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ll 2016 be the Year of Glasses-Free 3D Display Commercialization?

During the Pioneer Technology Seminar to Overcome Display Industry Crisis (January 14) held in South Korea, Dr. Sung-Kyu Kim of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IST) discussed the current issues of glasses-free 3D display and technology development for commercialization. He also revealed related KIST research results.

 

At present, the 3D display applied to TV can be divided into FPR (film patterned retarder) method and SG (shutter glass) method. Both of these methods require 3D glasses. Regarding this, Kim revealed that the glasses using method could be the biggest factor in hindering the 3D display’s accessibility. Kim announced that glasses-free 3D display development is essential particularly for outdoor advertisement applications.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3D display, glasses-free 3D display related research, such as holographic and multiview 3D display technology, has long been carried out. Kim revealed that at present the multiview 3D technology is closest to glasses-free 3D display commercialization. He added that the key issue is how much the 4 problems (crosstalk development, quantization effects between viewpoints, reduced resolution, human factor) can be controlle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Kim applied technology that forms visual field of 4 or more views between eyes and provide same image information in the adjacent area. He emphasized that this was fused with technology that tracks the location of the observer and developed improved glasses-free 3D display. He added that prototype was shown in PyeongChang 2018 Olympics PR venue and Sangwolgok Station in South Korea.

 

Kim explained problems such as human factor occur for TV and monitor where observers watch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future of 3D display is not bright. However, in advertisement area where people can freely watch, it could be effectively applied. He revealed that he will focus on commercialization this year and expedite development.

 

3D

2016년, 무안경 3D 디스플레이 상용화 원년이 될까.

2016년 1월 14일 여의도 전경련 회관에서 개최된 ‘디스플레이 산업 위기극복을 위한 선도기술’ 세미나에서 KIST의 김성규 박사는 무안경 3D 디스플레이에 대한 현재의 이슈와 상용화를 위한 기술 개발에 대한 내용을 논하며 관련한 KIST의 연구성과도 함께 발표하였다.

현재 TV에 적용하는 3D 디스플레이는 FPR(편광필름패턴, Film Patterned Retarder) 방식과 SG(셔터글래스, Shutter Glass) 방식으로 나뉘며 두 가지 방식 모두 3D 안경이 필요하다. 이에 대해 김성규 박사는 안경을 사용한 방식은 3D 디스플레이의 접근성을 저해하는데 가장 큰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밝히며 특히 실외 광고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무안경 방식 3D 디스플레이 개발이 필수적이라고 발표했다.

3D 디스플레이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홀로그래픽과 다시점 3D 디스플레이 기술 등 무안경 3D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연구가 오래 전부터 지속되어 왔다. 김성규 박사는 “현재로서는 다시점 3D 디스플레이 기술이 무안경 3D 디스플레이의 상용화에 가장 가깝다.”고 밝히며 “Crosstalk 발생과 시점간 양자화 현상, 해상도저하, human factor 등 4가지 문제점이 얼마나 컨트롤 되냐가 핵심이슈이다.”라고 발표했다.

김정규 박사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양안 사이에 4시점 이상의 시역을 형성하고 인접시역에 동일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을 적용하고 여기에 관찰자의 위치를 트래킹하는 기술과 접목하여 향상된 무안경 3D 디스플레이 개발했다고 강조하며 평창올림픽 홍보관과 지하철 상월곡 역에 시제품을 전시했다고 밝혔다.

김정규 박사는 “관찰자가 오래 시청하는 TV와 모니터에는 human factor와 같은 문제가 있기 때문에 3D 디스플레이 전망이 밝지 않지만 사람들이 자유롭게 볼 수 있는 광고 분야에는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히며 “올해는 상용화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라고 하며 발표를 마쳤다.

3D