory is mainly operated for 55 inch panel production. E4 factory also has high 55 inch production proportion, but 65 inch panel is also mass produced at the same time.
55 inch TV is the main product for large size TV at present, but 65 inch TV market is also rapidly growing. Accordingly, LG Display is increasing the 65 inch panel proportion. UBI Research’s market investigation shows LG Display shipped approximately 28,000 units of 65 inch OLED panel in Q2 2016. This is approximately double the Q1 volume.
From 1 Gen8 mother glass sheet of E4 line, 6 units of 55 inch OLED panel can be produced but only 3 units of 65 inch panel. This means that as LG Display increases the 65 inch proportion, yield of the same period decreases.
Considering this, UBI Research forecasts that the shipment of ≥ 55 inch OLED panel will decrease by approximately 20-30%. Another market research company IHS also lowered global OLED TV market forecast by 32%, and estimated this year’s to be about 0.83 million units, and 5.8 million units in 2020.

TADF , 올가을 OLED 컨퍼런스 핫이슈…Cynora, 업계 대표해 기술력 강조

TADF is one of hot issues in OLED industry. (Picture Source : CYNORA)

TADF is one of hot issues in OLED industry. (Picture Source : CYNORA)

강현주 / jjoo@olednet.com

제주도 IMID 2016을 시작으로 앞으로 OLED 관련 컨퍼런스들이 본격적으로 열릴 예정인 가운데, 열활성화지연형광(TADF) 기술이 이번 가을 시즌 OLED 행사들의 뜨거운 관심사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Cynora 같은 이 분야 선도 업체는 올 가을 OLED 관련 행사들을 통해 자사의 기술력을 적극 알릴 계획이다.

현재 시중에 있는 OLED 탑재 제품들은 블루 발광 재료의 낮은 효율 탓에 디스플레이의 에너지 효율에 한계가 있다는 게 문제점으로 지목되고 있다.

핵심 디스플레이 업체들 사이에서 TADF 기술은 블루 발광 재료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으로 각광 받고 있다.

오는 8월 23일부터 제주도에서 열리는 IMID와 28일부터 샌디에고에서 열리는 SPIE 컨퍼런스에서도 이 기술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될 예정이다.

블루 재료 관련 TADF 선도 업체인 CYNORA GmbH는 이번 두 행사에서 업계를 대표해 이 기술 관련 정보를 전달할 계획이다. 재료 개발부터 정밀한 기계 공학에 이르는 내용이 마련된다. 이 회사는 지난 5월 외부양자효율 (EQE) 이 16.3% (100 cd/m2 조건) 에 이르는 진청색 재료를 개발했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한국의 성균관대, 일본 규슈대, 중국 칭화대도 올 가을 컨퍼런스들을 통해 이 기술 관련 학술 정보를 공유할 계획이다.

한편 오는 9월 말 샌디에고에서 열리는 OLED World Summit 에서도 OLED 응용 제품의 전력 소모를 개선해주는 기술이 핵심 주제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 노트7 호환 VR 신제품 출시…시야각·눈피로 개선

Gear VR (Source = Samsung)

삼성전자가 시야각과 사용성을 개선하고 호환성을 넓힌 가상현실 헤드셋 ‘기어 VR( Gear VR )’을 19일 국내 출시한다.

이번 신제품 ‘기어 VR’은 렌즈의 지름이 기존 38mm에서 42mm로 확대됐다.

시야각이 96도에서 101도로 넓어져 더 생생하고 몰입도 높은 가상현실을 즐길 수 있으며, 눈의 피로 현상도 개선될 것이라는 게 삼성전자의 설명이다.

‘기어 VR’은 갤럭시 노트7과 호환되는 USB타입-C포트를 채용했다.

함께 제공되는 micro USB 포트용 젠더를 활용해 갤럭시 노트5, 갤럭시 S7 엣지, 갤럭시 S7, 갤럭시 S6 엣지+, 갤럭시 S6, 갤럭시 S6 엣지도 연결해 사용할 수 있다.

기존 ‘기어 VR’에 충전 기능만 제공하던 외부 USB 허브는 외장 메모리나 외부 입력 기기와 연결도 가능해졌다.

기어 VR의 내ㆍ외부를 세련된 블루블랙 색상으로 변경하여 VR콘텐츠를 시청 할 때 빛 반사를 개선했다.

기기 조작도 더 편리해졌다.

기존의 ‘뒤로 가기’ 버튼 옆에 ‘홈 버튼’이 추가돼 VR 콘텐츠 감상 중에도 메인 화면인 오큘러스 홈 화면으로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새로워진 ‘기어 VR’은 디지털프라자, 하이마트, 전자랜드, 이마트 등 전국 1,100여개 매장과 삼성WA닷컴은 물론 오픈마켓 포함 온라인에서도 구매할 수 있다.

출고가는 기존 기어 VR 모델과 동일한 12만 9,800원이다.

삼성전자는 ‘기어 VR’을 더욱 풍부하게 즐길 수 있는 콘텐츠 인프라도 지속 확대해 나가고 있다.

오큘러스 스토어에서 게임, 교육, 소셜 등 다양한 카테고리의 300여종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특히 ‘리우 VR’ 앱으로 리우 올림픽 9종 경기의 주요 VR 영상을 안방에서 즐길 수 있으며, 22일 폐막식 역시 VR 생중계로 기어 VR 고객에게 제공한다.

개막식 주요 장면은 디지털프라자 매장에서도 기어 VR로 시청 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다음 달 360도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Samsung VR’ 앱을 오픈해 ‘기어 VR’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할 예정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번에 선보이는 ‘기어 VR’의 강화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통해 이용자에게 뛰어난 몰입감과 함께 최상의 가상현실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콘텐츠 연계 서비스를 더욱 강화해 가상현실 생태계 확장에 주력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기어 VR’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삼성전자 온라인 사이트(http://www.samsung.com/sec/gear)에서 확인할 수 있다.

Dramatic Growth for OLED Smartphone …Q2 2016 Panel Shipment Increased by 72%

OLED Smartphone Galaxy Note7(Source = Samsung)

OLED Smartphone Galaxy Note7(Source = Samsung)

Hyunjoo Kang / jjoo@olednet.com

OLED smartphone market is growing prominently in the global market. Q2 2016 global 4~6 inch OLED panel shipment increased by 72% compared to the same period in 2015.

According to investigation by UBI Research, the shipment of OLED panel for smartphone in Q2 2016 is 88 million units, an increase of 72% compared to 51.2 million units in Q2 2015. This rapid growth of 4~6 inch OLED panel is led by key smartphone companies in Korea and China.

Samsung Electronics, a leading representative of OLED smartphone market, is expanding OLED smartphone products. The company recently announced flexible OLED panel equipped Galaxy Note 7, a first for a Galaxy Note series.

Not only Samsung, but Chinese companies are leading the market growth expanding the OLED application. In particular, Huawei’s smartphone business growth is significantly affecting OLED market. According to a market research company IDC, the global smartphone sales of the same period is only 3%. However, the sales of Huawei, possessing numerous OLED smartphone products, increased by 25% in H1 compared to the same period in 2015.

According to UBI Research, the total revenue of Q2 2016 global smartphone OLED panel market is USD 3,160 million, approximately 27% increase compared to the same period in 2015.

LG디스플레이 IP 담당 오정훈 상무, 한국지식재산협회장 선임 돼

LGD IP 담당 오정훈 상무

강현주 / jjoo@olednet.com

LG디스플레이(대표이사 부회장 한상범, 韓相範 / www.lgdisplay.com)는 한국지식재산협회(KINPA, Korea Intellectual Property Association) 총회 결과 LG디스플레이 IP (Intellectual Property) 담당 오정훈 상무가 제 3대 회장으로 선임되었다고 18일 밝혔다.

한국지식재산협회는 기업의 지식재산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08년 설립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지식재산 민간단체로서 LG전자와 삼성전자 등 약 120여개 기업을 회원으로 두고 있다.

한국지식재산협회는 또한 각종 컨퍼런스 및 교육을 통해 지식재산의 중요성을 알리는데 앞장서는 한편, 지식재산 이슈의 대응방안 논의를 위해 회원사간 협력을 도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국가 지식재산 역량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오정훈 신임 회장은 “한국지식재산협회가 지식재산 분야의 전문성을 보유한 독립적인 기업 협의체로서 활동 저변을 확대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특히, 대•중소기업간 협력을 통해서 유용한 지식재산 노하우의 공유 등 회원사에 실질적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유비산업리서치, 55인치 이상 OLED TV 패널 시장 전망치 약 20~30% 낮춰

55inch LG OLED TV

강현주 / jjoo@olednet.com

유비산업리서치가 2016~2020년까지 55인치 이상  OLED TV 패널 출하량이 당초 전망치보다 약 20~30% 가량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65인치 이상 TV 시장이 커지고 있는 것을 감안한 것이다.

올해 초 유비산업리서치는 55인치 이상 OLED 패널의 글로벌 출하량이 2016년 120만개,  2020년에는 810만개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마더글래스 당 생산량이 적은 65인치 패널 양산 비중이 높아지면서 전망치를 20~30%로 하향했다. 이에 따라 2016년 약 80~90만개, 2020년 약 600만개 안팎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LG디스플레이의 대형 OLED 패널 양산라인인 파주의 E3, E4 공장을 기준으로 산정한 수치다.

E3 공장은 55인치 패널 생산 위주로 가동된다. E4 공장 역시 55인치 생산 비중이 높지만 65인치 패널도 동시에 양산한다.

현재 대형 TV는 55인치가 주류지만 65인치 TV 시장도 빠르게 성장 중이다. 이에 LG디스플레이는 65인치 패널의 비중을 늘리고 있다.

유비산업리서치의 시장조사 결과 LG디스플레이는 2016년 2분기 약 2만8000개의 65인치 OLED 패널을 출하했다. 이는 전분기 대비 약 2배 늘어난 수치다.

E4 라인의 Gen8 마더글래스 한장 당 55인치 OLED 패널은 6장이 만들어지지만 65인치 패널은 3장이 나온다.

LG디스플레이가 65인치의 비중을 늘릴수록 같은 기간 생산량은 줄어든다는 얘기다. 이를 감안하면 55인치 이상 OLED 패널 출하량이 약 20~30% 낮아질 것이라는 게 유비산업리서치의 전망이다.

한편 또 다른 시장조사 업체 IHS도 얼마전 글로벌 OLED TV 시장 전망치를 32% 하향했다. 이에 따라 올해 약 83만대, 2020년 580만대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OLED 스마트폰 대폭 성장…2016년 2분기 패널 출하량 72% 상승

OLED Smartphone Galaxy Note7(Source = Samsung)

OLED Smartphone Galaxy Note7 (Source = Samsung)

강현주 / jjoo@olednet.com

전세계 시장에서 OLED 스마트폰 시장이 눈에 띄게 성장하고 있다. 2016년 2분기 글로벌 스마트폰용 OLED 패널 출하량은 전년동기 대비 72%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유비산업리서치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전세계에 출하된 스마트폰용 OLED 패널은 8800만개다. 이는 2015년 2분기 5120만개보다 72% 상승한 수치다.

OLED 스마트폰 시장의 급성장을 주도 하는 것은 한국과 중국의 주요 스마트폰 업체들이다.

OLED 스마트폰 시장 대표주자인 삼성전자는 OLED 스마트폰 제품을 확대하고 있다. 최근 이 회사는 갤럭시노트 시리즈로는 처음으로 플렉서블 OLED 패널이 탑재된 갤럭시노트7을 발표하기도 했다.

삼성 뿐 아니라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도 OLED 채용을 늘리며 이 시장 성장을 이끌고 있다.

특히 화웨이의 스마트폰 사업 성장이 OLED 시장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세계 스마트폰 판매량 증가는 3%에 불과하다. 하지만 다수의 OLED 스마트폰 제품을 보유한 화웨이의 올해 상반기 스마트폰 판매량은 전년동기 대비 25%가 늘었다.

한편 유비산업리서치에 따르면 2016년 2분기 글로벌 스마트폰용 OLED 패널 시장 총 매출은 31억6000만 달러로 전년동기에 비해 약 27% 상승했다.

 

Smartphone OLED Shipment, From 2016’s 300 Million Units to 2019’s 1,000 Million

Flexible OLED Equipped Smartphone Galaxy note 7

Hyunjoo Kang / jjoo@olednet.com

Global smartphone OLED panel shipment is expected to exceed 300 million units for the first time in 2016, and exceed 1,000 million units in 2019.

On 16 August, UBI Research forecast that the global shipment for 4-6 inch OLED panel for smart phone is expected to be 318.8 million units, approximately 27% increase from 2015.

From then on, 2017 is estimated to record 505.3 million units, 902.5 million units in 2018, 1,170.2 million units in 2019, and 1,379 million units in 2020.

UBI Research forecast that rapid growth of flexible OLED for smart phone in particular will lead the total smart phone OLED shipment increase. According to UBI Research’s investigation, rigid type of smart phone OLED shipment is expected to dominate the total smartphone OLED shipment in 2016 with 78%.

However, in 2018, flexible OLED panel is estimated to record 56% and exceed rigid. The market share of flexible is expected to increase to 62.3% in 2019, and 67% in 2020; it is forecast to be the main force within the smartphone OLED market.

IHS, another market research company, also forecast that the smart phone OLED panel shipment will exceed 300 million units for the first time in 2016. IHS estimated the smartphone OLED shipment to be 366.88 million units in 2016 and 663.66 million in 2019, and showed some difference from UBI Research.

스마트폰용 OLED 출하량, 2016년 3억개 거쳐 2019년 10억개 돌파

삼성전자의 flexible OLED 탑재 Smartphone 갤럭시노트7

강현주 / jjoo@olednet.com

글로벌 smartphone 용 OLED 패널 출하량이 2016년 사상 처음으로 3억개를 넘고 오는 2019년에는 10억개를 넘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6일 유비산업리서치는 2016년 스마트폰용에 해당하는 4인치~6인치 OLED 패널 전세계 출하량이 2015년대비 약 27% 증가한 3억1880만개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2017년 5억530만개, 2018년 9억250만개, 2019년 11억7020만개를 거쳐 2020년에는 13억7900만개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유비산업리서치는 특히 스마트폰 시장에서 flexible OLED의 급성장이 전체 스마트폰 OLED 출하량 급증을 주도할 것으로 내다봤다.

유비산업리서치의 조사에 따르면 스마트폰용 OLED 중 rigid 타입 출하량은 2016년 전체 스마트폰용 OLED 출하량의 78%의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할 전망이다. 하지만 2018년이면 flexible이 56%를 차지, rigid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어 2019년에는 flexible이 62.3%, 2020년에는 67%까지 비중이 높아져 스마트폰 OLED 시장의 명백한 주류로 자리잡을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또 다른 시장조사업체 IHS도 2016년 스마트폰용 OLED 패널 출하량이 처음으로 3억개를 넘을 것으로 예측했다. IHS는 올해 스마트폰 OLED 출하량은 3억6688만개, 2019년 6억6366만개로 전망해 유비산업리서치와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H1 Sales of OLED Microdisplay Company eMagin Falls by 3.8%… USD 1 Million Profit in Licensing

eMagin`s Microdisplay (Source = eMagin)

Hyunjoo Kang / jjoo@olednet.com

eMagin, an OLED microdisplay company which is a technology that is needed for VR device, AR device, medical device, etc., showed 3.8% fall in H1 2016 sales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 with net loss of USD 2.404 million.

According to eMagin’s Q2 2016 performance results announced on 11 August, the company recorded sales of USD 5.5 million in sales, a decrease of approximately 11% compared to the same period in 2015.

As such, eMagin’s total sales in H1 is USD 12.534 million, approximately 3.8% less than H1 2015. While the product sale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the government contracts suffered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 However, the company recorded profit of USD 1 million in licensing revenue which did not occur in H1 2015. eMagin holds VR headset relate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eMagin recorded a net loss of USD 2.164 million in Q2 2016, and a net loss of USD 2.15 million in H1 2016. Compared to the net profit of USD 0.254 million in the same period last year, this is a fall of USD 2.404 million. Andrew G. Sculley, CEO of eMagin, explained that the government contract volume was low and there were some manufacturing equipment downtime. He emphasized that eMagin is the only company that can satisfy the resolution and luminance demanded by the expanding VR and AR market.

OLED Microdisplay 업체 eMagin 상반기 매출 3.8%↓…라이선스 매출 100만달러 발생

eMagin `s Microdisplay ( Source = eMagin )

강현주 / jjoo@olednet.com

가상 현실 (VR) 기기, 증강 현실 (AR) 기기 및 의료용 기기 등을 위한 OLED 마이크로디스플레이( Microdisplay ) 기술 업체인 eMagin 2016년 상반기 매출이 전년동기보다 3.8% 하락하고 미화 2404000달러의 순 손실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현지시간) eMagin 이 발표한 20162분기 실적자료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 2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약 11% 하락한 55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로써 이 회사는 상반기 총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약 3.8% 떨어진 12534000달러다. 상반이 제품 판매 매출은 큰 차이 없지만 정부로부터의 계약 수주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부진했다.

하지만 전년 동기에는 없었던 라이선스 매출이 올해 상반기에는 100만 달러 발생했다. 이 회사는 VR 헤드셋 기술 관련 지적 재산권을 가지고 있다.

올해 2분기 이 회사는 2164000달러의 순손실을 기록, 상반기 순손실은 총 215만 달러다. 전년동기 254000달러의 순이익에 비해 2404000달러가 하락했다.

이 회사CEOAndrew G. Sculley 올해 2분기에는 정부로부터의 계약 규모가 작았고 우리 제조 기기에 다운타임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Sculley CEO는 “우리는 소비자들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VR, AR 시장에서 요구하는 해상도와 밝기를 충족할 수 있는 기술을 가지고 있는 유일한 업체라고 믿는다라고 강조했다.

JDI Seeks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H1 Operating Lost JPY 10,600 Million

Source = JDI

Hyunjoo Kang / jjoo@olednet.com

Japan Display, which recently drew attention when it became known that they sought financial help from the government, recorded JPY 10,600 million operating loss in H1 2016.

This company recently announced that in Q1 2016, a fiscal year that ended on 30 June, they recorded JPY 174,300 million in sales, a decrease of 29.2%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 and operating loss of JPY 3,400 million, a fall of 5,600 million compared to the same period in 2015.

As such in H1 2016, JDI showed JPY 350,600 million in sales and JPY 10,700 million operating loss. It explained that the shipment in the last quarter fell short of expectations, and operating profit was poor due to China’s ASP fall, etc. In particular, it is analyzed that the poor sales of Apple’s iPhone, which has been occupying 50% of JDI sales, affected JDI’s business.

On 10 August, Japanese media reported that Mitsuru Honma, CEO of JDI, revealed that INCJ promised support. The financial support is analyzed to be for the smooth installation of OLED mass production line as well as the loss recovery.

JDI is carrying out mobile OLED mass production line and anticipated to be one of the strong candidates as OLED panel suppliers for Apple’s future new iPhone. Through this performance announcement, JDI emphasized they are planning to mass produce OLED from H1 2018.

The company forecast that they will show JPY 210,000 million in sales and JPY 1,000 million operating profit in Q2 2016 in fiscal year that ends in 30 September.

정부에 자금 지원 신청한 JDI , 상반기 영업손실 106억 엔

Source = JDI

 강현주 / jjoo@olednet.com

최근 일본 정부에 재정지원을 요청한 것이 알려져 눈길을 끌었던 재팬디스플레이( JDI )는 올해 상반기 106억 엔(한화 약 1149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JDI는 최근 실적발표를 통해 지난 630일에 마감한 회계연도 20161분기에 전년동기보다 29.2% 하락한 1743억 엔의 매출과 전년동기대비 영업이익이 56억 엔 하락한 34억 엔의 영업손실을 냈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JDI는 올해 상반기 총 매출 3506억 엔(한화 약 38000억 원)107억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JDI는 지난 분기 출하량이 예상치에 미치지 못했으며 중국에서의 ASP 하락 등으로 영업이익이 부진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JDI 매출의 50%를 차지해온 애플의 아이폰 판매부진이 JDI의 사업에 타격을 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10일 일본 언론들은 JDI 혼마 미츠루 CEO일본산업혁신기구(INCJ)가 지원을 약속했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JDI의 이번 자금지원은 손실을 만회하는 한편 OLED 양산라인 구축을 차질없이 진행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한편 JDI는 모바일 OLED 양산라인 구축을 진행하고 있어 애플의 차기 아이폰 신제품에 OLED 패널을 공급할 유력한 후보 중 하나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업체다. JDI는 이번 실적발표를 통해 “2018년 상반기부터 OLED 양산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 회사는 오는 9월 30일 마감되는 회계연도 2016년 2분기에 2100억 엔의 매출과 10억엔의 영업이익을 낼 것으로 전망했다.  

2016 상반기 OLED 웨어러블, 스마트워치 쏙 들어가고 VR · 스마트밴드 대세

리스본 락 페스티발에 마련된 갤럭시 어드벤쳐 파크에서 삼성전자 모델이 VR 번지점프를 하고 있다. (출처 = 삼성전자)

강현주 / jjoo@olednet.com

올해 상반기 OLED 웨어러블 기기 시장은 전년동기와 달리 스마트 워치 부문은 조용했던 반면 가상현실( VR ) 기기와 스마트 밴드가 대세를 이뤘다.

유비산업리서치의 조사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공개된 OLED 웨어러블 기기 중 VR기기 (OLED 디스플레이를 직접 탑재하거나 OLED 스마트폰을 끼워 쓸 수 있는 VR 기기) 6, 스마트 밴드는 4종이다.

2015년 상반기 공개된 OLED 웨어러블 기기는 스마트 워치 5종과 스마트 밴드 3종이다. 이는 스마트 워치 신제품이 거의 나오지 않은 올해 상반기와 대조적인 모습이다.

VR 부문은 오큘러스가 지난 1월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를 탑재한 VR 기기인 오큘러스 리프트를 발표한 것을 시작으로 소니, HTC, DeePoon 등이 소비자 가전 전시회 (CES) 같은 국제 전시회에서 신제품을 속속 공개했다. 최근 삼성전자는 뉴욕 갤럭시 노트 7 언팩 행사에서 갤럭시 노트 7과 연동되는 새 기어 VR’ 제품을 발표, 이에 힘입어 3분기에도 VR 열기가 지속될 예정이다.

지난 상반기 스마트밴드 부문은 삼성전자의 기어 핏2’, 샤오미의 미 밴드2’, Fitbit알타등이 출시되며 시장을 달궜다.

올해 상반기 발표된 OLED 스마트 워치 신제품은 중국 GEAK이 지난 5‘CES 아시아 2016’에서 전시한 OLED와 E-Paper 듀얼 디스플레이의 ‘GEAK Watch 3세대가 유일한데 그나마 시장에 나오지 않았다.

스마트 워치 시장이 이처럼 정체를 보이는 것은 짧은 배터리수명, 유용한 애플리케이션의 부재 등으로 소비자 마음을 잡지 못한 것이 요인으로 지목돼 왔다.

하지만 3분기 삼성전자와 애플의 스마트 워치 신제품이 발표될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 시장이 다시 활기를 찾을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은 오는 9월 베를린에서 열리는 IFA 2016에서 기어 S3’를 공개할 것으로 알려졌으며 애플도 9월에 애플 워치2’를 발표한다는 소문이 있다. 실제로 애플은 지난 6월 세계 개발자 회의( WWDC )에서 속도와 기능을 강화한 스마트워치용 새 운영체제 ‘Watch OS 3’ 를 공개한 바 있어 기대가 모아진다.

갤럭시노트7, 스마트폰 최초로 밝기 1,000cd/㎡ 돌파

Galaxy note 7 이 밝기 1,000cd/㎡를 돌파했다.

강현주 / jjoo@olednet.com

삼성전자의 신제품 갤럭시노트7( Galaxy note 7 )의 디스플레이가 스마트폰 최초로 밝기 1,000cd/㎡(가로·세로 1미터의 평면에 촛불 1000개를 켜 놓은 정도의 밝기)를 돌파했다고 삼성디스플레이가 10일 발표했다.

갤럭시노트7은 디스플레이 전문 기관인 디스플레이메이트의 화질평가에서 종합점수 ‘Excellent A’ 등급을 획득했다. 디스플레이메이트가 공개한 평가 결과에 따르면 갤럭시 노트7은 주요 평가항목인 밝기, 야외시인성, 색 표현력 등에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갤럭시노트7은 5.7형 QHD(2560×1440) OLED를 탑재해, 해상도와 사이즈 면에서 전작인 노트5와 동일한 스펙을 유지했으나 밝기, 반사율 등 야외시인성 관련 성능은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은 다른 IT제품에 비해 야외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밝은 태양광 아래에서도 화면이 또렷이 보이는 정도인 야외시인성이 중요하다. 야외시인성은 디스플레이의 밝기와 반사율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디스플레이메이트에 따르면 노트7의 최대 밝기는 1,048cd/㎡로 측정돼 전작인 갤럭시 노트5의 861cd/㎡ 보다  22% 가까이 높아졌다.

갤럭시노트7은 화면 시청을 산만하게 하고 눈에 피로도를 높이는 요소인 화면반사율도 지속 개선해 노트 시리즈 중 역대 최저인 4.6%를 달성했으며, 무한대에 이르는 명암비 등을 통해 야외에서도 뛰어난 가독성을 확보했다는 게 삼성전자의 설명이다.

갤럭시 노트7은 모바일 HDR(High Dynamic Range) 기술을 탑재했다. 사람의 눈은 암흑 상태인 0cd/㎡부터 수만 cd/㎡까지 다양하게 인식하는데 비해, 디스플레이는 그보다 훨씬 좁은 영역의 밝기만 표현할 수 있어 그 동안 자연스러운 장면을 담아내기 어려웠다. HDR은 화면의 어두운 부분은 더욱 어둡게 표현하고, 밝은 곳은 더욱 밝게 표현해 화질을 높이는 기술로 현재 프리미엄 UHD TV를 중심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이번 평가에서 갤럭시 노트7은 DCI-P3의 색표현영역 만족도 97%라는 최고 수준의 기록을 달성해 약 80% 수준인 LCD 기반 제품보다 월등한 화질 성능을 과시했다.

자동차 조명용 OLED 쑥쑥 성장…2019년이면 실내 조명 시장 넘어

Source = Novaled

OLED Lighting for Automotive (Picture Source = Novaled)

강현주 / jjoo@olednet.com

조명용 OLED 패널 시장이 빠른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인 가운데, 특히 자동차( Automotive ) 조명용 OLEDOLED 조명 시장을 리드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비산업리서치가 8일 발간한 ‘2016 OLED Lighting Annual Report’에 따르면 글로벌 자동차 조명용 OLED 패널 시장은 올해 300만 달러에 불과하다.

하지만 2017년부터 급성장을 거듭해 오는 2019년이면 29600만 달러 규모를 형성, 실내 조명용 OLED 패널 시장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된다. 2019년 실내조명용 OLED 패널 시장은 18300만 달러로 관측된다.

이어 2020년에는 자동차 조명용 OLED 패널 시장은 82100만 달러로 49400만 달러의 실내조명 시장과 더욱 격차를 벌일 전망이다. 이후에는 실내조명 OLED 시장이 급성장해 2023년부터 자동차 부문 매출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그 이후에도 자동차 부문은 실내조명과 함께 OLED 조명 시장의 메이저 영역을 사수할 전망이다.

OLED는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하다는 것과 눈 건강에 해롭지 않다는 장점 덕에 차세대 자동차 조명용 패널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OLED는 곡면 디자인이 가능하다는 점이 자동차 조명으로서의 장점으로 부각된다.

실제로 유비산업리서치는 자동차 조명용 OLED 시장에서 플렉서블 OLED의 점유율은 앞으로 지속적으로 75%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유비산업리서치 관계자는 “OLED는 플렉서블 구현이 가능해 자동차 실내등, 테일라이트 등의 디자인 측면에서 이점이 많다더 얇고 자유로운 곡면 디자인이 가능해 차량 내 어느 위치에도 설치할 수 있는 조명을 설계할 수 있어 자동차 업체들의 새로운 차별화 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글로벌 조명용 OLED 시장, 2020년 1조8천억 원…절반이 LG디스플레이

Global OLED lighting panel revenue market share(출처= UBI Research 2016 OLED Lighting Annual Report_

Global OLED lighting panel revenue market share(출처= UBI Research 2016 OLED Lighting Annual Report)

강현주 / jjoo@olednet.com

전세계 OLED 조명 패널 시장이 매년 급성장을 거듭해 오는 2020년에는 한화 1조8천억 원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측되며, LG디스플레이가 그 중 53%의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비산업리서치가 8일 발간한 ‘2016 OLED Lighting Annual Report’에 따르면 글로벌 OLED 조명 패널 시장은 2016년 미화 1억1400만 달러(한화 약 1266억 원) 규모를 형성하고 2017년부터 2025년까지 연평균 66%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OLED 조명은 높은 에너지 효율, 응용 분야의 다양성이 장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 백열등 사용규제가 강화된 것도 OLED 조명이 각광받는 요인이다. 이에 글로벌 OLED 조명 패널 시장도 성장을 거듭해 2020년 미화 16억 달러 규모(한화 약 1조8천억 원)를 형성할 전망이다.

LG디스플레이는 OLED lighting 패널 양산 기술을 보유하면서 투자도 단행한 유일한 업체다. 2016년 초 LG화학의 조명용 OLED 사업이 LG디스플레이로 이관된 바 있다.

LG Display는 지난 3월 월 15K 규모의 조명용 5세대 OLED 패널 양산라인 투자를 결정, 이 사업을 본격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이 회사는 2020년 조명용 OLED 패널 매출이 전세계 시장 53%에 해당하는 8억4800만 달러(한화 약 94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응용 분야별로 보면 일반 실내조명 분야(down light)와 자동차 조명(Automotive)이 급격한 성장세를 기록해 OLED 조명 시장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 외에도 야외용, 의료용, 전시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OLED 조명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한편 오는 2025년 자동차 조명용 OLED 패널 시장은 27억8600만 달러, 실내조명 패널 시장은 34억90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게 유비산업리서치의 전망이다.

LG전자, 오스트리아 벨베데레 왕궁에 OLED 4K TV 설치

LG OLED TV

LG OLED 4K TV

강현주 / jjoo@olednet.com

LG전자는 오스트리아 빈에 위치한 벨베데레 왕궁( Schloss Belvedere )에 울트라 올레드 TV(모델명: 55EG920), LG 울트라 HD TV 등 총 16대의 4K TV 를 지난달 초 설치하고 오스트리아의 문화를 소개하고 있다.

지금까지 10만 명이 넘는 관람객이 왕실문화, 미술, 건축 등 오스트리아의 문화를 울트라 올레드 TV와 LG 울트라HD TV로 감상했다. 특히 왕궁 내의 마블 홀( Marble Hall )에 설치된 울트라 올레드 TV는 구스타프 클림트의 작품을 소개해 인기를 끌고 있다.

벨베데레 왕궁은 클림트 특유의 신비로운 황금색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로 LG 올레드 TV를 선택했다. 왕궁 측은 매년 100만 명 이상이 올레드 TV로 클림트의 작품을 감상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클림트는 오스트리아 출신 화가로 화려한 색감, 모자이크 방식의 독특한 구성 등 기존 보수적인 미술계와 차별화된 작품세계를 구축했다. 특히 ‘키스(Kiss)’, ‘유디트(Judith)’ 등 그의 20세기 초 작품들은 실제로 금을 사용해 화려함의 절정을 보여준다.

올레드 TV는 백라이트가 없어 화소 하나하나가 빛을 내기 때문에 빛샘현상이 없어 현존하는 TV 중 자연색에 가장 가까운 색을 구현할 수 있다. 어느 각도에서 보더라도 색이 왜곡되지 않아 많은 관람객들이 한꺼번에 보더라도 같은 색을 볼 수 있다. 올레드만의 얇고 세련된 디자인은 왕궁의 품격에 어울린다는 평가를 받았다.

LG전자 김성수 오스트리아법인장은 “올레드 TV가 클림트의 작품을 눈앞에서 보는듯한 감동을 주게 될 것”이라며 “황금색채의 감동을 통해 올레드 TV의 진정한 가치를 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역시 특허의 힘… UDC 상반기, 재료 매출 떨어져도 영업이익 대폭 상승

Source = UDC

강현주 / jjoo@olednet.com

OLED 재료 특허 최강자인 유니버셜디스플레이(UDC)2016년 상반기 재료 매출이 떨어졌음에도 큰 폭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로열티와 라이선스 부문 매출이 증가한 게 이익 상승의 요인으로 분석된다.

4(현지시간) UDC는 실적발표를 통해 상반기 미화 9,410만 달러의 매출과 3,670만 달러의 영업이익(operating income)을 냈다고 밝혔다. UDC는 전년동기 310만달러의 영업손실(operating loss)을 기록했는데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 매출은 전년동기에 비해 5.4% 상승했다.

UDC는 올해 상반기 재료매출이 4,662만달러로 전년동기보다 약 9% 하락했다. 하지만 로열티와 라이선스 매출은 약 24.3% 상승해 영업이익 개선에 기여했다.

OLED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OLED 재료 시장도 커지고 있는 게 UDC의 실적성장으로 이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유비산업리서치의 ‘2016 OLED Emitting Materials Annual Report’에 따르면 전세계 OLED 발광재료 시장은 2016년부터 OLED 발광재료 시장은 연평균 46%의 성장률을 그리며 2021 432300만 달러(한화 약 4 9250억 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OLED 재료 시장은 수많은 특허가 적용되는 곳이기 때문에 광범위한 특허를 보유한 UDC의 입지가 크다. 실제로 UDC는 지난 2014, 2015년 연속으로 OLED 발광재료 시장 매출 글로벌 1위에 올랐다. 이 회사는 최근 바스프의 OLED 인광재료 특허를 9,600만달러에 인수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LG의 4천만원 77 인치 OLED TV, 이 가격 괜찮나?…경쟁사 제품 가격 비교해보니

출처=LG전자

LG전자가 최근 출시한 77인치의 OLED TV (출처=LG전자)

강현주 /jjoo@olednet.com

최근 LG전자가 77인치 OLED TV를 발표, 4,100만원이라는 출고가가 화제가 됐다. 가격에 대한 여론이 분분해 유사한 크기의 경쟁사 TV 가격 동향을 살펴봤다.

유비산업리서치의 시장 조사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78인치 SUHD TV 제품은 약 900만원~1,100만원대(아마존 최저가 기준)로 판매되고 있다. 지난 4월에 출시된 이 제품들은 퀀텀닷 필름을 부착한 LCD 패널이 탑재됐다.

LCD를 쓰는 소니 TV의 경우 올해 1월 출시된 75인치 제품이 7월말 기준 약 670만원, 85인치 제품이 약 900만원으로 삼성, LG의 제품보다 저렴한 편이다.

LG전자의 77 인치 OLED TV 제품의 실제 시장가격이 얼마일지 아직 정확히 알 수 없다. 일단 이 제품의 출고가인 4,100만원으로 비교한다면 삼성전자의 78인치 제품과 소니의 85인치 제품보다 4배가량 비싼 가격이다.

기존의 대형 OLED TV의 가격은 같은 크기의 LCD TV에 비해 대체로 2배 가까이 차이난다. 요즘 그 격차가 다소 좁혀지긴 했지만 이는 LG전자가 최근 OLED TV 가격 인하를 단행한 결과다. OLED TV가 비싼 건 사실이지만, 그래도 시장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LG전자는 2016년 2분기 OLED TV 판매량이 전년동기에 비해 4배 늘었다고 컨퍼런스콜을 통해 발표했다.

하지만 LG전자의 이번 77인치 OLED TV는 LCD TV와의 가격차이가 2배보다 높은 약 4배라는 면에서 경쟁력이 떨어질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이에 대해 유비산업리서치 이충훈 대표는 “크기가 커질수록 수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걸 감안하면 LG의 77인치 신제품 가격이 터무니 없는 정도는 아니다”라며 “수율 개선 등으로 가격도 떨어질 것이며 그동안의 TV 시장 추이를 볼 때 결국 시장가가 출고가에 비해 절반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LG의 77인치 OLED TV의 가격도 4,100만원에서 향후 2,000만원정도로 내려갈 수 있으며, 비슷한 크기의 LCD TV와의 가격 격차가 결국 2배정도로 좁혀진다는 얘기다.

이충훈 대표는 “그동안 OLED TV가 LCD TV에 비해 가격이 2배가량 비싸도 나름 시장 입지를 다져왔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 공개…개선된 S펜과 홍채인식기능 등

삼성전자가 Galaxy Note 7 을 공개했다.

강현주 / jjoo@olednet.com

삼성전자가 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삼성 갤럭시 언팩’ 행사를 열고 ‘갤럭시 노트7( Galaxy Note 7 )’을 공개했다.

‘갤럭시 노트7’은 시리즈의 6번째이지만, 숫자 ‘6’를 건너뛰고 최종 ‘7’으로 제품명을 정했는데, 이는 상반기에 출시된 ‘갤럭시 S7’과 숫자를 통일해 보다 쉽고 일관성 있게 고객들과 커뮤니케이션 하기 위해서다.

‘갤럭시 노트7’은 노트 시리즈 최초로 IP68의 방수ㆍ방진 기능을 제공하고, 개선된 S펜(Pen)을 탑재했다.

삼성전자 스마트폰 최초로 ‘홍채인식’ 기능을 탑재해, ‘삼성 녹스(Knox)’와 생체인식을 결합하는 업계 최고 수준의 보안 솔루션을 제공한다.

특히 홍채 인식을 이용해 로그인이나 인증 서비스가 가능한 ‘삼성패스’ 기능이 탑재돼 편리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도 지원된다.

개인의 데이터, 애플리케이션을 분리된 공간에서 관리할 수 있는 ‘보안 폴더’ 기능을 통해 일상에서 스마트폰을 보다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노트 시리즈 최초로 전면 엣지 디스플레이를 채용함과 동시에 상하좌우와 전후면 모두 대칭을 이루는 엣지 디자인을 적용하고, 대 화면임에도 한 손으로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최적의 그립감을 제공한다.

‘갤럭시 노트7’은  HDR(High Dynamic Range) 비디오 스트리밍을 지원해 최고의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Always On Display도 애플리케이션 알림, 뮤직 컨트롤 등 기능이 대폭 강화됐다.

함께 새롭게 출시되는 ‘기어 VR’은 시야각을 개선하고 제품 외부에 USB 타입-C 포트도 탑재해 외부기기 연결도 가능해졌다.

소비자들은 이와 같은 ‘갤럭시 노트7’의 혁신적이고 다양한 기능들을 통해 그 동안 스마트폰에 기대했던 사용성을 모두 경험할 수 있다.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장 고동진 사장은 “삼성전자는 대 화면과 S펜을 채용한 갤럭시 노트 시리즈를 통해 스마트폰 시장에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패블릿 카테고리를 선도해 왔다”며 “이번에 새롭게 선보이는 갤럭시 노트7은 패블릿 시장에서의 독보적 지위를 다시 한번 확인하고 소비자들에게 보다 혁신적인 사용성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만 2016년 2분기 LCD 출하량 중소형↓ 대형↑…AUO·이노룩스 등 이익 크게 하락

출처 = AUO

대만 LCD 패널 업체들이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사진 출처 = AUO)

강현주 / jjoo@olednet.com

2016년 2분기 대만 패널 업계에서는 중소형 LCD 패널 출하량이 줄고 9인치 이상 대형 패널의 출하량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타임스에 따르면 지난 2분기 대만 TFT-LCD 패널 업체들은 9인치 이상의 패널을 5,838만대 출하했다. 이는 전분기 대비 18.1%, 전년동기 대비 0.8% 늘어난 수치다.

2분기 대만 패널 업체들의 중소형 패널 출하량은 2억6,924만9천대로 1분기보다 0.5% 줄었으며 지난해 2분기보다 6.3% 줄었다.

9인치 이하 중소형 부문에서는 청화 픽처 튜브스(CPT)가 1억56만대로 출하량 1위를 차지했으며 한스타디스플레이(HannStar Display)가 6,789만2천대로 뒤를 잇는다.

2분기 9인치 이상 시장에서는 AU Optronics (AUO)는 2분기 2,711만대의 패널을 출하해 대만 1위에 올랐다. 그 중 717만6천대가 TV용이며 나머지는 노트북, 모니터, 태블릿용이다. 2위인 이노룩스는 2,709만대의 패널을 출하했으며 TV용이 1,072만대며 나머지가 노트북, 모니터, 태블릿용이다.

최근 각 업체들의 2분기 실적발표들에 따르면 AUO, 이노룩스 등 대만 주요 LCD 패널 업체들은 영업이익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AUO는 2016년 2분기 전년동기에 비해 약 13% 줄어든 800억 대만달러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1억1,600만 대만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약 98% 하락했다.

이노룩스는 2분기 매출이 약 29% 줄어든 668억 대만달러를 기록했으며 30억3,900만 대만달러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Past OLED, TV∙Mobile, New World for VR∙Automotive…UBI Research Hosts 16th IMID Industrial Forum

16th IMID Industrial Forum

16th IMID Industrial Forum

Hyunjoo Kang / jjoo@olednet.com
OLED, that has been rejuvenating TV and smartphone market and receiving attention as the next generation display, is expanding to diverse industries including VR/AR, automotive, and lighting, demonstrating its endless potential. How will the new OLED world will be actualized past the TV and mobile, and how the industry players should react, a place of information sharing opens.
Together with KIDS (Korean Information Display Society), UBI Research is hosting Industrial Forum in IMID 2016 in Jeju ICC (23-24 August). During this event, various experts in the field will discuss OLED’s potential and forecast in diverse industries.
Dokyun Kim, who is leading AR/VR research in Samsung Electronics, is giving a presentation titled ‘Further Growth in Display Industry with VR/AR’ (title TBC). He is expected to discuss the opportunities that growth of VR/AR industry will bring to the display market.
LG Display’s automotive sales and marketing’s Sanghyun An will talk about trend and forecast of automotive display market that is in limelight as OLED’s new market through his presentation ‘Potential Market Growth in Automotive Industry with OLED’ (title TBC).
Furthermore, experts from companies such as Sony, E ink, Aurora Lighting Design, and ALPS will share their insight regarding OLED’s endless potential.
Choong Hoon Yi, of UBI Research that is hosting this event, will also share his thoughts on useful guidelines for utilizing new opportunities in the changing market led by OLED. More information on the IMID Industrial Forum can be found through UBI Research website.

OLED, TV·모바일 넘어 VR·자동차에도 신세계…유비산업리서치 ’16th IMID 인더스트리얼 포럼’ 개최

UBI Research가 KIDS와 함께 ' ' 를 개최한다.

UBI Research가 KIDS와 함께 ’16th 인더스트리얼 포럼 IMID ‘ 를 개최한다.

TV와 스마트폰 시장에 활력을 불어 넣으며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각광 받아 온 OLED가 VR / AR, 자동차, 조명 등 다양한 산업으로 뻗어 나가며 무궁무진한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다.

OLED가 가져다 줄 신세계가 TV와 모바일을 넘어 어떤 산업에서 어떻게 구현될지, 업계 종사자들은 어떤 대응이 필요할지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정보 공유의 장이 열린다.

유비산업리서치는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KIDS)와 함께 오는 8월 23일부터 24일까지 제주도에 위치한 제주 ICC에서 ‘16th IMID 인더스트리얼 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에서는 저명한 업계인들이 연사로 나서 다양한 산업에서의 OLED의 잠재력과 전망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예정이다.

삼성전자에서 AR/VR 연구를 이끌고 있는 김도균 부사장은 ‘VR/AR를 통한 향후 디스플레이 산업에서의 성장(가제)’이라는 제목으로 연설에 나선다. 이 자리에서 김 부사장은 VR/AR 산업의 성장이 디스플레이 시장에 가져다 줄 기회들을 살필 계획이다.

LG디스플레이의 오토모티브 세일즈 & 마케팅 부문의 안상현 부장은 ‘자동차 디스플레이의 플라스틱 OLED의 전망과 애플리케이션’이라는 제목의 연설을 통해 OLED의 새시장으로 각광 받는 자동차 디스플레이 시장에 대한 동향과 전망을 공유한다.

또 소니, E-잉크, 오로라 라이팅 디자인, 알프스전기 등 다양한 업체의 저명한 연사들이 OLED 시장의 무궁무진한 기회들에 대한 인사이트를 전달할 예정이다.

이 포럼을 개최하는 유비산업리서치의 이충훈 대표도 OLED로 인해 변화하는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잡기위한 유용한 지침을 전달한다.

이번 ‘16th IMID 인더스트리얼 포럼’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유비산업리서치 홈페이지를 통해 찾아볼 수 있다.

LG전자 2분기 영업이익 140% ↑…OLED TV 판매 확대로 수익성 개선

출처=LG전자

출처 = LG Elec.

강현주 / jjoo@olednet.com

LG전자가 OLED TV 판매 확대에 힘입어 2분기 영업이익이 약 140% 상승했다.

LG전자는 지난 2분기 연결매출 1429억 원, 연결영업이익 5,846억 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매출액은 생활가전 판매호조 영향으로 전년 동기(13 9,257억 원) 대비 0.6%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생활가전 및 TV 부문의 수익성이 지속 개선되면서 전년 동기(2,441억 원) 대비 139.5% 증가했다.

이 회사는 2분기 경기침체 등의 영향으로 TV 출하량이 감소했음에도 손익이 개선됐다. 이는 프리미엄 TV 판매 수량 및 매출의 증가에 힘입은 것이다. OLED TV와 울트라 HD TV 판매 확대와 원가구조 개선이 이뤄졌다는 게 LG전자의 설명이다.

이 회사는 3분기에도 TV 시장 정체가 지속됨에도 OLED TV 같은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수요는 확대될 것으로 보고 견조한 수익성을 유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H&A사업본부와 HE사업본부는 분기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특히 HE사업본부는 분기 사상 최고 영업이익률도 기록했다.

H&A사업본부 매출액은 트윈워시 세탁기, 얼음정수기 냉장고 등 프리미엄 제품 판매 호조와 시스템 에어컨 등 B2B 사업 성장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지속적인 원가경쟁력 개선 및 ‘ LG SIGNATURE( LG 시그니처 )’ 등 프리미엄 제품 판매 비중 확대로 전년 동기 대비 48.6% 증가했다. 특히 전 분기(9.7%)에 이어 2분기 연속 9%대 영업이익률(9.2%)을 달성했다.

MC사업본부 매출액은 G5의 초기 공급차질로 긍정적인 시장 반응을 매출 확대로 이어가지 못하며 전년 동기 대비 6.2% 감소, 전 분기 대비 12.2% 증가에 그쳤다. 또한, 마케팅 비용 상승 등으로 영업손실이 이어졌다.

HE사업본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로는 5.7% 증가했으나 중동, 아프리카 등 성장시장 경기침체 지속으로 전분기 대비 4.1%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올레드 TV, 울트라HD TV 등 프리미엄 제품 판매 확대 및 원가경쟁력 개선으로 분기 사상 최대 영업이익과 최고 영업이익률(8.6%)을 동시에 달성했다.

VC사업본부 매출액은 AVN(Audio Video Navigation), 텔레매틱스(Telematics) 등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주력거래선 매출 확대로 전년 동기 대비 41.9%, 전 분기 대비 7.9% 증가했다.

VC사업본부는 전기차용 부품 및 인포테인먼트 기기 등 미래 성장을 위한 자원 투입 증가로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가전 시장은 에어컨의 계절적 비수기 진입 등 성장세 둔화가 예상된다. H&A사업본부는 일반 가전 분야에서는 초프리미엄 브랜드 ‘LG 시그니처를 필두로 트윈워시 세탁기, 스타일러 등 시장 선도 제품 판매에 집중한다. 빌트인 주방가전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 B2B 사업도 강화한다.

스마트폰 시장은 경쟁사들의 주력 제품 출시로 프리미엄 시장 내 경쟁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MC사업본부는 V시리즈 후속 제품을 출시하고 K시리즈, X시리즈 등 보급형 제품의 출시 국가를 확대한다. 또 현재 상황 극복을 위한 수익 구조 개선 활동도 지속 추진한다.

TV 시장 정체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나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수요는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HE사업본부는 올레드 TV, 울트라HD TV 등 프리미엄 제품 판매 비중 확대로 수익성 유지에 주력한다.

전기차 시장 성장 및 전장 부품 시장의 고급화에 힘입어 자동차 부품 사업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VC사업본부는 8월 말로 예정된 GM ‘쉐보레 볼트 EV(Chevrolet Bolt EV)’ 부품 본격 양산을 통해 전기차 부품 시장 선도 이미지를 구축할 계획이다.

삼성전자 2분기 영업이익 8.14조원…디스플레이 영업이익 1400억원으로 흑자전환

Source = Samsung

Samsung Elec.이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 출처 = Samsung )

삼성전자( Samsung Elec. )가 2016년 2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50.94조원, 영업이익 8.14조원의 실적을 기록했다고 28일 발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48.54조원 대비해 5%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6.9조원 대비 18% 늘었다. 전 분기에 비하면 매출은 2%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22% 늘었다.

세트사업은 전년 동기는 물론 전 분기 대비해 실적이 대폭 개선되면서 완연한 회복세를 기록했다. IM은 갤럭시 S7과 S7 엣지 판매 호조가 실적 개선을 견인했다.

CE는 SUHD TV, 셰프컬렉션 냉장고, 무풍 에어컨, 애드워시/액티브워시 세탁기 등 프리미엄 제품 판매 호조로 인해 실적이 큰 폭으로 늘었다.

부품사업은 전반적인 부품가격 하락 등의 요인으로 전년 동기 대비 실적이 감소했지만 전분기 대비해서는 실적이 개선됐다.

반도체는 모바일과 SSD를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한 가운데, 20나노 D램과 V-낸드, 14나노 모바일 AP 등의 차별화된 제품 경쟁력을 통해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다.

디스플레이는 LCD 수율이 안정화되고 OLED 가동률도 증가하면서 실적이 흑자 전환됐다.

2분기에는 원화가 달러, 유로화 등 주요 통화에 비해 강세를 보이면서 부품 사업을 중심으로 전분기 대비 약 3천억원 수준의 부정적 환영향이 발생했다. 하반기에는 견조한 실적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부품사업은 수급 안정화 속에 고부가 제품 판매 확대로 상반기 대비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세트사업은 신제품 출시 확대 등으로 마케팅비용 증가가 예상되나, 전년 대비 실적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3분기는 부품사업이 메모리와 LCD의 수급이 개선되는 가운데 OLED 실적이 견조한 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며, 세트사업은 CE가 비수기 영향을 받는 가운데, IM이 신제품 출시와 시장 경쟁 심화로 인해 마케팅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분기 시설투자는 4.2조원 이었으며, 사업별로는 반도체에 2.0조원, 디스플레이에 1.6조원 규모이다. 상반기 누계로는 8.8조원이 집행됐다.

2016년 전체 시설투자 계획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에는 스마트폰용 OLED 패널과 V-낸드 SSD 수요가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올해 투자는 OLED와 V-낸드 증설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2분기 반도체는 메모리와 시스템LSI 모두 견조한 실적을 달성하며 매출 12조원, 영업이익 2.64조원을 기록했다.

2분기 메모리 시장은 모바일과 SSD를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한 가운데 삼성전자는 지속적인 공정전환에 따른 원가절감으로 전분기에 이어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다.

낸드의 경우 서버용 고용량 SSD에 대한 수요 강세 지속과 중화권 모바일 업체들의 고용량 스토리지 수요 증가에 대응하는 한편, 48단 V-낸드 공급 확대로 실적을 개선했다.

D램은 모바일과 서버용 20나노 제품 판매증가로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다.

하반기 메모리 반도체 시장은 전 응용처의 고용량화 추세가 지속되면서 업황이 더욱 안정화 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삼성전자는 고용량 프리미엄 제품 경쟁력을 강화해 실적 개선을 이어갈 계획이다.

낸드는 서버, 모바일 응용처에서 고용량 제품 수요가 증가하면서 수급이 지속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업계 유일의 48단 V-낸드 공급을 확대해 수익성을 더욱 높여나갈 계획이다.

D램도 견조한 시장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공정 성숙화가 완료된 20나노 공정을 기반으로 고부가 솔루션 공급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시스템LSI 사업은 프리미엄 스마트폰에 탑재된 14나노 모바일 AP의 수요 호조와 1300만 이상의 고화소 이미지센서 판매 확대로 전분기 대비 실적이 개선됐다. 그간 추진해온 파운드리 고객 다변화와 중저가 모바일 AP 라인업 강화 전략의 성과이다.

하반기에도 삼성전자는 14나노 이하 첨단공정 기술 리더십을 유지하고 거래선과 제품을 다변화해 매출 견조세를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

□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2분기 디스플레이 사업은 매출 6.42조원, 영업이익 0.14조원을 기록했다. 2분기는 OLED의 판매 확대, LCD 신공법 수율 개선과 대형 TV향 패널 판매 증가로 전분기 대비 실적이 개선됐다.

하반기에도 디스플레이 사업은 실적 개선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OLED의 경우 시장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플렉서블, 고해상도 등 고부가 패널 판매 확대를 통해 실적 개선을 이어가고, LCD의 경우 수급 개선 속에서 UHD와 초대형 등 고부가 패널 판매 확대를 통해 실적을 향상시킬 예정이다.

특히 OLED 패널의 경우 선제적 투자와 기술 개발을 통해 시장을 개척해왔으며, 플렉서블 양산을 통해 기술적으로 한 단계 도약하며 시장을 더욱 확대시켜 왔다. 향후에도 외부 고객 판매를 확대하고 혁신 제품 개발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 IM (IT & Mobile Communications)

2분기 IM 부문은 매출 26.56조원, 영업이익 4.32조원을 기록했다.

2분기 무선 사업은 갤럭시 S7과 S7 엣지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실적이 증가했다.

특히 갤럭시 S7 제품군 중 엣지 판매 비중이 50%를 상회한 점과 모델 효율화를 통해 갤럭시 A/J 시리즈와 같은 중저가 스마트폰의 수익성이 전분기 수준을 유지한 점이 실적 개선에 도움이 됐다.

Samsung Elec. 이 지난해부터 본격 추진해온 모델 효율화와 지속적인 제품 경쟁력 강화 노력이 올해초부터 효과가 가시화 되면서 2분기 연속 전년 대비 개선된 실적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성수기인 하반기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수요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시장 경쟁도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Samsung Elec. 은 하반기에도 프리미엄 모델의 견조한 판매세를 유지하고 지속적인 라인업 효율화를 통해 전년 동기 대비 실적 개선 추세가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한편, 3분기는 성수기 진입으로 스마트폰과 태블릿 수요가 전분기 대비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는 대화면 플래그십 모델 출시, 갤럭시 S7과 S7 엣지의 지속 판매를 통해 프리미엄 스마트폰의 판매 호조를 유지하고, 중저가 스마트폰의 판매 확대와 중국 특화모델 갤럭시 C시리즈 판매 본격화로 전분기 대비 스마트폰 판매량을 늘릴 계획이다.

다만, 계절적 성수기에 따른 경쟁심화와 마케팅 비용 증가 등이 이익에 다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네트워크 사업은 주요 거래선의 LTE 투자 확대로 2분기 실적이 개선됐으며, 3분기에도 LTE 증설 사업 수주 등을 통해 매출 확대를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 CE (Consumer Electronics)

2분기 CE 부문은 매출 11.55조원, 영업이익 1.03조원을 기록했다. TV와 생활가전 모두 전년 대비 실적이 개선됐다.

TV의 경우 신제품 본격 출시와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 특수 효과로 SUHD TV와 커브드 TV 등 프리미엄 제품 판매가 확대됐다.

생활가전 역시 셰프컬렉션 냉장고, 무풍 에어컨, 에드워시/액티브워시 세탁기와 같은 프리미엄 제품 판매가 실적을 견인했다.

삼성전자는 다양한 소비자 니즈를 반영한 혁신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고객 접점에서 효과적인 마케팅 등의 노력을 통해 전제품에서 꾸준한 실적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하반기 CE 제품 시장은 구주와 성장시장의 소비심리 위축과 경기 침체 지속으로 시장 수요는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TV의 경우 퀀텀닷 기술을 강조한 SUHD TV 마케팅 강화와 거래선과의 프로모션 기획을 통해 전년대비 매출 성장과 수익성 개선을 추진할 방침이다.

생활가전은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혁신제품 출시를 확대하고 B2B 사업도 강화해 지속 성장을 추진할 계획이다.

LGD 2분기 영업이익 444억원으로 91%↓…”17분기 연속 흑자”

Source = LGD

Source = LGD

강현주 / jjoo@olednet.com

LG디스플레이(대표이사 부회장 한상범, 韓相範 / www.lgdisplay.com)는 한국채택 국제회계(K-IFRS) 기준, 2016년 2분기 5조 8,551억원의 매출과 영입이익 444억원을 달성했다고 27일 발표했다. 매출은 전분기 대비 2%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12% 증가했다. 전년동기에 비해서는 매출 13% 감소, 영업이익 91% 감소했다.

LG디스플레이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수익성 위주의 차별화 전략을 통해 17 분기 연속 영업이익 흑자를 달성했다고 강조했다.

LG디스플레이는 중국업체들의 공격적인 LCD생산확대와 지속적인 패널가격 하락 속에서도 영업흑자를 달성할 수 있었던 것은 차별화된 기술경쟁력을 바탕으로 철저한 수익성 위주의 경영을 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LG디스플레이는 차별화된 M+기술을 바탕으로 40인치 이상의 UHD 시장을 선도하면서 HDR기술이 탑재된 60인치 이상의 초대형, 프리미엄 TV패널 비중을 적극 확대하며 수익성을 높였다. 모바일의 경우 비수기임에도 중국고객의 물량 확대 및 ‘IPS 인터치(in-TOUCH)’ 기술을 탑재한 제품 출하 증대로 매출비중이 전분기보다 4%포인트 증가했다. 또 지속적인 공정개선과 수익성 중심의 제품 생산을 통해 사업 전분야에 걸쳐 생산효율성을 극대화했다.

LG디스플레이의 주요 재무지표를 보면, EBITDA는 8,327억원이며, 부채비율과 순차입금 비율은 각각 83%와 19.6%로 전분기 대비 소폭 상승하였으나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2016년 2분기 매출액 기준 제품별 판매 비중은 TV용 패널이 39%, 모바일용 패널이 27%, 노트북 및 태블릿 PC용 패널이 18%, 모니터용 패널이 16%를 차지했다.

한편, LG디스플레이는 하반기에 대형, UHD, ‘IPS 인터치(in-TOUCH)’ 등 프리미엄 제품 비중을 증대하면서 동시에 OLED 시장 및 고객 확대에 전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대형 OLED의 경우 초고해상도 제품의 수율안정화와 공정개선 등을 통해 원가경쟁력을 높이고, OLED TV의 프리미엄 입지 강화를 위한 고객다변화도 지속적으로 전개할 계획이다. 또한, 플라스틱 OLED에 대한 적기 투자를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등 미래 스마트폰 기술 경쟁력을 확보해 차별적 경쟁 우위를 확보할 방침이다.

LG디스플레이 CFO(최고재무책임자) 김상돈 전무는 “2016년 3분기는 계절적 성수기 확대에 따른 고객사의 구매 증가와 대형화 트렌드 지속으로 면적기준 출하량은 전분기 대비 한자릿수 중반(%) 증가하고 패널가격의 안정적인 흐름으로 하반기 수익성은 전반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LG디스플레이는 어려운 업황하에서도 미래를 위한 성장을 준비하는 동시에 수익성 측면에서도 경쟁사와 차별화된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LGD Invests KRW 1.99 Trillion in Flexible OLED Line

LGD will invest KRW 1.99trillion in 6G flexible OLED line. (Source = LGD)

Hyunjoo Kang / jjoo@olednet.com
LG Display, the world’s leading innovator of display technologies, announced today that it will invest KRW1.99 trillion in a new 6th generation (1,500mm x 1,850mm) flexible OLED display production line in Paju, South Korea, as part of its preemptive efforts to change and lead the approaching era of flexible OLED screens for mobile devices.
Dr. Sang-Beom Han, CEO and Vice Chairman of LG Display, said “A paradigm shift to OLED represents both a challenge and an opportunity for the display industry.” He added, “LG Display is determined to become the leader in the fast-growing OLED market through timely investments to maximize efficiency.”
The new production line, E6, will be installed at its P9 plant in Paju with KRW 500 billion already invested to build supporting infrastructure. The E6 line is scheduled to start mass production in the second half of 2018 and will produce 15,000 input sheets per month. In addition to this new line, LG Display already has a 4.5th generation flexible OLED display production line (E2) in Paju, and is building another new 6th generation production line (E5) in Gumi which was announced in July 2015.
LG Display announced in November 2015 that it planned to invest a total of more than KRW 10 trillion for the new P10 plant in Paju to produce mainly OLED displays including large-size OLED displays and flexible OLED displays. With the investment in P10, which is now under construction, and the expansion of the P9 facility, the company is laying a firm foundation to lead the next generation market for smartphones with its advanced OLED technology.
LG Display was the first to introduce the era of large-size OLED TVs with its world’s first 55-inch OLED TV display in January 2013. It also introduced the era of flexible OLED displays with the world’s first plastic substrate-based 6-inch OLED display for smartphones in October 2013 and the world’s first 1.3-inch circular flexible OLED display in September 2014. LG Display has established an industry reputation for its recognized expertise and knowledge of flexible OLED displays.
OLED specializing research company UBI Research expects flexible OLED shipment to greatly increase to approximately 653.1 million units in 2020 from 76.7 million units in 2016. Another display market research company IHS estimates the flexible OLED market will grow to 416 million units in 2020 from 59 million units in 2016.
According to IHS DisplaySearch, this market is expected to grow rapidly with shipments increasing from 59 million in 2016 to 416 million in 2020.

 

LG디스플레이, 파주에 2조원 규모 POLED 투자 결정…”POLED 스마트폰 시장 선공격”

LGD가 파주에 2조원 규모의 POLED 투자를 단행한다.

강현주 / jjoo@olednet.com

LG디스플레이가 POLED 스마트폰 시대를 선제 공략하기 파주 사업장에 약 2조원 규모의 POLED 투자를 단행한다고 27일 발표했다.

LG디스플레이(대표이사 부회장 한상범, 韓相範 / www.lgdisplay.com)는 26일 정기이사회를 열고 경기도 파주 사업장 내 P9 공장에 월 1만 5,000장 규모의 6세대(1,500㎜×1,850㎜) 플라스틱 OLED 생산라인 구축을 위한 1조 9,900억원의 투자를 결정했다.

POLED는 유리 기판 대신 플라스틱을 사용하기 때문에 원형, 다각형 등의 2차원 디자인은 물론 벤더블, 롤러블, 폴더블 등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대변되는 3차원 디자인 혁신을 가능케 한다.

OLED 전문 리서치 업체인 유비산업리서치는 2016년 플렉서블 OLED 출하량이 약 7,670만대에서 2020년 6억5310만대로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 또 다른 디스플레이 시장 조사업체 IHS는 플렉서블 OLED 시장이 2016년 약 5,900만대에서 2020년 약 4억 1,600만대로 성장 할 것으로 예상한다.

LG디스플레이는 이러한 시장 확대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경북 구미 사업장에 6세대 POLED 생산 라인(E5)을 투자한 데 이어, 파주 사업장에도 약 2조원의 6세대 생산라인(E6)을 추가 투자하기로 한 것이다.

한편, LG디스플레이는 이번 투자의 효율성 극대화를 위해, 파주에 약 5,000억원 규모의 관련 인프라 조성을 진행해 왔으며, 구미에 이어 파주에서 P생산이 오는 2018년에 본격화 되면, LG디스플레이는 POLED 스마트폰 사업 확대의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LG디스플레이는 금번 투자 발표한 6세대 생산라인 외에도 월 1만 4,000장 규모의 4.5세대 POLED 생산 라인에서 스마트와치 등을 생산 중이며, 현재 건설 공사 중인 P10 공장에 향후 10조 이상을 투자해, OLED를 통한 디스플레이의 르네상스 시대를 연다는 각오다.

LG디스플레이 한상범 부회장은 “디스플레이산업에서 OLED로의 패러다임 전환은 새로운 도전이자 기회”라며, “LG디스플레이는 적기 투자와 투자 효율성 극대화를 통해 미래 성장 동력으로 떠오르는 OLED 시장에서 반드시 선도적 지위를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2013년 1월, 세계 최초로 55인치 OLED TV 패널을 양산해 본격적인 대형 OLED 시대의 개막을 선언한 바 있는 LG디스플레이는 POLED에 있어서도 2013년 10월, 세계최초로 6인치 스마트폰용 POLED를 양산한 데 이어 2014년 9월에는 세계최초 1.3인치 원형 POLED를 양산하는 등 꾸준히 관련 기술과 공정 노하우를 축적해 왔다.

Chinese Gen8 LCD Line, Exceeding Korea…“Complementary Investment is Most Reliable”

Chinese and Taiwanese panel companies’ Gen8 or higher LCD mass production line is 690K in total as of Q1 2016. This is higher than Korea’s Gen8 LCD capa. (Source = BOE)

Chinese and Taiwanese panel companies’ Gen8 is higher than Korea’s Gen8 LCD capa. (Picture Source = BOE)

Hyunjoo Kang / jjoo@olednet.com

In order to respond to the outpouring Chinese large area LCD, it is analyzed that carrying out investment to turn large area LCD line into OLED is the most reliable method.

According to 2016 OLED Manufacturing Equipment Annual Report, recently published by UBI Research, Chinese and Taiwanese panel companies’ Gen8 or higher LCD mass production line is 690K in total as of Q1 2016. This is higher than Korea’s Gen8 LCD capa.

Even now, China is showing active movements in additional establishment of large area LCD mass production line. UBI Research forecasts that in 3 years, China and Taiwan’s new large area LCD mass production line will reach up to 80% of the Korea’s current mass production capa. The report emphasizes that to fight against this great supply volume from Great China region, Korean panel companies should change the large area LCD line to OLED.

In case of Gen8 line, unlike small-to-medium size line, the LCD line can be cost effectively transformed to OLED line. As such, it is considered to be the main object for the complementary investment.

Particularly, if oxide TFT, which has few photomask processes, and WRGB+CF technologies are applied, existing large area a-Si LCD line’s manufacturing equipment can continue to be used.

UBI Research explained that an advantage of complementary investment is the fact a-Si LCD line’s backplane equipment and color filter equipment can continue to be used. He further added that in order to maximize a-Si line’s capa., development of TFT process with few photomask processes is a necessity.

 

한국 넘어선 중국 Gen8 LCD 라인…”전환투자가 가장 유력한 방안”

Source = BOE

중국의 Gen8 LCD 라인이 이미 한국을 넘어섰다. (사진출처 = BOE)

강현주 / jjoo@olednet.com

Gen8 라인 등에서 대면적 LCD를 쏟아내고 있는 중국의 공세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 패널 업체들은 대면적 LCD 라인을 OLED로 전환투자하는 것이 가장 유력한 방안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유비산업리서치가 최근 발간한 ‘2016 OLED Manufacturing Equipment Annual Report’에 따르면 중국과 대만 패널 업체들의 Gen8 이상의 LCD 양산라인은 20161분기 현재 총 690k 규모다. 이는 한국의 Gen8 LCD 생산능력(capa)를 넘어선 수치다.

중국은 지금도 대형 LCD 양산라인 증설에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앞으로 3년 후면 중국과 대만이 신규 구축할 대면적 LCD 양산라인은 한국의 현재 양산라인 capa80%에 달하는 규모가 된다는 게 유비산업리서치의 전망이다.

이 보고서는 이같은 중화권의 LCD 물량공세에 한국업체들이 대응하기 위해 한국 패널 업체들은 대면적 LCD 라인을 OLED로 전환하는 게 유력한 방법이라고 강조한다.

Gen8 라인의 경우 중소형 라인과 달리 LCD라인을 OLED 라인으로 비용 효율적으로 전환할 수 있어 전환투자의 주요 대상으로 여겨진다.

특히 포토마스크 공정수가 적은 oxide TFT WRGB+CF 기술을 적용한다면 기존의 대면적 a-Si LCD 라인의 장비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유비산업리서치 관계자는 “a-Si LCD 라인의 backplane 장비와 color filter 장비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게 전환투자의 장점이라며 “a-Si line capa.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포토마스크 공정수가 적은 TFT 공정개발이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SDC Urgently Needs Additional Installation of 20-30K Gen5.5 Rigid OLED Line

Source = Samsung

Picture Source = SDC

Hyunjoo Kang / jjoo@olednet.com

In order to respond to rapidly increasing OLED smartphone demand, Samsung Display( SDC ) is analyzed to require additional installation of Gen5.5 rigid OLED line and V1 line move.

At present, China’s smartphone OLED demand is explosive. According to UBI Research’s investigation, China needs up to 200 million units of mobile OLED until next year. Therefore, for Samsung Display to produce more OLED panels in A2 factory, V1 line that produces transparent OLED needs to be moved to L8 which is a Gen8 LCD factory.

OLED use V1 line has been using Gen8 manufacturing equipment produced TFT substrate cut into 6. As such, moving the V1 line to Gen8 factory is analyzed to be advisable in terms of panel production and distribution management.

The president of UBI Research, Choong Hoon Yi explained that China’s future mobile OLED demand volume is difficult for China’s key panel companies such as BOE, and even for mobile OLED leader Samsung Display it is not easy to supply sufficient amount with existing mass production line. He estimated that Samsung Display, to meet the demand, will require additional installation of at least 20-30K OLED mass production line to Gen5.5 A2 line.

삼성디스플레이, 20~30k Gen5.5 rigid OLED 라인 추가 증설 시급…中 수요 폭발

삼성디스플레이의 5세대 OLED 라인 증설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따.

삼성디스플레이의 5세대 OLED 라인 증설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강현주 / jjoo@olednet.com

삼성디스플레이가 급증하는 OLED 스마트폰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Gen5.5 rigid OLED라인의 추가 증설과 V1라인 이동이 불가피한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중국의 스마트폰용 OLED 수요는 폭발적이다. 유비산업리서치의 조사에 따르면 중국에서 내년까지 필요로하는 물량은 2억개에 달한다.

그러므로 삼성디스플레이는 A2 공장에서 보다 많은 OLED패널을 생산하기 위해 투명 OLED를 생산하는 V1라인을 LCD용 Gen8 공장인 L8로 이동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OLED용 V1 라인은 Gen8 장비에서 제조된 TFT 기판을 6분할하여 사용하여 왔기 때문에 V1 라인이 Gen8 공장으로 이전하는 것이 패널 생산과 물류 관리 차원에서 가장 바람직할 것으로 풀이된다.

유비산업리서치 이충훈 대표는 “중국의 향후 모바일 OLED수요는 BOE 등 중국의 주요 패널 업체들이 감당하기 힘든 물량인 것은 물론, 모바일 OLED최강자인 삼성디스플레이도 현존하는 양산라인으로는 충분한 공급이 쉽지 않다”며 “이에 삼성디스플레이는 최소 Gen5.5 A2 라인에 20~30k 규모의 OLED양산라인 증설이 필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향후 5년간 8세대 LCD → OLED 전환투자 전세계 7.6조원 규모…한국이 81%

SID 2016에 전시된 LG의 OLED TV

강현주 / jjoo@olednet.com

 2016년부터 2020년까지 향후 5년간 전세계 8세대 전환투자( LCD OLED )는 총 미화 667400만 달러(한화 악 76180억 원)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유비산업리서치가 최근 발간한 ‘2016 OLED Manufacturing Equipment Annual Report’에 따르면 앞으로 5년간 한국의 8세대 전환투자는 54억 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전세계 규모인 667400만 달러의 81%에 해당한다. 특히 LG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대면적 LCD 라인의 OLED로의 전환투자가 본격적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중국은 대면적 LCD 신규라인을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가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응하기위해 한국 패널 업체들은 2016년부터 한국에 위치한 8세대 a-Si LCD 라인을 OLED라인으로 본격적으로 전환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중국에게 LCD로 맞서기에는 중국 LCD 업체들의 물량공세와 가격 경쟁력이 너무 강력하기 때문에 한국 주자들은 OLED로 눈을 돌리고 이 시장을 키우는 데 역량을 집중해야 하는 상황인 것으로 풀이된다.

대면적 패널 양산라인인 8세대 LCD 라인이 전환투자의 주요 대상이 된 이유는 중소형 LCD 라인에 비해 OLED로의 전환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8세대 LCD 라인에서 백플레인으로 사용되는 a-si TFT 8세대 OLED 라인에서 이용되는 oxide TFT로 비용 효율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의 설명이다.

 

Sharp Increase for Q2 LGD’s 65“ OLED Shipment… OLED TV Enlargement Gaining Momentum

LGD`s 65“ OLED TV Panel

Hyunjoo Kang / jjoo@olednet.com
LG Display sharply increased their Q2 2016 65 inch OLED panel shipment. It is analyzed that OLED TV is entering active market growth and enlargement stages.
According to UBI Research, LG Display recorded approximately 140,000 units of OLED panels for TV in Q2 2016. Of this, 65 inch panel for large size TV is approximately 28,000 units, double the Q1 volume.
That LG Display greatly increased 65-inch OLED panel shipment is analyzed to show increased OLED TV companies in global TV market, and as a response to rising demand for 60 inch mark panels exceeding 50 inch. Recently, many TV companies, including Germany’s Loewe and Metz are known to have joined OLED sector. According to UBI Research, China’s TV company Skyworth received about 30,000 units of OLED panel from LG Display this year.
Additionally, the fact that as the panel increases in size, the price competitiveness difference with LCD decreases is analyzed to contribute to LG Display’s focus on panel larger than 60 inch.
LG Electronics has been reducing OLED equipped TV price as the low price competitiveness compared to LCD TV presented difficulty in convincing consumers. However, experts believe that as the size increases the price difference between OLED and LCD decreases.
On 19 July, LG Electronics revealed 77 inch OLED TV, demonstrating focus on pioneering ultra-large OLED TV market.

LG전자, 77인치 OLED TV ‘LG 시그니처 올레드 TV’ 출시

LG전자가 77인치 OLED TV를 출시했다.

LG전자가 77인치 OLED TV 를 출시했다.

강현주 / jjoo@olednet.com
LG전자가 지난 3월 65인치 OLED TV 출시에 이어 19일 77인치 OLED TV 인 ‘LG 시그니처 올레드 TV(모델명: OLED77G6K)’를 가장 먼저 한국에서 출시했다.
신제품은 출고가가 4,100만 원으로 올레드 TV 가운데 가격이 가장 높다. 캐시백 혜택 200만 원을 적용하면 3,900만 원에 구매가 가능하다. LG전자는 한국에 이어 북미, 유럽, 아시아 등에 77형 LG 시그니처 올레드 TV를 순차적으로 출시해 프리미엄 TV시장에서 지배력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이번 신제품은 디자인, 음질, 화질 등 LG 시그니처 올레드 TV만의 독보적인 강점을 갖췄다.

디자인은 77형 초대형 화면에서 더욱 돋보인다. LG전자는 올레드 패널 뒤에 투명 강화유리 한 장만을 붙여 얇고 세련된 느낌을 강조했다. 제품 뒷면의 패널과 스탠드에는 은은한 보랏빛을 입혔다. 신제품은 앞뒤와 좌우 어디서 보더라도 나사 하나 보이지 않아 유리 조형 작품을 연상시키도록 디자인했다.

사운드 최대 출력은 80와트(W)로 65형 LG 시그니처 올레드 TV 대비 30% 이상 강해졌다. 세계적인 오디오 회사 하만카돈과 협력해 완성한 고품격 사운드는 사람의 목소리부터 현악기의 울림까지 세밀하게 표현해준다. 저음을 담당하는 우퍼, 고음을 담당하는 트위터 등 총 10개의 스피커 유닛이 입체적이고 풍성한 사운드를 제공한다. LG전자가 독자 개발한 ‘공간 인식 사운드’ 기능은 TV를 시청하는 공간을 자동으로 계산해 최적의 음질을 제공한다.

77형 초대형 화면에서 구현하는 완벽한 블랙은 현장에 와 있는 듯한 생생함을 느끼게 해준다. 올레드 TV는 백라이트가 없어 화소 하나하나가 빛을 내기 때문에 현존하는 TV 중에 자연에 가장 가까운 색을 구현한다.

신제품은 HDR(High Dynamic Range) 기술을 구현하는데도 최적이다.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HDR 10, 프리미엄 HDR 화질을 구현하는 돌비 비전(Dolby Vision™) 등 다양한 HDR 영상 규격을 지원한다. 국내 출시된 TV 가운데 HDR 10과 돌비 비전을 모두 지원하는 것은 LG 울트라 올레드 TV, 슈퍼 울트라HD TV 등 LG 프리미엄 TV뿐이다.

HDR는 화면의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을 보다 깊이 있게 표현해 현장에서 직접 보는 듯한 생생함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LG전자 한국HE마케팅담당 허재철 상무는 “65형에 이은 77형 LG 시그니처 올레드TV로 超프리미엄 TV의 역사를 새로 썼다”며 “집안의 품격을 높이는 차원이 다른 화질과 디자인으로 超프리미엄의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분기 LG디스플레이 65인치 OLED 출하량 급증… OLED TV 대형화 날개짓

LGD가 SID 2016에 전시한 65인치 OLED TV 용 패널

강현주 / jjoo@olednet.com

LG디스플레이가 2016년 2분기 65인치 OLED 패널 출하량을 크게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OLED TV가 본격적인 시장 성장과 대형화 추세에 들어서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유비산업리서치의 조사에 따르면 LG디스플레이는 2016년 2분기 약 14만개의 TV용 OLED 패널을 출하했다. 이 중 대형 TV용인 65인치 패널은 약 2만8000개로 집계됐다. 이는 전분기에 비해 약 2배 가량 늘어난 수치다.

LG디스플레이가 이처럼 65인치 OLED 패널 출하량을 크게 늘린 것은 글로벌 TV 시장에서 OLED 패널 탑재 TV를 출시하려는 업체가 늘고 있으며, 50인치대를 넘어 60인치대로의 대형화 수요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 대응하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최근 독일 뢰베, 메츠 등 다수의 TV 업체가 OLED 진영에 합류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비산업리서치의 조사에 따르면 중국 업체인 Skyworth의 경우 올해 현재까지 LG디스플레이로부터 3만개 가량의 TV용 OLED 패널을 공급받았다.

사이즈가 큰 패널일수록 LCD와의 가격 경쟁력 격차가 줄어든다는 점도 LG디스플레이가 60인치 이상 패널에 집중하게 만드는 하나의 요인으로 분석된다.

TV 시장에서 OLED 대표주자인 LG전자는 그동안 OLED TV 가격 인하를 단행해왔다. OLED 패널을 장착한 TV가 LCD TV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떨어져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는 데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이즈가 대형으로 갈수록 OLED와 LCD간 가격 격차가 줄어든다는 게 전문가의 설명이다.

LG전자는 19일 77인치 OLED 패널을 장착한 TV를 발표하기도 했다. 이처럼 LG는 초대형 OLED TV 시장 개척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상반기 글로벌 LCD TV 패널량 6% ↓…그래도 중국은 계속 늘려

중국은 대형 LCD 패널 투자를 늘리고 있다.

중국은 LCD TV 패널 투자를 늘리고 있다.

강현주 / jjoo@olednet.com

2016년 상반기 LCD TV 패널 출하량이 전년 동기 대비 약 6% 줄어들었다고 디지타임즈가 한 컨설팅 업체의 자료를 인용해 보도했다. 반면 중화권 업체들은 이 같은 추세와 반대로 대형 LCD 생산량을 늘리고 있어 눈길을 끈다.

보도에 따르면 상반기 글로벌 TV LCD 패널 출하량은 12400만개로 2015년 상반기에 비해 약 5.9% 가량 줄었다. 하지만 전체 LCD 패널 출하량은 4% 늘었다. 이는 평균 사이즈의 패널 수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국의 움직임은 이 같은 흐름과 대조된다. 상반기 글로벌 LCD 시장에서는 대형 LCD 출하량이 감소했지만 중국 주요 패널 업체들은 오히려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BOE는 지난 상반기 2250만개의 TVLCD 패널을 출하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47% 늘어난 수치다. CSOT1470만개의 TVLCD 패널을 출하, 전년동기 대배 30% 증가했다.

한편 유비산업리서치가 최근 발간한 ‘2016 OLED Manufacturing Equipment Annual Report’에 따르면 오는 2018년말까지 중국과 대만에서 투자가 결정되거나 검토되고 있는 대형 LCD 양산라인의 월 생산능력(캐파)는 총 528k.

이는 현재 한국의 현재 대형 LCD 양산라인의 80%에 달하는 규모에 해당한다.

중국 투자할 대형 LCD 라인, 3년 후면 한국 LCD 라인 80% 달해

Source = BOE

3년 후 중국의 신규 대형 LCD 라인이 3년후엔 한국의 80%에 달할 전망이다. (사진출처 = BOE)

 Hyunjoo Kang / jjoo@olednet.com

중국이 앞으로 3년후면 한국의 현재 대형 LCD 양산라인의 80%에 달하는 규모의 신규 대형 LCD 라인을 갖추게 될 전망이다.

유비산업리서치가 최근 발간한 ‘2016 OLED Manufacturing Equipment Annual Report’에 따르면 오는 2018년말까지 중국과 대만에서 투자가 결정되거나 검토되고 있는 대면적 LCD의 양산라인 월 생산능력(캐파)는 총 525k.

이는 유비산업리서치가 BOE, HCK, CEC Panda, CSOT, AUO, Innolux 등 중국과 대만 업체들의 20163분기부터 20184분기까지 투자 계획을 조사해본 결과다.

이 계획이 차질 없이 진행된다고 가정하면 20184분기까지 발주를 마치고 이후 장비 설치 등을 거쳐 가동 준비가 완료되는 시기는 지금부터 3년 후인 2019년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525k는 현재 한국의 대형 LCD 양산라인의 80%에 달하는 규모다. 525k의 신규라인이 가동을 시작한다면 대형 패널 공급과잉이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유비산업리서치 관계자는 중국과 대만의 양산라인 투자가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향후 한국과 일본에서 생산되는 대면적 LCD는 중국 패널에 대한 경쟁력을 갖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Large Size LCD Line to be Invested by China, to Reach 80% of Korean LCD Line after 3 Years

Source = BOE

Source = BOE ( China )

Hyunjoo Kang / jjoo@olednet.com

China is expected to possess 80% worth of new large size LCD line of current Korean large size LCD mass production line after 3 years.

According to 2016 OLED Manufacturing Equipment Annual Report, recently published by UBI Research, the total monthly production capa. of large area LCD mass production line that has been confirmed or being considered for investment in China and Taiwan until the end of 2018 is 525K. This is based on the results of UBI Research’s investigation on Q3 2016 – Q4 2018 investment plans of Chinese and Taiwanese companies including BOE, HCK, CEC Panda, CSOT, AUO, and Innolux.

If the plan is carried out without any issues, the order is expected to be completed by Q4 2018, and after equipment installation, the lines are to be ready to operate in 2019.

The monthly capa. of 525K is 80% of the current total LCD mass production line of Korea. Once 525K new lines begin to operate, oversupply of large size LCD panel is expected to actively occur.

UBI Research estimated that if China and Taiwan’s large area LCD investment is carried out according to plan, it will be difficult for Korean and Japanese large size LCD panel to compete against Chinese panel.

AUO , 2분기 LCD 더 팔고 덜 벌어…대만 LCD 업계 가격하락 여파 여전

출처 = AUO

출처 = AUO

강현주 / jjoo@olednet.com

AU Optronics( AUO )가 2016년 2분기에 LCD 출하량은 증가했지만 매출은 감소했다.

AUO는 지난 2분기에 800억9000만 대만 달러(미화 약 24억 78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최근 발표했다. 이는 전분기에 비해서는 12.6% 증가한 금액이지만 전년동기에 비해서는 13.2% 감소한 수치다.

이 회사는 2분기에 7096만개의 패널을 출하했다. 10인치 이상 패널이 2846만개, 10인치 이하 패널이 4250만개다. 10인치 이상 패널 출하량은 전분기 대비 16.5% 늘고 전년동기 보다는 14.3% 증가했다. 10인치 이하 패널 출하량은 전분기 대비 12.6%, 전년동기에 비해서는 11.5% 상승했다.

더 많이 팔고 돈은 덜 번 셈이다. LCD 가격 하락 여파가 2분기에도 이어졌다는 얘기다.

한편 대만의 LCD 드라이버 IC 업체인 Novat은 2016년 상반기 매출이 2015년 상반기보다 10.9% 떨어졌다. LCD 서피스 마운트(surface mount) 업체인 TSMT 2분기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10.1% 하락했다.

AUO , Q2 Sells More LCD Earns Less…Taiwanese LCD Industry Still Affected by Price Fall

출처 = AUO

Source = AUO

Hyunjoo Kang / jjoo@olednet.com

LCD shipment of AU Optronics (AUO) in Q2 2016 increased but revenue decreased.

AUO recently announced that they recorded revenue of NTD 80.09 billion (approx. USD 2,478 million) in Q2 2016. This is an increase of 12.6% from the previous quarter but down 13.2% from Q2 2015.

AUO’s panel shipment in Q2 was 70.96 million units with 28.46 million units of 10-inch and above panels, and 42.5 million units of 10-inch and below panels. The large size panels increased by 16.5% QoQ, and by 14.3% YoY. The small to medium size panels increased by 12.6% QoQ, and by 11.5% YoY.

Basically, this company sold more and earned less demonstrating that LCD price fall aftermath continued into Q2.

The H1 2016 revenue of Novatek, Taiwan’s LCD driver IC company, fell by 10.9% compared to H1 2015. LCD surface mount company TSMT’s Q2 revenue fell by 10.1 compared to Q2 2015.

[Analyst Column] OLED를 못하면 QLED는 꿈도 꾸지 마라!

QLED 가 차세대 TV 기술로 이슈가 되고 있다. (사진출처 = Samsung Elec.)

유비산업리서치 수석 애널리스트 이충훈

최근 QLED가 차세대 TV 기술로서 언론에서 이슈가 되고 있다. 삼성전자가 현재 판매중인 SUHD TV의 차기 제품으로 QLED TV를 지정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QLED TV용 디스플레이가 electroluminescence quantum dot 기술을 이용하는 제품이라면 디스플레이를 몰라도 너무 모르는 소리이다.

Quantum dot 기술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는 빛을 내는 메커니즘에 따라 2가지로 분류된다. photoluminescence quantum dot과 electroluminescence quantum dot 기술이다. photoluminescence quantum dot 기술이란 외부 광에 의해 자극된 물질이 다시 빛을 내는 메카니즘으로서 현재 LCD TV에 적용중인 QD 기술이다.

백라이트에서 나오는 청색 빛에 quantum dot sheet를 부착하여 백라이트 유닛으로 사용하고 있는 제품으로 삼성전자 SUHD TV가 바로 이 제품이다. photoluminescence quantum dot은 색 재현 범위가 넓어 NTSC 기준 110% 이상의 빛을 표현할 수 있어 LCD TV로서는 최상의 제품임에 틀림없다. 또 다른 photoluminescence quantum dot 기술로서는 color filter에 quantum dot 물질을 분산 시켜 색을 표현하는 방식이 개발 중에 있다.

이에 비해 electroluminescence quantum dot 기술은 전기를 가했을 때 스스로 빛을 내는 자발광 물질로서 OLED와 유사하다. 빛을 내는 재료만 무기물이며 구조는 OLED와 흡사하다. OLED는 빛을 내기 위해 정공이 HIL 층을 통해 전극에서 들어 오고, 이 정공이 HTL 층을 통해 발광물질에 도달한다.

전자가 EIL 층과 ETL 층을 거쳐 발광재료에 도착하면 전자와 정공에 의해 에너지 준위가 급상승한 발광재료는 불안정한 상태를 벗어나기 위해 빛을 발산하고 기저 상태로 돌아간다. HIL과 HTL, EIL, ETL층이 OLED에 필요한 이유는 전자와 정공이 발광재료에 도달하기 위한 에너지 준위 조절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electroluminescence quantum dot이 빛을 내기 위해서는 OLED와 마찬가지로 HIL과 HTL, EIL, ETL 층이 필요하다. electroluminescence quantum dot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사이언티스트들은 HIL과 HTL, EIL, ETL 재료는 OLED용을 사용하고 있다. 아직 전용 재료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기술 수준은 걸음마 단계이다. 기술이라는 영역보다는 아직 과학이라고 할 수 있는 영역에 속해 있다.

더욱이 electroluminescence quantum dot은 용액에 분산시켜 프린팅 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 ink-jet 또는 유사한 장비 개발이 필수적이다. 물론 HIL과 HTL, EIL, ETL도 용액으로 도포해야 한다.

여기서 궁금한 점은 삼성전자가 말하는 QLED TV가 photoluminescence quantum dot을 사용하는기존 QD 기술인지 electroluminescence quantum dot을 사용하는 기술인지이다. 일반적으로 QLED는 electroluminescence quantum dot 기술을 의미하기 때문에 삼성전자가 정말 electroluminescence quantum dot을 사용하는 QLED TV를 수년 이내에 판매 할 수 있다면 과학의 신기록을 수립하는 지상 최고의 혁신 기업이 될 것임이 틀림없어 매우 기대가 되는 부분이다.

하지만 OLED 발광 물질을 개발하고 있는 재료 업체들은 말도 안되는 소리라고 일축하고 있다. 용액 공정으로 제작하는 OLED용 발광재료와 HIL, HTL, EIL, ETL 재료도 아직 제대로 개발이 안되어 있어 상용화에는 5년 정도 시간이 더 소요 될 것이라고 보고 있는데 QLED를 수년 내로 구현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이 업체들의 공통적인 목소리다. QLED 전용 HIL, HTL, EIL, ETL 재료는 아직 개발되고 있지 않다는 것이 업계 현실이다.

프린팅용 장비 또한 아직 상용화된 제품이 없다. electroluminescence quantum dot 기술을 개발하는 학계에서도 이제 겨우 가능성을 본 정도라며 너무 앞서 나간다고 지적한다.

QLED를 하기 위해서는 거쳐야 하는 단계가 있다. 용액 공정을 사용하는 QLED가 상품화되려면 최소한 용액 공정 OLED가 출현하고 난 다음이 될 수 밖에 없다. OLED가 상품화까지 도달한 이력을 보면 빨라야 10년이다.

OLED로 TV를 만들지 못하는 삼성전자가 QLED로 3년내에 TV를 만들겠다고 언급한 것에 대해 “과연 삼성이다”라고 감탄해야 할 지 “삼성이 왜 이래?”라고 봐야할 지. . . .

LG 전자, 2016년 2분기 영업이익 5,846억원 예상…전년동기 대비 139.5% 상승

Source = LGD

Source = LG

강현주 / jjoo@olednet.com

LG전자가 8일 2016년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139.5% 상승한 5,846억원을 예상한다고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LG전자는 연결기준 매출 14조 17억원, 영업이익 5,846억원의 2016년 2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LG전자 2016년 2분기 실적은 전년동기 대비 매출 0.5% 증가, 영업이익은 139.4% 증가했다. 전분기 대비로는 매출 4.8%증가, 영업이익은 15.7% 증가했다.

잠정 실적은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K-IFRS)에 의거해 추정한 전체 매출액과 영업이익 예상치이며, 연결기준 당기순이익 및 사업부문별 구체적인 실적을 포함한 수치는 실적설명회 당일에 발표할 예정이다.

LG전자는 주주 및 투자자들에게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경영실적 정보를 전달하고자 2016년 1분기 실적부터 잠정실적을 먼저 공시하고 있다.

AMOLED Manufacturing Equipment Market for Apple, USD 13,000mn for 5 Years…Half of Total 6G Flexible Equipment

Source = UBI Research

Source = UBI Research [2016 OLED Manufacturing Equipment Annual Report]

Hyunjoo Kang / jjoo@olednet.com

AMOLED manufacturing equipment market for Apple’s use for 5 years, 2016-2020, is expected to reach USD 13,000 million.

According to 2016 OLED Manufacturing Equipment Annual Report, published on 7 July by UBI Research, the global Gen6 flexible AMOLED manufacturing equipment market is expected to record USD 28,411 million in 2016-2020. 47% of this is for Apple’s use with USD 13,000 million. The figure is if Apple applies flexible panel to some new models of iPhone to be released in 2017, and all new models to be released in 2018.

Apple occupies approximately 15% of the total smartphone sales with over 200 million units per year. As such, it is expected to have great impact on future exible panel market expansion.

In 2021, global flexible AMOLED panel shipment is estimated to exceed 1,000 million units. UBI Research forecasts Apple iPhone’s flexible panel will occupy 20% of the total flexible AMOLED shipment in 2017, and exceed 50% in 2021. UBI Research explains that in order to meet Apple’s flexible AMOLED panel demand, the required panel production capa. is analyzed to be 30K per month in 2017, and total 300K per month in 2021.

Furthermore, panel companies’ mass production line is expanding accordingly, and Samsung Display in particular is expected to invest 30K per year directed to Apple.

UBI Research’s latest report forecasts that the total OLED manufacturing equipment market to record approximately USD 43,927 million in 2016-2020.

애플용 AMOLED 장비 시장, 5년간 15조원 규모…전체 6G 플렉서블 장비의 절반

출처 = 유비산업리서치 '

출처 = 유비산업리서치 ‘2016 OLED Manufacturing Equipment Report’

강현주 / jjoo@olednet.com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총 5년간 애플용 AMOLED 장비 시장 규모는 미화 130억 달러(한화 약 15조1400억 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비산업리서치가 7일 발간한 ‘2016 OLED Manufacturing Equipment Annual Report’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전세계 6세대 플렉서블 AMOLED 장비 시장은 미화 284억1100만 달러(한화 약 33조원)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중 애플용만 130억달러로 47%의 점유율을 차지한다.

이는 애플이 오는 2017년 출시할 신규 아이폰 시리즈 일부 모델에 플렉서블 AMOLED를 적용하고 2018년 출시할 신규모델부터는 전량 플렉서블 AMOLED 패널을 적용한다고 가정한 수치다.

애플은 연간 2억대 이상의 스마트폰 판매량으로 전체 스마트폰 시장의 약 15%를 차지하고 있는만큼 앞으로 플렉서블 AMOLED 패널 시장 확대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전체 플렉서블 AMOLED 패널 출하량은 오는 2021년 10억개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중 애플 아이폰에 적용되는 플렉서블 AMOLED 패널은 오는 2017년 20%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2021년에는 50%를 넘어설 것이라는 게 유비산업리서치의 전망이다.

유비산업리서치 관계자는 “애플의 플렉서블 AMOLED 패널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패널 생산능력(캐파)은 2017년 30k에 이어 2021년 총 300k가 될 것으로 분석된다”며 “이에 따라 패널 업체들의 양산라인 투자도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삼성디스플레이는 애플향으로 매년 30k씩 투자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유비산업리서치의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OLED 전체 장비 시장은 미화 약 439억2700만달러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LG디스플레이, 6세대 POLED 장비 구미 E5공장에 반입

LG디스플레이 POLED장비반입식 (출처 = LGD)

강현주 / jjoo@olednet.com

LG디스플레이(대표이사 부회장 한상범, 韓相範 / www.lgdisplay.com)가 6일 경상북도 구미시에 위치한 E5공장에서 6세대 POLED 생산장비의 반입을 축하하고 성공적인 라인 셋업을 기원하는 POLED 반입식을 가졌다고 6일 발표했다.

이날 반입식에는 LG디스플레이 CPO(최고생산책임자) 정철동 부사장을 비롯 장비 협력사 모임 ‘베스트클럽(Best Club)’의 회장사인 탑엔지니어링 김원남 회장과 원자재 협력사 모임 ‘트윈스 클럽(Twins Club)’ 회장사인 신성델타테크 구영수 회장 등 약 200여명의 협력사 대표단 및 임직원이 참석, 장비반입을 축하했다.

LG디스플레이는 차세대 디스플레이인 OLED 시장 선점과 구미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난해 7월과 올해 4월에 각각 1조 500억, 4,500억원 등 총 1조 5,000억원의 투자를 결정한 데 이어 7월부터 POLED 핵심장비의 반입을 본격 시작한 것이다.

이번 반입을 시작으로 LG디스플레이는 생산라인 셋업,시험운용 등을 거쳐 2017년 상반기 중 양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LG디스플레이는 구미시에 2008년부터 4년간 약 4조원을 투자해 IT/모바일 디스플레이 생산시설 집적화에 주력해 왔으며, 2012년부터는 중소형 디스플레이 기술력 강화를 위해 2조 9,000억 원을 투입하는 등 1995년부터 약 18조원 이상 투자를 해왔다.

이번에 LG디스플레이가 OLED 분야에 총 1조 5,000억원을 구미시에 투자함에 따라 경기부진을 겪고있는 구미시에 새로운 먹거리 및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플라스틱 기반의 POLED는 벤더블, 롤러블, 폴더블 디스플레이 등 OLED기술의 장점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기술로 그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차세대 디스플레이 핵심기술이다.

LG디스플레이 CPO 정철동 부사장은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핵심 장비 반입은 성공적인 투자 진행을 상징하는 뜻 깊은 의미가 있다.”며 “이번 투자를 기해 앞으로 구미 사업장을 중소형 POLED 생산의 전진기지로 만들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국 OLED 경쟁력, 제조 비용 줄여줄 장비 기술에 달려”

삼성디스플레이 노철래 상무가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 노철래 상무가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강현주 / jjoo@olednet.com

한국 OLED 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주도권을 잃지 않으려면 생산 비용을 낮춰줄 수 있는 설비 기술이 관건이라고 전문가들이 입을 모았다.

5일 서울 삼정호텔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주최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가 개최한 OLED 프론티어 3차 포럼 ‘OLED 장비산업의 오늘, 그리고 내일’에서 업계 및 학계 전문가들은 OLED 장비 기술 발전에 방향성에 대해 논했다.

기조연설을 맡은 삼성디스플레이의 노철래 상무는 “플렉시블 OLED는 1세대 커브드, 이어 2세대 벤더블, 3세대 폴더블과 롤러블을 거쳐 4세대 디포머블, 스트레처블까지 발전할 것”이라며 “미래 디스플레이인 플렉시블 OLED 시장은 혁신적인 설비 개발이 전제조건”이라고 강조했다.

노 상무는 “디스플레이 시장의 성패는 고품질, 고성능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장비기술의 조기 확보에 달렸다”며 “소재와 공정의 혁신을 통해서 제조원가를 낮추는 국산 장비기술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연사인 Kateeva의 배경빈 부사장은 OLED 생산에 있어서 비용 절감을 위한 설비로 잉크젯 공정의 우수성을 강조하며 자사가 잉크젯 기반 RGB 공정을 개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배 부사장은 “2년 내에 양산라인에 잉크젯 RGB 장비를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경수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부회장도 “한국이 OLED 시장에서도 주도권을 가지려면 현재 증착공정 방식을 잉크젯 프린트 공정으로 전환해야 하며 전문인력을 양성해야 한다”고 했다.

AMOLED의 roll to roll 비전과 개발 역량에 대해 발표한 성균관대학교 정호균 석좌교수는 “roll to roll이라고 해서 반드시 프린팅이라고만 생각할 필요는 없겠다”며 “한 한국 기업에서 증착을 이용한 roll to roll 장비가 개발되고 있으며 문제는 백플레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포럼에서는 중국, 일본이 빠르게 한국의 OLED 산업 추격에 나서고 있다는 점이 지적됐다. 이에 한국이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산학연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화웨이, 7월 중 VR 기기 출시…중국 VR 시장 올해 약 1조원

출처 = Huawei

출처 = Huawei

강현주 / jjoo@olednet.com
중국 스마트폰 1위 업체 화웨이( Huawei )가 이달 중순에 가상현실(VR) 기기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중국 언론들이 최근 보도했다. 이에 따라 중국 VR 시장의 성장세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화웨이가 7월에 출시할 VR 기기는 360도 화면을 제공하며 이미지 지연율이 낮다. 또 모바일 메신저 위챗을 지원한다. 화웨이는 이 VR 기기가 자사 스마트폰 판매에 도움을 줄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화웨이는 이와 함께 VR용 콘텐츠 개발을 장려하기 위해 개발 플랫폼 및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도 제공한다. 화웨이는 독립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이를 통해 콘텐츠를 개발을 하면 첫해동안은 해당 매출의 100%를 준다는 방침이다.
화웨이는 이번 VR 기기 출시는 VR 시장 반응을 살피는 데 의의가 있다는 설명이다. 이 시장이 성숙해지려면 2~3년은 더 걸릴 것이라는 게 화웨이의 판단이다. 화웨이는 VR 사업을 위해 400명의 엔지니어를 투입해 리서치팀을 꾸렸다.
한편 최근 중국 주요 VR 업체인 Deepoon도 AMOLED를 탑재한 VR 신제품 ‘M2’의 판매를 시작했다. 샤오미도 최근 VR 기기 신제품 사진이 인터넷에 유출되며 화제가 된 바 있다.
이처럼 중국 VR 시장이 빠르게 확대되는 조짐이다. 실제로 중국의 시장조사업체인 아이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VR 시장 규모는 15억 4000만위안이며 올해는 56억6000만위안(한화 약 9714억원)을 기록할 전망이다.

Applied Materials Q2 Display Equipment Sales Increased by 6 Times, Bolstered by OLED

출처 = Applied Materials

출처 = Applied Materials

Hyunjoo Kang / jjoo@olednet.com

Applied Materials is expected to show Q2 display manufacturing equipment sales increased by almost 6 times bolstered by OLED market growth.

Digitimes recently quoted Applied Materials’ greater China account general manager Kuo Yi-tze and reported that the company’s Q2 2016 order value for the display manufacturing equipment is estimated at USD 700 million. This is a 5.8 times increase compared to USD 120 million in Q2 2015.

Particularly, the demand by Korean panel companies, including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is rapidly increasing. Furthermore, Chinese panel companies are also actively taking action to catch up to Korean panel companies’ technology and production ability.

Applied Materials estimates that the global shipment of mobile device OLED panel for smartphone, smartwatch, etc. will increase from 2016’s 353 million to 2020’s 799 million units. Furthermore, automotive OLED panel shipment is expected to increase from 2016’s 134 million to 2020’s 176 million units.

Applied Materials has seen orders for OLED equipment increasing, especially from South Korea-based panel makers, and its second-quarter 2016 order value for the display equipment segment is estimated at US$700 million, 5.8 times the US$120 million recorded for second-quarter 2015, according to Applied Materials’ greater China account general manager Kuo Yi-tze for AKT Display Business Unit.

South Korea-based panel makers take significantly lead in OLED technology and production and China-based fellow makers are making efforts to catch up, Kuo said.

Demand for OLED panels mainly comes from growing application to smartphones and smart watches, with global shipments of OLED panels used in mobile devices to increase from 353 million units in 2016 to 799 million units in 2020, Kuo indicated.

In addition, global shipments of OLED panels used in automotive displays will increase from 134 million units in 2016 to 176 million units in 2020, with a CAGR of 9% in unit shipments and 12% in area shipments during 2016-2020 Kuo noted.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OLED 덕에 2분기 디스플레이 장비 매출 6배 상승

출처 = Applied Materials

출처 = Applied Materials

강현주 / jjoo@olednet.com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Applied Materials )OLED 시장 성장에 힘입어 올해 2분기 디스플레이 장비 매출이 6배 가까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디지타임즈는 Applied Materials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이 회사가 20162분기에 받은 디스플레이 장비 주문이 미화 약 7억달러어치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이는 전년동기의 12000만달러보다 5.8배 증가한 수치다.

특히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등 한국의 패널 업체들로부터 장비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또 중국 패널 업체들 역시 한국 패널 업체의 기술력과 생산력을 따라잡기 위해 적극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Applied Materials는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등 모바일용 OLED 패널의 전세계 출하량이 201635300만개에서 202079900만개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전세계 자동차용 OLED 패널 출하량은 201613400만개에서 202017600만개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UDC Acquires BASF’s OLED IP Portfolio for USD 96 Million…King of Materials Patents

Source = UDC

Hyunjoo Kang / jjoo@olednet.com

On 28 June, Universal Display (UDC), dominating the patents within the OLED materials sector, announced that they acquired OLED related patents for approximately USD 96 million.

Most of the portfolio represent patents regarding phosphorescent OLED materials, including over 500 issues and pending patents around the world in 86 patent families. BASF’s OLED portfolio’s average lifetime is 10 years.

UDC is anticipating that this move, that allows them to have over 4,000 issued and pending patents, will help them develop blue emissive systems. As UDC has USD 395.7 million in cash, it should not be a problem financing this IP acquisition cost.

Korean OLED emitting materials companies are also focusing on this move; as the patent competitiveness could be said to sway OLED materials market, IP acquisition is important.

According to UBI Research, with this patent competitiveness UDC led the global OLED emitting materials market in 2015 for two consecutive years. Korean materials companies, including Duksan Neolux, are actively participating in improving their patent competitiveness to respond to UDC’s solid domination of the market.

In April, Professor Jun Yeob Lee (Chemical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explained at a forum that UDC’s patents slightly diminished through litigation, the company still has wide claim that includes almost all of phosphorescent materials sector. He emphasized that UDC began to react through acquiring other patents, and that Korean companies should also search for other methods of response.

In 2015, BASF stopped OLED related research development.

Kateeva, 코너 매디건 사장 COO 임명…엘리 브론스키 부사장은 CPO

출처 = Kateeva

출처 = Kateeva

강현주 / jjoo@olednet.com
카티바( Kateeva )의 코너 매디건 사장이 이 회사 최고운영책임자(COO) 직을 겸직하게 됐다. 또 엘리 브론스키 부사장은 최고제품책임자(CPO) 직을 맡게 되었다. 이 회사는 28일 보도자료를 내고 이같이 발표했다.
앨런 해러스  회장 겸 CEO는 이 두 사람에 대해 “강력한 리더십을 가진 뛰어난 기술 전문가”라며 “이들은 혁신적인 생산 설비 솔루션으로 디스플레이 업계를 흔들고 그 과정에서 실용적인 사업 스킬을 적용하여 탄탄한 팀웍을 자랑하는 조직을 구성하고 우수사례를 만들어가는 동시에 Kateeva를 창업기업에서 오늘날과 같은 세계 유수의 기술기업으로 이끈 기업문화를 조성했다”고 말했다.
매디건 박사는 사장 겸 COO로서 전 세계 고객 만족도 개선이라는 새로운 역할을 맡게 되었다. 여기에는 한국, 중국, 대만 및 일본 시장에서의 현장 운영도 포함된다. 매디건 박사는 글로벌 마케팅, 생산 부문과 더불어 Kateeva의 신제품 개발과 기술혁신을 아우르는 R&D 조직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게 된다. 또한, Kateeva에서 내부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지적재산권 부문도 회사 설립 때부터 맡아왔던 대로 계속해서 이끌게 된다. 지적재산권 부문은 Kateeva의 핵심 조직으로, 플렉서블 OLED의 가장 효율적인 대량생산을 뒷받침하는 YIELDjet™ 제품군을 구현하고 차세대 제품 개발에 기여하는 혁신기술을 지켜나가는 역할을 하고 있다. 코너 매디건 박사는 2008년 Kateeva를 공동 설립하였다. 매디건 박사는 해러스 회장에게 리포팅하게 된다.
엘리 브론스키는 최고제품책임자로서 Kateeva의 제품개발 조직을 맡아 Kateeva의 핵심 엔지니어링 팀을 이끌게 된다. 프린터 기술 전문가인 엘리 브론스키는 YIELDjet 플랫폼을 대량 생산이 가능한 세계 최초의 플렉서블 OLED용 잉크젯 프린터로 만든 혁신적인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과 프린팅 알고리즘을 비롯해, YIELDjet 프린팅 시스템의 근본적인 아키텍처를 구상해 냈다. 2013년 시장에 처음 선보인 YIELDjet 프린팅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제조업체들을 유리기판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롭게 해준 혁신을 통해 플렉서블 OLED의 획기적인 발전을 가능하게 하였다.  고객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고 최고의 부가가치를 실현하는 Kateeva의 지적재산권은 대부분 엘리 브론스키가 이룬 혁신을 기반으로 한다. 현재, 그는 Kateeva의 신제품 개발계획에 동일한 혁신을 적용하고 있다. 엘리 브론스키는 2008년 Kateeva에 합류했으며, 이번 인사이동이 있기 전에는 제품개발 부문 부사장 직을 역임했다. 엘리 브론스키는 매디건 사장에게 리포팅하게 된다.

UDC, 바스프 OLED 인광 재료 특허 9600만 달러에 인수…역시 재료계 특허제왕

출처 = UDC

강현주 / jjoo@olednet.com
OLED 재료 업계의 특허 제왕으로 군림하고 있는 유니버셜디스플레이( UDC )가 바스프( BASF )의 OLED 관련 특허를 미화 약 9600만달러에 인수했다고 28일 발표했다.
이 특허 포트폴리오는 주로 OLED 인광 재료들에 대한 것으로, 이미 출원된 500개가 넘는 특허와 아직 출원전인 전세계 86개 분야 특허도 포함하고 있다. 바스프의 이 OLED 포트폴리오는 평균적으로 10년간 유효하다.
UDC는 이번 바스프 특허 인수를 통해 블루 발광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인수로 UDC는 4000개가 넘는 출원 특허와 대기중인 특허를 보유하게 된다. UDC는 미화 3억9570만달러의 현금을 가지고 있어 이번 IP 인수 비용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
이번 UDC의 행보에 한국의 OLED 발광재료 업체들도 이목이 집중된다. OLED 재료 시장은 특허 경쟁력이 좌우한다고 할만큼 IP 확보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유비산업리서치의 조사에 따르면 UDC는 이같은 특허 경쟁력을 앞세워 지난 2015년 전년에 이어 전세계 OLED 발광재료 시장에서 1위를 차지했다. 덕산네오룩스 등 한국의 재료 업체들은 UDC의 견고한 시장 선점에 맞서 특허경쟁력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고분자 공학부 이준엽 교수는 지난 4월 열린 한 포럼에서 “UDC의 특허는 그동안 소송들을 거치며 다소 축소되긴 했지만 여전히 인광 재료쪽이 거의 다 포함되는 넓은 클레임을 가지고 있다”며 “UDC는 또 다른 특허들을 인수하는 등 대응에 나섰으며 한국 업체들도 이에 따른 대응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바스프는 지난 2015년 OLED 관련 연구개발을 중단한 바 있다.

Japan Display (JDI) Sells Small-to-Medium LCD Module Factory at USD 16.15 Million

Source = Japan Display

Hyunjoo Kang / jjoo@olednet.com

Japanese media reported that Japan Display (JDI) is expected to sell small-to-medium sized LCD module factory located in south China to Chinese panel company Jiangxi Holitech. The sales price is USD 16.15 million.

The factory is attached to Morningstar Optronics Zhuhai (MOZ), Taiwan’s LCD module company Star World Technology’s subsidiary company. Taiwan Display is the major shareholder, and JDI owns the entirety of Taiwan Display. Through the sales of MOZ factory, Taiwan Display is to own 100% of Star World Technology stakes.

JDI used to own 3 LCD module production subsidiary companies, JDI Device and JDI Electronics in Suzhou, and Shenzhen JDI in Shenzhen, to supply touch panel for Chinese smartphone companies.

According to Japanese media, JDI is expected to confirm detailed plans regarding the sales of these three subsidiary companies.

AP시스템, 티안마에 469억 규모 OLED용 제조장비 공급하기로

출처 = AP System

강현주 / jjoo@olednet.com
AP시스템이 중국 우한 티안마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사에 469억4천만원 규모의 OLED용 제조장비를 공급하기로 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공시했다.
AP시스템의 이번 공급 규모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의 16.01%에 해당한다.  계약 기간은 다음 해 8월 10일까지다.
현대증권 김동원 애널리스트는 “AP시스템의 이번 수주가 티안마의 6세대 플렉서블 OLED 신규 투자로 전망하며 향후 2차 신규발주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2016년 AP시스템 중국 OLED 신규수주는 전년대비 (890억원) 2배 증가한 1800억원으로 추정되어 1~6월까지 중국 OLED 누적 수주금액 (680억원)을 고려하면 하반기에 강력한 중국 수주 모멘텀이 기대된다는 게 김동원 애널리스트의 설명이다.

재팬디스플레이(JDI), 중국내 중소형 LCD 모듈 공장 매각…1615만달러에 처분

Source = JDI

강현주 / jjoo@olednet.com

일본의 재팬디스플레이( JDI )가 중국 남부에 위치한 중소형 LCD 모듈 공장을 중국 패널 업체 장시홀테크(Jiangxi Holitech) 에 매각할 예정이라고 일본 언론들이 보도했다. 매각 금액은 미화 1615만 달러다.

이 공장은 대만의 LCD 모듈 업체인 스타월드테크놀로지(Star World Technology)의 자회사인 모닝스타 옵트로닉스 주하이(Morningstar Optronics Zhuhai, MOZ)에 소속된 공장이다. 타이완디스플레이가 스타월드테크놀로지의 주요 주주이며 JDI가 타이완디스플레이의 전체를 소유하고 있다

MOZ 공장 매각을 통해서 타이완디스플레이는 스타월드테크놀로지의 100% 지분을 소유하게 된다.

JDI는 세개의 LCD 모듈 생산 자회사를 가지고 있었다. 쑤저우에 있는 JDI디바이스, JDI일렉트로닉스와 선전에 있는 선전JDI이다. 중국의 스마트폰 업체들을 위한 터치패널 공급을 위해서다.

일본 언론들에 따르면 JDI는 이 세 자회사를 처분하는 것에 대한 세부 계획을 오는 7월말까지 결정할 예정이다.

 

Innolux Constructing Gen8.6 LCD Factory… Mass Produce 50 inch, 100 inch TV Panel

Source = innolux

Source = innolux

Hyunjoo Kang / jjoo@olednet.com
On 26 June, Digitimes reported that Innolux, TFT-LCD panel company, is constructing the world’s first Gen8.6 LCD factory in Taiwan. Quoting the company’s associate vice president Hung Mao-sheng, Digitimes reported that Innolux will begin installation in June and could start mass production by the end of 2016.
The monthly capacity of the factory is to be 50,000 glass substrates, and expected to mass to produce TV panel for 50 inch, 58 inch, 100 inch as well as 45 inch and 23.6 inch. Hung described this company as the largest supplier of 23.6 inch and 40 inch TV panel at present.
As the average size of LCD TV is increasing, Innolux decided on the factory to maintain competitiveness and respond to market demand. It is organized into three businesses, mobile products, TV products and AII ( automotive, IT, industrial and special-use products such as medical and aviation ).
In January 2015, this company reduced its total number of employees to 68,000 from 98,000. The number of employees at LCD module production line decreased to 42,000 from 70,000,

이노룩스, 8.6세대 LCD 공장 구축 중…50인치·100인치 TV 패널 양산

출처 = innolux

출처 = innolux

강현주 / jjoo@olednet.com

TFT-LCD 패널 업체인 이노룩스( innolux )가 업계 최초로 8.6세대 LCD 공장을 대만에 구축하고 있다고 디지타임즈가 27일 보도했다. 디지타임즈는 이 회사의 부사장인 Hung Mao-sheng를 인용해 “이노룩스가 6월에 설비 구축을 시작하고 이르면 올해 연말부터 패널 양산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했다.

이 공장은 월간 5만장 규모의 유리기판 생산 능력(캐파)를 갖추게 되며 45인치와 23.6인치 뿐 아니라 50인치, 58인치, 100인치 TV용 패널을 양산할 예정이다. Hung 부사장은 “이노룩스는 현재 전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23.6인치와 40인치 TV 패널 공급사”라고 말했다.

이노룩스는 LCD TV의 평균 사이즈가 증가함에 따라 이같이 결정했다. 시장 수요에 빠르게 대응하고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다. 이 회사는 TV, 모바일, AII(자동차, IT, 의료 등 전문 분야)의 세 부문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한편 이 회사는 생산 자동화를 지속해 직원의 수를 9만8천명에서 지난해 1월 6만8천명으로 줄였다. 현재 LCD 모듈 생산 라인의 직원 수는 기존 7만명에서 4만2천명으로 줄었다.

삼성전자, 호칭 ‘부장님’ 대신 ‘OO님’…회의는 “참석자 최소화”

Samsung CI

Samsung CI

강현주 / jjoo@olednet.com

삼성전자( Samsung Elec.)는 글로벌 경쟁력 제고와 창의적, 수평적 조직문화 조성을 위해, 기존 연공주의 중심 인사제도를 업무와 전문성을 중시하는 ‘직무·역할’ 중심의 인사 체계로 개편한다.

삼성전자는 27일 경력개발 단계(Career Level) 도입을 통한 직급 체계 단순화, 수평적 호칭을 골자로 하는 인사제도 개편방안을 발표했다.

기존 부장, 과장, 사원 등 수직적 직급 개념은 직무 역량 발전 정도에 따라 ‘경력개발 단계(Career Level)’로 전환되며, 직급 단계는 기존 7단계(사원1/2/3, 대리, 과장, 차장, 부장)에서 4단계(CL1~CL4)로 단순화된다.

이번 개편에 따라 삼성전자는 임직원 간 공통 호칭은 ‘ㅇㅇㅇ님’을 사용하게 된다. 단, 부서 내에서는 업무 성격에 따라 ‘님’, ‘프로’, ‘선후배님’, 영어 이름 등 상대방을 서로 존중하는 수평적인 호칭을 자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팀장, 그룹장, 파트장, 임원은 직책으로 호칭한다.

삼성전자는 수평적·창의적  조직문화 확산을 위해 회의문화·보고문화 개선, 불필요한 잔업 및 특근 근절, 계획형 휴가 정착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이와 함께 효율적 회의문화를 위한 개편도 시행된다. 반드시 필요한 인원만 참석해 자유롭게 의견을 내고 회의의 결론을 도출해 이를 준수하는 회의 문화 확산한다는 것이다.

회의 권장사항으로는 참석자 최소화, 1시간 Best, 전원 발언, 결론 도출, 결론 준수 등이다.

또 빠른 의사결정과 실행력 강화를 위해 직급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치는 대신 ‘동시 보고’를 활성화하고, 형식에 치우치지 않고 간결하게 핵심 내용을 전달하는 보고문화 정착을 추진한다.

상급자의 눈치를 보며 퇴근하지 않는 ‘눈치성’ 잔업, 불필요한 습관성 잔업, 특근을 근절한다는 내용도 이번 개편에 포함된다.

직원들이 연간 휴가계획을 사전에 자유롭게 수립해 충분히 재충전할 수 있는 휴가 문화 정착도 실시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올해 하절기부터는 임직원 편의를 위해 반바지 착용도 가능해진다.

삼성전자는 새로운 인사제도를 내년 3월부터 본격 시행할 계획이다.

LGD,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난연인증 프로그램’ 전면적용

출처 = LGD

강현주 / jjoo@olednet.com

LG디스플레이(대표이사 부회장 한상범, LGD )가 모든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난연 인증 프로그램’을 전면 적용, 급성장하고 있는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안전성을 대폭 강화한다고 27일 발표했다.

LG디스플레이는 자동차 완성업체별 다양한 안전규격 요구조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세계적 시험인증기관인 TÜV SÜD 그룹과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대한 ‘난연 인증 프로그램’을 공동개발, 7월부터 개발되는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전 모델에 인증 프로그램을 전면 적용키로 했다고 밝혔다.

그 동안 차량용 디스플레이는 정보통신기기에 대한 안전규격(EN 60950-1)만 충족하면 되었지만, LG디스플레이는 TÜV SÜD 그룹과 EN 60950-1은 물론 ISO 3795, DIN 75200, FMVSS 302 등 자동차 안전규격까지도 적용시킨 난연 규격을 새롭게 정립하고 이를 LG디스플레이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전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킨 것이다.

난연은 화재 발생 시 불의 확산을 지연시키는 특성으로, 이를 정량적인 수치 또는 등급으로 구분해 주요 안전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다.

이번 난연 인증 프로그램 도입에 따라 LG디스플레이는 안전을 위한 제품 경쟁력 업그레이드는 물론 Process 간소화 및 진행비용 절감, 인증 기간 단축 등 고객가치 제고를 통한 시너지 창출을 기대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완성업체 및 소비자 역시 차량용 디스플레이 제품의 안전성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LG디스플레이 Auto 개발담당 윤정환 상무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규격에서 난연성에 대한 검증은 필수적인 부분이 됐다”며, “LG디스플레이는 이번 난연 인증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차량용 디스플레이 제품 경쟁력 확대에 더욱 힘쓰겠다”고 밝혔다.

현재 LG디스플레이는 차량용 정보안내디스플레이(CID), 계기판(Cluster), 뒷좌석 엔터테인먼트 디스플레이(RSE) 등 차량용 디스플레이 제품 전 분야를 공급하고 있으며, 특히 5인치 이상 차량용 디스플레이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으로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Manufacturing World Japan 2016] VR, ‘제조산업’에도 급확산

Artcraft 부스 방문자가 VR 과 조이스틱을 이용해 가상의 공간을 둘러보고 있다.

강현주 / jjoo@olednet.com

가상현실(VR) 기술이 영화, 게임 등 콘텐츠 분야에서 뿐 아니라 제조 산업에도 빠르게 스며들고 있다. 특히 3D 렌더링, 모션 트래킹 기술 등과 VR이 융합해 제품 디자인, 건축, 시설 관리 등 다양한 부문에서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6월 22일부터 25일까지 도쿄 빅사이트에서 진행된 세계 최대 규모 제조 분야 전시회인 Manufacturing World Japan 2016의 3D 및 VR 관련 부문 전시인 3D & Virtual Reality Expo(IVR)에는 지난해보다 참가 기업이 부쩍 늘었다. 행사 주관사인 REED 측에 따르면 올해 IVR 참가 기업은 80여 업체로 지난해보다 20여 업체 증가했으며 특히 VR 관련 기술을 선보이는 기업들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이번 행사에서 전시 업체들은 주택 건축이나 인테리어, 자동차 디자인 및 정비 등에 활용될 수 있는 VR 관련 기술들을 대거 선보였다.

Informatix, Zenkei, Artcraft 등은 가상의 실내·외 공간 또는 실제 공간을 VR을 통해 360°면서 3D로 볼 수 있는 콘텐츠 제작 및 뷰어 소프트웨어를 선보였다.  사용자는 VR을 착용하면 주택이나 실내 공산, 건설현장을 둘러볼 수 있다. Artcraft 등 몇몇 업체들은 조이스틱도 추가했다. 사용자는 조이스틱으로 앞, 뒤, 좌, 우로 움직이며 공간 구석구석까지 둘러보고 영상에 나오는 문도 여닫는 등 가상의 공간을 실제처럼 체험해볼 수 있다.

Crescent, Digital Garden 등은 VR과 모션 트래킹 융합해 자동차에 적용한 기술을 선보였다. 사용자가 VR을 착용하면 영상 속 자동차 내부 부품들에 손을 뻗어 정비를 하거나 차량에 탑승해볼 수도 있다. 이같은 움직임은 모션트래킹 카메라가 감지, 이용자가 체감하는 가상의 경험을 그래픽으로 보여준다.

Manufacturing World 사무국장 Takesh Fujiwara

행사장에서 만난 Manufacturing World Japan 2016의 타케시 후지와라(Takeshi Fujiwara) 사무국장은 OLEDNET과의 인터뷰를 통해”우리는 VR이 제조산업에서 활성화 될 것으로 예전부터 예상해 24년전부터 IVR을 개최하고 있으며 올해가 일본 VR 원년이라 할만큼 이번 행사에서 VR의 비중이 획기적으로 늘었다”라고 밝혔다.

그는 “그동안 VR은 연구소 등 학술계에서 주로 다루어져지만 이제는 건설, 게임, 어뮤즈먼트 등 일반 사람들에게도 가깝게 다가오고 있어 일본 전체적으로 올해가 VR 원년이라 본다”고 설명했다.

후지와라 사무국장은 “제조 산업에 있어 VR은 특히 디자인에 영향을 줄 것이며 이는 제품을 설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라고 내다봤다. 그는 “제조 산업이 매우 오래된 산업이다 보니 종사자들의 연령대가 높아져 젊은 사람들에게 기술을 전수하는 데 있어서도 VR이 전달력을 높여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삼성디스플레이, 2017년까지 OLED 설비투자 애플·삼성전자향만 15조원”

출처= SDC

강현주 / jjoo@olednet.com

오는 2017년까지 삼성디스플레이( SDC ) OLED 설비투자 규모는 애플, 삼성전자 IM (무선사업부) 등 2개의 고객으로만 15조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현대증권 김동원 애널리스트는 24일 이같이 전망하며 이로 인해 6세대 기준의 삼성 플렉서블 OLED 생산능력(캐파)은 2015년 월5만장에서 ‘16년 18만장, ‘17년 27만장으로 추정된다고 내다봤다.

김 애널리스트에 따르면 OLED 장비업체들은 상반기 신규수주가 3분기 실적부터 본격 반영되기 시작해 하반기에는 시장예상을 상회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는 OLED 장비업체의 하반기 실적이 ‘16년 연간 실적의 70~90%를 차지하는 뚜렷한 상저하고 이익패턴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테라세미콘, AP시스템, 에스에프에이, 동아엘텍 등 OLED 장비업체들은 하반기 어닝 서프라이즈가 기대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와 함께 김동원 애널리스트는 올해 삼성전자의 퀀텀닷 TV 출하량이 350만대, 전년대비 250%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퀀텀닷 (QD) 소재가 화면 사이즈에 관계없이 대화면 LCD TV에 쉽게 적용할 수 있고, 잉크젯 프린팅 공정 및 화이트 OLED (WOLED)에 접목해 향후 OLED TV 시장에서 QD OLED TV로 제품 차별화가 가능하며, 장기적으로 QLED (QD LED) TV 구현도 시도해 볼 수 있어 폭 넓은 확장성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2015년 100만대 불과했던 삼성전자 퀀텀닷 TV 출하량은 2016년, 17년에 전년대비 각각 250%, 140% 증가한 350만대 (상반기 100만대, 하반기 250만대), 840만대로 추정되어 삼성전자 전체 TV에서 차지하는 퀀텀닷 TV 출하비중은 2015년 2%에서 2016년, 17년에 각각 7%, 18%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 퀀텀닷 TV에 소재 및 인버터의 독과점 공급권을 확보한 한솔케미칼, 한솔테크닉스 하반기 실적은 큰 폭 개선이 기대된다.

[Manufacturing World Japan 2016] VR 콘텐츠·SW 대거 출시…만화책도 360°로 제작

Informatix가 선보인 VR 용 소프트웨어 ‘자이로아이’

도쿄 = 강현주 / jjoo@olednet.com

6월 22일부터 25일까지 도쿄 빅사이트에서 진행되고 있는 세계 최대 규모 제조 분야 전시회인 Manufacturing World Japan 2016에서는 VR 관련 콘텐츠 및 소프트웨어 신제품들이 대거 공개됐다.

Transmedia는 VR용 3D 콘텐츠 저장 및 편집 소프트웨어인 ‘Drop in VR’을 선보였다. 사용자가 3D 모델링을 한 콘텐츠를 Drop in VR의 서버에 업로드하고 음악, 영상, 기능 등을 추가하며 편집을 할 수 있다.

이렇게 편집한 콘텐츠는 다시 다운로드 해 사용자의 VR기기를 통해 즐길 수 있다. 이 회사는 이번 전시에서  Drop in VR 로 편집한, 만화책을 360°로 볼 수 있는 VR콘텐츠를 시연했다. 현장에서 만난 이 회사 관계자는 “올해 9월 테스트를 거쳐 연말에 Drop in VR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Informatix는 주택이나 사무실 건축 등에 활용할 수 있는 3D 뷰어 소프트웨어 ‘자이로아이 (GyroEye)’를 공개했다. 자이로아이를 이용하면 VR을 통해 가상의 공간을 360°로 건축 전, 건축 후를 비교하며 볼 수 있다.

현장에서 만난 이 회사 관계자는 “오는 8월 자이로아이와 독일 Zeiss의 VR기기 신제품 ‘VR one+’를 함께 출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ZENKEI는 경치감상 등을 위한 VR용 플랫폼인 ‘스테레오6’ 서비스를 지난 22일부터 시작했다. 스테레오6는 6개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360° 콘텐츠로 제작하고 이를 VR을 통해 감상까지 할 수 있게 해주는 총괄 시스템이다.

Dynamo Amusement 는 자체 제작한 VR용 콘텐츠 ‘메가로돈’을 선보였다. 이 회사는 전시장에서 삼성전자의 ‘기어 VR’과 ‘갤럭시 S6’를 사용해 4D 영화로 이 콘텐츠를 시연했다. Dynamo 관계자에 따르면 메가로돈은 바다속 동물들의 세계를 CG로 제작한 콘텐츠로 런닝타임은 5분이며 올해 여름 출시될 예정이다.

“삼성, 2017년 Flexible OLED 생산능력 7배 증가”

SID 2016에 전시된 flexible OLED

강현주 / jjoo@olednet.com

삼성디스플레이의 플렉서블( Flexible ) OLED 생산 능력이 내년에는 7배 이상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현대증권 김동원 애널리스트는 삼성디스플레이는 애플 OLED 투자 뿐 아니라 삼성전자 향으로도 추가적인 신규캐파 확보가 필요하다는 점을 들어 이같이 내다봤다.

또한 A3 공장은 내년 2분기 풀 캐파가 예상되어 향후 플렉서블 OLED 신규투자의 추가 공간확보를 위해 삼성디스플레이는 2년 소요되는 신규공장 (A4) 건립 대신에 7세대 LCD 라인을 올 연말까지 매각한 후 7세대 LCD 공장에 플렉서블 OLED 신규라인 구축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엣지 스크린 탑재 확대는 삼성전자 스마트 폰 사업에 차별화된 경쟁력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되며 플렉서블 OLED 신규투자 확대로 관련 밸류체인인 한솔케미칼, 한솔테크닉스, AP시스템, 테라세미콘 수혜가 기대된다.

김동원 애널리스트는 또 올 하반기 출시 예정인 갤럭시노트7은 엣지 스크린을 100% 채택한 단일모델 출시가 전망되어 지난 2014년 엣지 출시 이후 2년간 갤럭시S7까지 적용된 삼성전자의 투트랙 모델 (엣지, 평면) 전략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2014년 독일 가전전시회 (IFA)에서 갤럭시노트4 엣지가 최초 공개된 후 2년 만에 엣지 스크린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과 평가가 성공적이고, 2017년 한번 접을 수 있는 폴더블 폰 출시를 앞두고 삼성전자 스마트 폰의 프리미엄 제품믹스 전략에 변화가 필요하며, 5년간 엣지 제품을 개발하면서 플렉서블 OLED 라인 수율이 85% 수준에 이르면서 생산성 확보에 따른 대규모 양산체제 구축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2016년 6월 현재 갤럭시S7 전체에서 엣지 폰 판매비중은 65%로 판단되며 엣지 스크린은 차별화된 폼팩터 구축에 성공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처럼 엣지 스크린의 소비자 반응이 예상을 상회하면서 갤럭시노트7에 이어 내년 상반기 출시될 갤럭시S8도 100% 엣지 단일모델로 출시 가능성이 높을 전망이라는 게 김동원 애널리스트의 설명이다.

 

[Manufacturing World Japan 2016] 기어 VR+갤럭시S6 4D 영화 체험해보니

Dynamo Amusement 기어 VR을 이용해 VR 콘텐츠 4D 시연을 진행했다.

도쿄=강현주 / jjoo@olednet.com

6월 22일부터 25일까지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리는 Manufacturing World Japan 2016 전시장에서는  기어 VR을 통한 4D 영화 시연이 진행됐다.

콘텐츠 업체인 Dynamo Amusement은 자체 제작한 VR용 콘텐츠 ‘메가로돈’을 선보였으며 시연 기기로는 삼성전자의 ‘기어 VR’과 ‘갤럭시 S6’를 사용했다. 이 기기에서만 볼 수 있는 콘텐츠는 아니지만 가장 많이 판매되는 제품이라 시연에 이용했다고 한다.

Dynamo 부스에 설치된 극장용 의자에 앉아서 갤럭시 S6을 장착한 기어 VR을 머리에 썼다. 기어 VR의 윗 부분에 있는 휠로 초점을 조절할 수 있었다.

‘메가로돈’은 깊은 바다 속에 사는 수중 생물들의 세계를 CG로 제작한 콘텐츠다. 의자가 이리저리 흔들리고 가끔 바람을 맞기도 하는 것은 기존 4D 극장과 다를바 없지만 VR로 보는 화면은 마치 바다 속에 직접 들어가 수중 탐사를 하고 있는 듯한 효과를 줘 극장 스크린보다 생동감이 뛰어났다. 거대한 육식 상어에게 삼켜지는 장면도 꽤 실감났다.

하지만 화질은 아쉬움이 남는다. 휠로 초점 조절을 해봐도 완벽히 또렷한 화면은 나오지 않았다.   이는 VR 기기에 장착된 스마트폰의 해상도에 따른 것인데, 이번 시연에 이용된 갤럭시 S6는 2560×1440, 577ppi의 해상도를 갖춘 AMOLED가 탑재됐다.

하지만 삼성이 최근 806ppi의 5인치대 VR용 AMOLED를 공개한만큼 차후 화질 개선이 기대된다.

바로 눈앞에서 펼쳐지는 생생함에도 부담스러운 기기의 무게탓에 다소 집중이 안되기도 했다. 기어 VR의 380g에 갤럭시 S6의 138g이 더해져 총 518g, 고기 한근에 가까운 무게를 오래 머리에 쓰고 있기는 좀 힘들었다. 몇분짜리 콘텐츠를 보기에는 무리가 없지만 장시간의 콘텐츠에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경량화가 시급해보인다.

한편 Dynamo가 제작한 ‘메가로돈’은 런닝타임이 5분이며 올해 여름 출시될 예정이다.

Galaxy S Series Luminance Increase Trend Shows Blue Materials Luminance Needs to be Improved by 3.7 Times

Galaxy S Series`s Blue Materials Luminance Needs to be Improved by 3.7 Times (Source = UBI Research)

Hyunjoo Kang / jjoo@olednet.com

If the Galaxy S Series luminance increase trend continues, it is estimated that the luminance will reach 754 nits within 2-3 years. In order to produce Galaxy S with 754 nits, the luminance of blue emitting materials, that will be used for the product’s AMOLED, is analyzed to require improvement by approx. 3.7 times.

According to AMOLED Characteristics Analysis Report of Galaxy S Series, published by UBI Research, the analysis of luminance increase trend of Galaxy products from S4 released in 2013 shows Galaxy S series with full white luminance of 430 nits and peak white of 754 nits is expected to be produced within 2-3 years. The Galaxy S4 luminance is 338 nits (peak white), and the luminance increased to S7’s 505 nits via S5 and S6’s 400 nits mark. Calculating based on this trend, the future product is analyzed to have 754 nits of luminance.

The report reveals that for Galaxy S7, the luminance of red materials is 142 nits, green 338 nits, and blue 26 nits. To actualize 754 nits screen, the red materials have to improve luminance by approximately 1.5 times, green 1.2 times, and blue 3.7 times. UBI Research explained that for high resolution screen with limited size, emitting materials performance improvement is a must and that technology development should be focused on blue emitting materials.

* Luminance figures (nits) quoted in the article have been measured by UBI Research, with Auto Brightness function switched off. Future luminance forecast is also without this 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